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05년 출생]][[분류:1877년 사망]][[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독일의 귀족]] [include(틀:1870~1880년대의 독일제국군/북독일 연방의 장성급 장교)] |||| '''{{{#fff 독일 제국군 보병대장[br]{{{+1 알브레히트 구스타프 폰 만슈타인}}}[br]Albert Gustav von Manstein }}}'''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구스타프 폰 만슈타인.jpg|width=100%]]}}} || ||<#666> {{{#FFF 이름}}} ||'''Albert Ehrenreich Gustav von Manstein'''[br]알베르트 에렌라이히 구스타프 폰 만슈타인[*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만슈타인'으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 ||<#666> {{{#FFF 출생}}} ||[[1805년]] [[8월 24일]] [[프로이센 왕국]] || ||<#666> {{{#FFF 사망}}} ||[[1877년]] [[5월 11일]](향년 71세) [[독일 제국]]|| ||<#666> {{{#FFF 복무}}} ||프로이센군(1822년~1871년)[br][[파일:독일 제국 전쟁기.svg|width=25]] [[독일 제국군]](1871년 ~ 1873년) || ||<#666> {{{#FFF 최종계급}}} ||[[파일:General_(Wurttenburg).gif|width=35px]] 독일 제국군 보병대장|| ||<#666> {{{#FFF 주요참전}}}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br]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br][[프로이센-프랑스 전쟁]]|| ||<#666> {{{#FFF 서훈}}} ||[[백엽 푸르 르 메리트]]|| ||<#666> {{{#FFF 가족}}} ||친자:게오르크 폰 만슈타인[br]양손자:'''[[에리히 폰 만슈타인]]'''|| [목차] [clearfix] == 개요 == 알브레히트 구스타프 폰 만슈타인은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의 군인으로 최종계급은 보병대장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에리히 폰 만슈타인]]의 친척이다.[* 원래 에리히는 레빈스키 가문의 아들로, 알브레히트 구스타프 폰 만슈타인과의 관계는 아예 없다.] == 생애 == 1805년, 알브레히트 구스타프 폰 만슈타인은 [[프로이센 왕국]]에서 테어났다. 1822년 소위로 임관되어 제3 보병 여단에 배치되었다. 이후 진급을 통해 중장의 계급으로 6사단의 사령관이 되었다. 6사단의 사령관으로 만슈타인은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 참전하였다.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공으로 여러가지 훈장을 받았다. 이후 [[보오전쟁]]에서도 같은 사단을 지휘하였다. 특히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만슈타인의 부대는 큰 활약을 하였고, [[푸르 르 메리트]]를 받았다. 1867년, 만슈타인은 보병대장이 되었고, [[에트빈 폰 만토이펠]]의 후임으로 9군단의 사령관이 되었다. 만슈타인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2군 밑에 배치된 9군단을 지휘하였다. [[그라블로트 전투]]에서 그의 군단은 계속하여 프랑스군을 돌파하려고 했으나 실패하였다. 하지만, 나중에는 돌파해네는데 성공하였다. 그 외에도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우며 백엽 푸르 르 메리트를 받았다. 1873년 전역하였으며, 전역 전에 검은 독수리 훈장을 받았다. 1877년 독일 제국에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