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e4d8, #f0e4d8);" '''{{{#3e3f3e C.Ss.R}}}[* 구속주회(Congregatio Sanctissimi Redemptoris) 소속.][br]{{{#3e3f3e {{{+1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br]Alfonso Maria de’ Liguor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알폰소.png|width=100%]]}}} || ||<|2> '''출생''' ||[[1696년]] [[9월 27일]] || ||[[나폴리 왕국]] [[캄파니아]] 마리아넬라 || ||<|2> '''사망''' ||[[1787년]] [[8월 1일]] (향년 90세) || ||[[나폴리 왕국]] [[캄파니아]] 파가니 || || '''학력''' ||나폴리 대학교 {{{-2 ([[민법]], [[교회법]] / [[박사|Ph.D.]])}}} || || '''종교''' ||[[가톨릭]] || || '''직업''' ||[[성직자]]([[주교]]), [[작가|영성 작가]], [[시인(문학)|시인]], [[작곡가]], [[화가]], [[변호사]], [[철학자]], [[신학자]] || || '''사제 서품''' ||[[1726년]] [[12월 21일]] || || '''주교 서품''' ||[[1762년]] [[6월 14일]] 보좌 주교 임명 ---- [[1762년]] [[6월 20일]] 교구장 임명, 주교 서품 || ||<|4> '''재임 기간''' ||<#e7e7e7,#1f2023>초대 구속주회 총장 || ||[[1743년]]~[[1787년]] [[8월 1일]] || ||<#e7e7e7,#1f2023>제49대 산타가타데고티교구장 || ||[[1762년]] [[6월 20일]]~[[1775년]] [[6월 26일]] || ||<-5> '''역임 직책''' || ||<-5>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ffffff,#ffffff 역대 구속주회 총장}}}''' || || – ||<|2> ← || '''초대''' ||<|2> → || 2대 || || – ||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2 ([[1743년]]~[[1787년]])}}} || 프란체스코 안토니오 데 파올라 {{{-2 ([[1787년]]~[[1793년]])}}} || ||<-5> '''{{{#ffffff,#ffffff 역대 가톨릭 산타가타데고티교구장}}}''' || || 48대 ||<|2> ← || '''49대''' ||<|2> → || 50대 || || 플라미니오 단차 {{{-2 ([[1735년]]~[[1762년]])}}} ||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2 ([[1762년]]~[[1775년]])}}} || 오노프리오 데 로시 {{{-2 ([[1775년]]~[[1784년]])}}} || }}}}}}}}}}}} || ||<-5> '''성인 정보'''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인명'''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folding [언어별 명칭] [[라틴어]]: 알폰수스 마리아 아 리고리오 {{{-2 (Alphonsus Maria a Ligorio)}}} [[영어]]: 알폰서스 마리아 데 리구오리 {{{-2 (Alphonsus Maria de Liguori)}}} [[프랑스어]]: 알퐁스 마리 드 리구오리 {{{-2 (Alphonse Marie de Liguori)}}} [[독일어]]: 알폰스 마리아 폰 리구오리 {{{-2 (Alfons Maria von Liguori)}}} [[스페인어]]: 알폰소 마리아 데 리고리오 {{{-2 (Alfonso María de Ligorio)}}} [[이탈리아어]]: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2 (Alfonso Maria de’ Liguori)}}}}}} || || '''칭호''' ||[[교회학자]](지극히 열정적인 박사)[* Doctor Zelantissimus], 윤리신학자들의 왕자 || || '''시복''' ||[[1816년]] [[9월 15일]], [[교황]] [[비오 7세]] || || '''시성''' ||[[1839년]] [[5월 26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 || '''축일''' ||[[8월 1일]]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주교]], [[작가|영성 작가]], [[시인(문학)|시인]], [[작곡가]], [[화가]], [[변호사]], [[철학자]], [[신학자]].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봉사와 국내외 [[선교]]를 목적으로 한 [[수도회]]인 구속주회를 설립했고, [[예정설]]을 극단적으로 강조한 [[가톨릭]] [[이단/기독교|이단]]인 얀센주의를 비판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그는 또한 [[문학]], [[음악]], [[미술]], [[법학]], [[철학]], [[신학]] 등 다방면에서 두루 활동한 다재다능한 [[천재]]로서 <윤리신학>, <성모 마리아의 영광>, <십자가의 길>, <별하늘에서 내려오신다>와 같은 수많은 저서, 시, 노래들을 남겼다. [[가톨릭]]에서는 [[성인(기독교)|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 축일은 [[8월 1일]]이다. == 사후 공경 ==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는 1816년 9월 15일 [[교황]] [[비오 7세]]에 의해 [[시복식|시복]]되었고, 그로부터 약 23년 뒤인 1839년 5월 26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에 의해 [[시성식|시성]]되었다. 축일은 그의 기일인 8월 1일로 지정되었다. 또한 시성되기 8년 전인 1831년 7월 22일 리구오리는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칙령에 따라 윤리신학자들의 왕자라는 칭호와 더불어, 고해와 관련해서 그가 내세웠던 어떤 의견이든 간에 고해신부들은 그 근거를 따지지 않고 필시 따르도록 하는 전무후무한 영예를 부여받았다. 1871년 리구오리는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교회학자]]로 선포되었고, 1950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고해신부와 윤리신학자들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1949년 구속주회 측에서 [[로마]]에 [[가톨릭]] 윤리신학을 전문적으로 가르치고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교육 기관을 세웠다. 교명은 설립자의 이름을 딴 알폰소 아카데미[* 알폰시아눔(Alphonsianum)이라는 약칭으로도 알려져 있다.]로 명명했다. 알폰소 아카데미는 1960년을 기점으로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의 신학대학과 협력해 윤리신학 특화 교육 기관으로 발전했다. 그리고 2023년 교황 [[프란치스코(교황)|프란치스코]]는 알폰소 아카데미가 신학계에 일구었던 그간의 공로들을 인정함으로써 해당 학교에게 교황청립이라는 명칭을 수여했다. [[분류:1696년 출생]][[분류:1787년 사망]][[분류:나폴리 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이탈리아의 가톨릭 주교]][[분류:이탈리아 남성 작가]][[분류:이탈리아의 시인]][[분류:이탈리아의 작곡가]][[분류:이탈리아의 화가]][[분류:이탈리아의 법조인]][[분류:이탈리아의 근대 철학자]][[분류:가톨릭 신학자]][[분류:교회학자]][[분류:가톨릭 성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