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시아의 수도)] [include(틀:이슬람 도시 기구의 도시)]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cf0921 10%, #fff 10%, #fff 11%, #cf0921 11%, #cf0921 21%, transparent 21%),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000 '''{{{+1 암만}}}[br]عَمَّان[br]Amman '''}}}}}} || ||<-6>[[파일:external/static01.nyt.com/01HOURS-AMMAN1-jumbo.jpg|width=100%]]|| ||<-6>[[파일:external/images.fineartamerica.com/1-a-street-scene-in-amman-jordan-taylor-s-kennedy.jpg|width=100%]]|| ||<-6>{{{#!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Amman,너비=100%,높이=300px)]}}}|||| ||<-1><:>{{{#FFFFFF '''국가'''}}}||<-5>[[파일:요르단 국기.svg|height=15]] [[요르단]]|| ||<-1><:>{{{#FFFFFF '''주'''}}}||<-5>암만 주|| ||<-1><:>{{{#FFFFFF '''면적'''}}}||<-5>1,680km²|| ||<-1><:>{{{#FFFFFF '''인구'''}}}||<-5>4,061,150[* 통계인구, 2021년 기준.]|| ||<-1><:>{{{#FFFFFF '''시간대'''}}}||<-4>UTC+03:00|| [[파일:external/presidential-aviation.com/private-jet-charter-to-amman-jordan.jpg|width=480]] [[파일:external/static1.squarespace.com/1The-ancient-city-of-Rabbath-Ammon-Amman-Jordan-1024x682.jpg|width=480]] [[파일:Roman_theater_of_Amman_01.jpg|width=480]] [목차] [clearfix] == 소개 == * [[아랍어]]: عمّان * [[영어]]: Amman [[요르단]]의 [[수도(행정구역)|수도]]이자 최대도시. 국토의 서북부에 있으며 1,680km^^2^^의 면적에 인구는 400만 명(2016)이다. 고대 지명은 [[필라델피아(동음이의어)|필라델피아]]로, [[암몬]] 지역의 중심지였다. 중세 이후 쇠락했다가 19세기 말엽 재건되어 1921년 요르단의 수도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 자연 == [[로마]]처럼 일곱 언덕 위에 지어진 도시라고 하며, 해발고도 700~1000m의 고원성 지대에 있다. 건조하여 연강수량은 245mm에 불과하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더운 [[스텝(지리)|스텝]] 기후(BSh)로 분류된단다. == 역사 == [[파일:암몬.jpg|width=700]] [[알레포 시타델]]에 버금가는 역사를 지닌 암만 시타델 [[파일:암만 4.jpg|width=700]] 암만 시타델의 헤라클레스 신전 [[파일:암만 시타델 1.webp|width=700]] 시타델 우마이야 사원의 입구 유구 기원전 10세기부터 [[성서]]에 등장하는 [[암몬]]족의 나라가 있었는데, 암몬 민족의 중심지였던 라바트 암몬이 다름아닌 오늘날 암만이다. 헬레니즘-로마 시기에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이곳을 지배하던 마케도니아인 파라오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별명 필라델포스를 따서 [[필라델피아]]로 불렸다. 당시 지어진 헤라클레스 신전의 대리석 거상이 유명했는데, 현재 그 손 일부만이 남아있다. 로마 제국기인 161년에는 6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극장이 지어지는 등 나름 규모있는 도시로 유지되었다. [[우마이야 왕조]] 시기에는 수도 [[다마스쿠스]]의 배후지로써 각광받았고, 모스크와 칼리파의 궁전, 시장, 저수조 등이 지어졌다. 그외에 암만-마다바의 요르단 북부는 우마이야 시대의 별궁 유적이 즐비하다. 다만 750년 우마이야 조의 멸망 이후 제국의 중심이 이라크로 옮겨가고 지진이 연달아 발생하며 도시는 쇠퇴하였다. 기록에 등장한 경우도 [[베두인]]들 사이에서 '사막의 항구'로 불린 것 정도였다. 그러던 12세기 [[십자군]] 국가인 [[예루살렘 왕국]]령 울트레주르뎅에 귀속되었고 아만트 혹은 하만이라 불렸다. 1167년 [[장기 왕조]]의 아미르 [[시르쿠]]가 템플기사단이 지키던 암만을 점령하였다. 다마 십자군 시기부터 아이유브, 맘루크 시대까지 요르단 지역의 중심은 중부의 [[카라크]]로 옮겨졌고 군사적 중요성도 북쪽의 아즐룬 성채에 밀렸으며 행정에 있어서도 14세기 아미르 시르기트미쉬 가문의 지배를 제외하면 남쪽 히스반에 밀렸다. 1517년 [[오스만 제국]]이 [[맘루크 왕조]]를 멸망시키고 요르단 지역을 장악한 이후 요르단 지역의 행정 중심지는 [[살트]]로 옮겨갔고 암만은 폐허가 되어 베두인들이 이동 도중에 잠시 쉬었다 가는 휴식처에 불과할 정도로 완전히 몰락하였다.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에서 독립한 [[발칸 반도]] 국가들에 의해 원 거주지에서 쫓겨난 발칸 반도와 캅카스의 무슬림 난민들이 대거 오스만으로 몰려왔다. 이들의 처리를 두고 골머리를 앓던 오스만 당국은 이들 난민들을 [[레반트]] 지역에 재정착시킨다는 정책을 세웠다. 러시아 제국에서 넘어온 수만 명의 [[체르케스인]] 난민들 역시 레반트에 정착하였는데 1878년 요르단으로 온 체르케스인들이 폐허가 된 암만에 도시를 재건하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암만은 체르케스인들에 의해 갓 재건된 작은 마을에 불과했으나 [[다마스쿠스]]와 [[메디나]]를 연결하는 [[히자즈]] 철도가 개통하면서 암만은 요르단의 상업 중심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오스만 제국이 망하고 1921년에 [[압둘라 1세]]가 이전까지 요르단의 중심도시였던 살트 대신 암만을 트란스요르단 [[에미르]]국(현 요르단의 전신)의 수도로 삼았지만, 1930년 기준으로 인구는 1만에 불과했다. 그러다 요르단 왕국이 건국되고 [[팔레스타인]] 난민의 이주로 인구가 폭증했다. 2010년 시점으로 인구 284만 명이었으나 시리아 내전과 이라크 내전이 있었던 직후 [[시리아]], [[이라크]] 난민들의 유입으로 인해 인구가 더 폭증해 400만에 이르렀다. 따라서 3천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토박이가 거의 없는 도시로 알려져 있다. [[2005년]], 호텔가에서 [[알카에다]]에 의해 서방 언론인, 군 관계자, 외교관 등을 대상으로 한 [[2005년 암만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2018년에는 이곳에서 벌어진 세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시민들에 의해 일어난 [[2018년 요르단 시위]]로 인해 총리가 사임했었던 일에 이어 2022년엔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가 벌어졌을때, 시민들이 폭등한 기름 가격에 불만을 품고 4년만에 또 다시 [[2022년 요르단 시위|반정부 시위]]를 일으키기도 했었다. == 교육 == * [[요르단 대학교]] == 여담 == * 암만의 아랍어 표기(عمان)는 아라비아 반도 동남쪽 왕국인 [[오만]]과 똑같다. [[한국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모음표시로 구별한다고 한다. 직접 구두로 말할 때는 표준 아랍어로는 구별이 가능하긴 하지만 매우 어렵고, 마그레브 방언으로는 방언 자체가 모음이 거의 없어 구별이 불가능한 정도이다. * 요르단의 주요 관인 [[퀸 알리아 국제공항]]이 이 도시에 위치한다. * 2014년 한국의 드라마 [[미생(드라마)|미생]]의 배경으로 종종 등장한 곳이다. * [[도시철도]]는 아직은 없는 상태이다. [[파일:Roman_theater_of_Amman_01.jpg]] [[파일:암만 극장.jpg]] * 시내의 로마 극장의 입장료는 2디나르로, 체류증이 있으면 0.25디나르다. 간혹 국경일 때에 무료 개방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인파가 너무 몰려 제대로 볼 수가 없으니 그냥 입장료 내고 들어가자 == 관련 사이트 == * [[https://overseas.mofa.go.kr/jo-ko/index.do|주 요르단 대한민국 대사관]] * [[https://www.kotra.or.kr/subList/20000005998/ovrssKbc/selectOvrssKbcDetail.do?deptCd=9701|암만 무역관 (KOTRA)]] == 둘러보기 == [include(틀:아시아의 최대도시)] [[분류:암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