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출국권고 목록)] ||<-4> '''{{{#fff {{{+1 암바조니아 연방 공화국}}}[br]{{{#ffffff Federal Republic of Ambazonia}}}[br]{{{#ffffff Amba Land}}}}}}''' || ||<-3><:> [[파일:암바조니아 국기.svg|width=100%]] ||<-1><:> [[파일:암바조니아 국장.svg|width=120]] || ||<-3><:> '''{{{#fff 국기}}}''' ||<-1><:> '''{{{#fff 국장}}}''' || || '''면적''' ||<-3>42,710km² || || '''국가''' ||<-3>만세! 만세! 이 영광의 땅에 만세[br](Hail! Hail! Hail This Land of Glory) || || '''인구''' ||<-3>3,521,898명 || || '''수도''' ||<-3>[[부에아]] || || '''역사''' ||<-3>독립 선언: 2017년 10월 1일 || || '''수반''' ||<-3>새뮤얼 이코메 사코[* 법적으로 현 대통령이지만 전임 대통령인 시시쿠 줄리어스 아유크 타베가 이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정부는 분열 상태에 놓여 있다.] || || '''공용어''' ||<-3>[[영어]] || || '''화폐단위''' ||<-3>[[가상 화폐|암바코인]]^^(명목상)^^[br][[CFA 프랑/중앙아프리카|중앙아프리카 프랑]]^^(사실상)^^ || ||<-4>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암바조니아 면적.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암바조니아는 현재 [[카메룬]] 내에서 차별대우를 받는 영어권 사용자들이 국가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자치지역이다. 위치는 남카메룬. 지리적으로는 카메룬 서쪽이지만 과거 영국령 카메룬이 지금의 카메룬 서부인 남카메룬과 지금의 나이지리아 동부인 북카메룬으로 구성되어 있었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 역사 ==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던 독일령 카메룬은 [[제1차 세계 대전]] 에서 독일의 패전 후 서부와 남부는 각각 [[영국]]과 [[프랑스]]에 양도되었다. 식민지를 해방하면서 영국령 지역의 북부와 남부를 나누어 남카메룬의 경우는 연방제를 조건으로 [[카메룬]]에 편입할지 [[나이지리아]]에 편입할지 주민투표에 붙였고, 따로 독립하는 안은 빠진 주민투표 결과 서카메룬은 나이지리아에 합쳐지고 남카메룬은 프랑스어권 지역인 카메룬과 통합되었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7/Cameroon_boundary_changes.PNG|#]] 통합 이후 카메룬은 프랑스어권에선 카메룬 연합(UC), 영어권에선 카메룬 국민민주당(KNDP)이 우세를 점하는 연방 국가가 되었으나, 카메룬의 초대 대통령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는 1966년 [[일당제]]를 도입해 카메룬국민연합(UNC)이 유일한 합법정당이 되었고, 이어서 1972년엔 연방제를 폐지하고 [[단일국가]]로 전환하면서 영어권 지역의 자치권이 박탈되었다. 후대 대통령인 [[폴 비야]] 집권기에도 프랑스어권의 권력 독점이 이어졌다. 2016년 영어권 교사들이 프랑스어화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는데 카메룬 정부군이 실탄을 사격해 유혈 진압함에 따라 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180531122500009|#]] 2017년 10월 1일, SCACUF가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포했으나, 카메룬 정부는 전혀 법적인 효력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곳과 비교해서는 훨씬 빈약하지만 유럽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의 지역이 서유럽 열강들에 의해 분할되었다가 인위적으로 통합된 것이 분리독립과 지역갈등의 가장 큰 원인이란 점에서는 서아프리카의 [[서부 토고랜드]]와 동아프리카의 [[소말릴란드]]와 비슷하다. == 승인 및 내부 문제 == 독립을 선언했으나 이는 국제적으로 승인받진 못하였다. 암바조니아의 초대 대통령은 시시쿠 줄리어스 아유크 타베(Sisiku Julius Ayuk Tabe)였으나 아유크 타베가 2018년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으면서 새뮤얼 이코메 사코(Samuel Ikome Sako)가 2대 대통령이 되었는데, 아유크 타베가 이를 인정하지 않음에 따라 아유크 타베 지지측과 사코 지지측 간 분열이 발생하였다. 화폐는 명목상으론 전자화폐인 암바코인이라는 것을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카메룬의 화폐인 [[CFA 프랑/중앙아프리카|중앙아프리카 프랑]]이 통용된다. == 상징물 == === 국기 === [[파일:암바조니아 국기.svg]] === 국장 === [[파일:암바조니아 국장.svg]] === 국가 === [YOUTUBE(ptnQBfgINUM)] == 외교 == [include(틀:암바조니아의 대외관계)] [include(틀:중앙아프리카의 외교)]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대한민국 내에서는 양측 모두에게 지지 의사를 표시하고 있지 않다.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출력=, 크기=40)] [[북한]]과의 관계 === 무역 대상국중 하나가 카메룬인데 북쪽 항구가 통째로 먹혀버려 무역에 큰 지장이 있을거라 예상되었지만 [[나미비아]] 국기를 들고 암바조니아와도 무역을 하는 듯 하다. 이는 [[모잠비크]]와의 무역에도 쓰는 전술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카메룬, 출력=, 크기=40)] [[카메룬]]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메룬-암바조니아 관계)] 당연하지만 좋지 않다. 2020년 2월 9일 투표소 앞에서 암바조니아인들을 독재 정부 아래에 있는 [[카메룬군]]이 학살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2992027|#]] 현재까지 내전으로 3000명이 죽고 70만 명이 피난을 갔다. === [include(틀:국기, 국명=나미비아, 출력=, 크기=40)] [[나미비아]]와의 관계 === 우호적인 편이다. 긴밀히 관계를 유지하고 하다.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40)] [[영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국-암바조니아 관계)] 영국은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지만, 카메룬 정부의 암바조니아 탄압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 치안 == 분리주의자와 정부군 간 교전 및 무차별적 테러로 치안이 매우 혼란하다. 2018년 미국은 암바조니아를 필수 공무수행자 외 여행금지지역으로 설정했고, 대한민국 외교부도 출국권고를 발령하였다. [[https://www.0404.go.kr/m/dev/newest_view.do?id=ATC0000000006513&pagenum=1&mst_id=MST0000000000041&ctnm=&div_cd=199&st=title&stext=|#]] == 스포츠 == 그나마 [[축구]]가 인기가 있다. 과거 [[NF-보드]]에 가입했었고 [[VIVA 월드컵]]에서도 2006년 4위를 차지했다. 현재 치안 사정으로 인해 [[ConIFA]]에는 미가입한 듯 하다. == 외부 링크 및 관련 기사 == * [[https://en.wikipedia.org/wiki/Ambazonia|영어 위키백과]]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417028?sid=110|[조홍식의세계속으로] 암바조니아와 홍콩의 닮은 꼴]] - 세계일보 [[분류:암바조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