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0460 , #0659D6)" {{{#F7F7F7 ''' 알리체 로르바케르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90]] || ||<-5><:> [[칸 영화제/그랑프리|{{{#e5d85c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 ||<:> ''' [[제66회 칸 영화제|제66회]] [br] ([[2013년]]) ''' ||<:> {{{+1 → }}} ||<:> ''' [[제67회 칸 영화제|제67회]] [br] ([[2014년]]) ''' ||<:> {{{+1 → }}} ||<:> ''' [[제68회 칸 영화제|제68회]] [br] ([[2015년]]) ''' || ||<:>[[코엔 형제]][br]([[인사이드 르윈]])||<:> {{{+1 → }}} ||<:>'''알리체 로르바케르[br](더 원더스)'''||<:> {{{+1 → }}} ||<:>라즐로 네메스[br]([[사울의 아들]])|| ||<-5><:> {{{#E5D85C '''[[칸 영화제/각본상|{{{#E5D85C 각본상}}}]]'''}}} || ||<:> ''' [[제70회 칸 영화제|제70회]] [br] ([[2017년]]) ''' ||<:> {{{+1 → }}} ||<:> ''' [[제71회 칸 영화제|제71회]] [br] ([[2018년]]) ''' ||<:> {{{+1 → }}} ||<:> ''' [[제72회 칸 영화제|제72회]] [br] ([[2019년]]) ''' || ||<:> [[요르고스 란티모스]], 에프티미스 필리포[br]([[킬링 디어]])[br][[린 램지]][br]([[너는 여기에 없었다]]) ||<:> {{{+1 → }}} ||<:> [[자파르 파나히]], 나데르 사에이바[br](3개의 얼굴들)[br]'''알리체 로르바케르[br]([[행복한 라짜로]])'''||<:> {{{+1 → }}} ||<:> [[셀린 시아마]][br]([[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 ||<-5><:> || ---- }}} || ||<-2> '''{{{+1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 본인은 '알리셰'에 가깝게 발음하는데 이는 토스카나 사투리이다.]}}}[br]Alice Rohrwach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ice_Rohrwacher.jpg|width=100%]]}}}|| ||<|2> '''출생''' ||[[1981년]] [[12월 29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에솔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 '''활동''' ||2005년 ~ 현재|| || '''장편 데뷔''' ||2011년 《천상의 육체》|| || '''가족''' ||배우 '알바 로르바케르' ,,(언니),,[br]음악가 '피에로 크루치티' ,,(남편),,[br]배우 '아니타 크루치티' ,,(딸),,||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1970년대에 크게 활약했던 [[리나 베르트뮐러]] 이후로 가장 주목받는 이탈리아 여성 감독이다. 그의 영화는 [[이탈리아 영화]]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본인 만의 창의성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는다. == 생애 및 작품 활동 == 양봉업자인 독일인 아버지와 이탈리아인 어머니 밑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이탈리아 [[움브리아]] 주의 작은 지역에서 자랐다. 이 시기의 경험이 반영된 것은 감독의 두번째 장편 《더 원더스》. Rohrwacher라는 성은 독일계 성씨로 나라마다 읽는 방법이 다른데 이탈리아에선 로르바케르에 가깝다. 감독 본인도 로르바케르라고 부른다. 이탈리아의 명문 [[토리노 대학교]]에서 철학과 문학을 전공하고 이후 영화 각본을 공부해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경력을 시작한다. 2011년 장편 극영화 데뷔작 《천상의 육체》는 [[칸 영화제]] 감독 주간에 초청되었고 이후 불과 두번째 장편 영화인 《더 원더스》로 2014년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해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해 이탈리아 영화의 새로운 주자로 떠오른다. 2018년 칸 영화제에서는 《[[행복한 라짜로]]》로 각본상을 수상했다. 불과 세 편의 장편 영화로 세계 영화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감독이다. 알리체 감독의 영화 속 이탈리아 농촌과 농민들의 목가적이고 생생한 풍경은 [[네오 리얼리즘]] 및 [[타비아니 형제]], [[에르만노 올미]]를 계승한다고 여겨지며 행복한 라짜로에서 초현실적인 요소가 등장한 것에는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감독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 필모그래피 == === 장편 영화 === * 천상의 육체(2011) * 더 원더스(2014) - [[칸 영화제/그랑프리]] * [[행복한 라짜로]](2018) - [[칸 영화제/각본상]] * [[키메라(2023)|키메라]](2023) === 단편 영화 === * [[어린 소녀들]](2022) == 기타 == * 일찍 결혼해서 10대 자녀가 있다. 딸을 본인의 영화에 종종 출연시키는 편. 남편인 피에로 크루치티는 뮤지션으로 알리체 감독의 영화 음악 작업에 참여했다. * 알리체 감독 영화의 단골 출연자인 배우 알바 로르바케르와 자매 지간이다. 알바 로르바케르는 이탈리아에서 상당한 배우인데 [[아담 드라이버]]와 함께 출연한 영화 《헝그리 하트》로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미우 미우]]와 콜라보레이션으로 아트 필름을 만든 적이 있다. * [[봉준호]] 감독이 그의 팬으로 유명하며[* 특히 [[행복한 라짜로]]를 좋아해 [[씨네21]]에서 진행한 2010년대 영화 베스트 10 설문조사에서 10편 중 한편으로 선정했으며, 2022년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에서도 최고의 영화 10편 중 한편으로 꼽았다.] 다음 세대를 이끌어 갈 감독들 중 하나로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을 뽑았다. 해외 영화제에서 만나 대화도 나눴다고 한다. *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칸 영화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던 해에 심사위원 중 하나였다. 알리체 감독이 이탈리아 언론에서 나눈 얘기를 보면 당시 경쟁부문 중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의 <배신자>도 지지했었는데 해당 영화는 수상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 《더 원더스》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 수상 당시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배우 [[소피아 로렌]]이 시상자로 나왔다. * 《행복한 라짜로》의 프로듀서 중 하나는 [[마틴 스콜세지]]다. [[https://www.indiewire.com/2018/09/happy-as-lazzaro-alice-rohrwacher-martin-scorsese-1202005479/|#]] * 현재까지 발표된 장편 영화 모두 디지털이 아닌 필름으로 촬영되었다. * 가장 좋아하는 [[황금종려상]] 수상작은 [[에르만노 올미]] 감독의 《[[나막신 나무]]》로 어린 시절 비디오 테이프로 해당 영화를 보면서 오프닝에 '황금종려상 수상작'이라는 문구가 뜨자 놀랐다고 한다. * 2022년에 좋은 길(La Buona Strada)이라는 제목의 동화책을 발표했다. *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배우급의 상당히 [[미인]]이다. 영화 감독 중 보기 드물고, 손에 꼽힐 만한 미모다. [[분류:이탈리아 영화 감독]][[분류:1981년 출생]][[분류:토스카나 주 출신 인물]][[분류:독일계 이탈리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