[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더불어민주당 최강욱 의원의 최근 막말 논란, rd1=최강욱 여성비하 발언 논란)] [목차] == 개요 == [[雌]], [[牝]] / female[* 다소 비하의 의미가 있는 암컷이란 단어와는 달리 말 그대로 여성으로서의 성을 의미하여 사람에게도 쓴다.] 암컷이란, 자웅이체(雌雄異體)의 동물이나 자웅이주(雌雄異株)의 식물에서 [[난소]]를 가지고 알(卵) 또는 동물의 새끼를 [[잉태]]하여 [[출산]]하는 개체를 말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자손에게 [[미토콘드리아]]와 [[세포 소기관]]을 전달하는 쪽이다.[* 수컷의 정자는 난자와의 결합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가 든 꼬리가 떨어져나가며 세포 소기관은 퇴화되고 거의 없다.] 사람으로 따지자면 '''[[여성]]'''에 속한다. [[수컷]]에 대응하는 단어이며, 학술 및 기호 표기로는〈[[♀]]〉이다. 인간이 아닌 생물에게는 그냥 써도 되지만 [[최강욱/비판 및 논란|사람에게 쓰면]] 당연히 비하나 [[멸칭]]이 되므로 장난으로라도 부르지 않는게 좋다. 생물이 아니더라도 암 나사, 암 커넥터처럼 두 물건을 결합시키는 물건 중 [[음문|오목 들어가거나 구멍이 있는]] 쪽을 암컷으로 부른다. == 특징 == 직접적으로 자신의 새끼나 알을 낳을 수 있는 성별에 속하는 동물을 암컷으로 부른다. [[척추동물]]에선 높은 확률로 수컷보다 크기가 작고 무게도 더 적게 나가며 [[무척추동물]]들은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같은 예외를 제외하면 암컷이 더 크고 강하다. 대부분의 생물종은 암컷의 힘이 수컷보다 약하지만, 수명은 대체로 암컷이 더 길다. 물론 예외도 있어서 [[점박이하이에나]]나 [[미어캣]]은 암컷이 더 크고 강하다. 일부 조류의 경우, 수컷의 깃털은 색상이 밝고 화사한[* [[꿩]]처럼 여러가지 색상을 한번에 띄어서 컬러풀한 경우가 많다] 반면, 암컷은 어두운 단색이거나 주위 서식지 환경에 녹아드는 [[보호색]]을 띄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역시 예외는 존재해서, [[호사도요]]나 뉴기니아 앵무새의 경우에는 반대로 암컷이 화려한 색채를 띄고 수컷이 보호색이나 칙칙한 색을 띤다. [[맹금류]]의 경우,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암수의 색깔 차이가 없다. [[포유류]]도 사자나 사슴처럼 수컷이 더 화려한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곤충]]이나 [[파충류]]의 경우에는 암컷이 더 화려하기도 하다. 예시로, 한국에도 서식하는 암끝검은표범나비는 암컷이 더 화려하다.[[http://www.nabistory.co.kr/nabi5/96-5.jpg|사진]]. 또한 지능이 낮고 덩치가 작은 동물[* 어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등]에서 고지능, 고등동물[* 영장류, 중대형 포유류]로 올라갈 수록 암컷과 수컷의 외모 차이가 현저히 적어지거나 없어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인간과 가장 유전적으로 가까운 [[침팬지]], [[보노보]] 등의 [[영장류]], [[유인원]]이나, 지구상에서 인간 다음으로 가장 지능이 높다는 [[고래]]와 [[돌고래]] 등의 경우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만 좀 더 크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암수의 외모 차이가 거의 없는 편이다. 대다수의 암컷들은 짝짓기에 대한 주도권이 수컷보다 우위에 있으며, 수명도 대다수가 수컷보다 많은 편이다. 생물학적으로는 단순히 대부분의 미토콘드리아를 자식에게 물려주는 성별을 암컷으로 정한다. 성별은 외모나 유전자 등과 무관하게 정해진다는 생물학적 기본 이론이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 == 언어학적 특징 == 한국어 명칭상 [[닭]], [[개]], [[돼지]] 등의 경우 '''[[암탉]]''', '''[[암캐]]''', '''[[암퇘지]]''' 등 거센소리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암'과 '수'가 중세 국어에서는 ㅎ종성 체언이었기 때문에 '암ㅎ','숳'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ㅎ종성 체언이 존재하지 않지만 발음상으로 ㅎ이 덧나는 경우 이를 표기에 반영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쓰는 것이다. [[분류:생물학]] [[분류:순우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