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알라셰히르 터키 2.jpg|width=880]] 시가지 전경. [[파일:터키 알라셰히르 2.jpg|width=880]] 도심 속의 옛 성당 유적 [[파일:알라셰히르 터키.jpg|width=880]] 성 요한 성당 유적 [목차] == 개요 == {{{+1 Alaşehir }}} [[튀르키예]] 서부의 도시. [[이즈미르]]에서 동쪽으로 110km, [[데니즐리]]에서 서북쪽으로 60km, [[아이든]]과 [[우샤크]]와 [[아크히사르]]에서 각각 동북 / 서남 / 동남쪽으로 75km 떨어진 쿠주차이 (코가무스) 협곡 분지에 위치한다. 인구는 5만의 소도시지만 중세에는 [[요한계시록]]의 소아시아 7대 교회 중 하나인 빌라델비아였고, 세계 각지에 있는 [[필라델피아]] 지명의 유래가 될 정도로 번영하였다. 20세기 초까지는 소아시아의 주요 기독교 거점 중 하나였다. 시가지는 보즈다으 (트몰루스) 산과 게디즈 (헤르무스) 강의 알라셰히르 지류 사이에 동서로 길게 펼쳐져 있다. 한때 45개의 모스크와 여러 교회가 있었지만 [[튀르키예 독립 전쟁]] 중의 대화재로 대부분 소실되었다. 현재는 일대의 미네랄 온천과 건포도 용으로 쓰이는 설태너 청포도 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옛 교회 유적을 방문하려는 성지 순례객들이 종종 방문한다. 시가지 동북쪽에는 군사 기지가 있다. == 역사 == [[파일:알라셰히르 터키 3.jpg|width=880]] 성 요한 성당 유적. 현재 건축물은 서기 600년 경에 세워진 것이다 기원전 189년 [[페르가몬 왕국]]의 [[에우메네스 2세]]가 '형제를 사랑하는 자'라는 의미인 필라델포스란 별명을 지닌 동생이자 후계자 [[아탈로스 2세]] 필라델포스를 기리며 세워진 도시로, 향후 필라델피아란 지명의 근원이 되었다. 이후 [[로마 제국]]기에는 [[사르데스]] 관할의 도시였다. 서기 17년 대지진을 겪은 도시에 대해 [[티베리우스]] 황제는 면세 혜택을 주었고, [[칼리굴라]] 황제 역시 재건을 도왔다. [[베스파시아누스]] 치세에는 그의 가문명인 플라비아가 더해졌고, [[카라칼라]]의 치세에는 황제 숭배가 행해지며 자체 주조된 동전에 신전 관리자란 의미인 네오코론이 새겨졌다. 한편 필라델피아 (빌라델비아)는 초기 기독교 거점 중 하나였고, 서기 1세기에 쓰여진 [[요한계시록]]에서 소아시아 7대 교회 중 6번째로 언급되었다. 빌라델비아 교회는 서마나 ([[스미르나]]) 교회와 함께 가장 긍정적으로 묘사되었고, 따라서 이후 [[개신교]] 교회들이 종종 필라델피아란 이름을 사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동로마 제국]]기 인근 [[에페소스]]나 [[사르데스]]가 쇠퇴하며 필라델피아는 일대의 중심으로 성장하였고, 6세기 들어 '작은 [[아테네]]'라 불릴만큼 번영하였다. 다만 각종 다신교 축제와 신전이 남아있는 등 당시까지도 완전히 기독교화가 되지는 않았고, 이단으로 규정된 몬타누스파의 사도 암미아가 필라델피아 출신이었다. 서기 600년 경에는 돔을 지닌 성 요한 바실리카가 세워져 일부 잔존한다. 또한 성벽도 둘러졌으나 현재는 북벽 일부만 잔존한다. [[만지케르트 전투]] 후 1074년과 1093-94년 튀르크 인들이 점령했으나 1098년 [[1차 십자군]]과 함께 동로마 군이 수복하였고, 이후 트라케시온 테마의 둑스 (총독)와 스트라토페다르크 (군관)가 상주하는 최전방 군사 거점이 되었다. 다만 12세기 말엽 제국이 쇠퇴하자 필라델피아는 종종 반란의 거점이 되었다. === 혼란기 === [[파일:터키 필라델피아.jpg|width=660]] 필라델피아를 거점으로 자립한 [[테오도로스 마카파스]]가 현지에서 주조한 은화 1182년 5년전 [[히엘리온-리모키르 전투]]의 승장 [[요안니스 콤니노스]] 바타치스가 권신이자 제위를 노리던 5촌 당숙 [[안드로니코스 1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켜 필라델피아 부근에서 제국군을 격파했으나 곧 병사하였다. 1188년에는 현지 귀족 [[테오도로스 마카파스]]가 반란을 일으켜 황제를 칭하였고, 이에 [[이사키오스 2세]]가 남하하여 필라델피아를 포위했지만 마침 다가오던 [[3차 십자군]]이 급선무였기에 협상에 나서 테오도로스는 칭제를 관두는 대신 일대에 대한 자치권을 얻었다. 1193년 트라케시온 테마의 장군 바실리오스 바타치스에게 패하여 [[룸 셀주크]]에 망명했던 테오도로스는 [[4차 십자군]]의 혼란을 틈타 재차 필라델피아에서 거병하여 리디아 지역을 석권하였다. 더 나아가 동로마 제국을 복원하려 북상하던 그는1205년 3월 아드리미티움 전투에서 [[라틴 제국]]에게 패배하여 세력이 꺾였고, 곧이어 [[니케아 제국]]의 [[테오도로스 1세]]에게 필라델피아마저 상실한 후 포로 신세로 죽었다. === 소아시아 최후의 보루 === [[파일:Byzantine_Empire_1350.png|width=660]] 1350년경 동로마 제국 강역. 고립된 필라델피아가 보인다 [[니케아 제국]]과 복원된 동로마 제국 하에 필라델피아는 재차 안정을 누렸고, 제국 내의 주요 가죽 제품 및 붉은 비단의 생산지로써 [[제노바]] 상인 공동체가 형성되는 등 경제적으로 번영하였다. 14세기 들어 필라델피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산하 리디아 대주교구의 중심이 되었고, 20세기 초까지 그리스 정교회의 소아시아 19개 대주교구 중 하나였다. 필라델피아는 1337년 이래로 [[오스만 제국]]과 [[아나톨리아 베이국]] 등 튀르크 세력에 둘러싸여 수도와의 육상 연결이 끊겼음에도 여전히 명목상으로 동로마 령이었고, [[로도스 기사단]]의 도움으로 일종의 중립 도시로 남았다. 전략적 / 무역 거점으로써 중시되던 필라델피아는 1370년대 동로마 내전 당시 [[요안니스 5세]]와 [[마누일 2세]]가 군사 원조를 대가로 오스만 측에 할양한다고 약속하여 본국으로부터도 버려졌다. 그럼에도 주민들은 저항을 택하였고, 12년 간의 봉쇄 끝에 1390년 술탄 [[바예지트 1세]]에 의해 함락되었다. 당시 포위 진영에서는 오스만 측에 제후로써 참전한 [[요안니스 7세]]와 [[마누일 2세]]가 무력히 이 광경을 지켜보았다. 이후 튀르키예식 지명인 알라셰히르로 명명된 도시는 1402년 [[앙카라 전투]] 후 [[티무르]]에게 점령되었고, 그는 포로들의 시신으로 벽을 세웠다고 한다. === 근현대 === [[파일:알라셰히르 터키 8.jpg|width=650]] 알라셰히르 의회 (Alaşehir Kongresi) 오스만 시기 알라셰히르는 [[마니사]]에 기반한 사루한산작에 속한 중소 도시였고, 19세기 말엽 발칸 무슬림들이 정착하였다. 1917년 발칸 무슬림 집안에서는 후일 [[튀르키예]] 7대 대통령에 오르는 [[케난 에브렌]]도 있었다. [[튀르키예 독립 전쟁]]기인 1919년 9월 알라셰히르에서는 [[튀르키예 대국민 의회]]의 지방 회의인 알라셰히르 의회가 열렸고, 대그리스 항전과 민병대의 정규군화 및 전사자 유가족에 대한 보상 등을 결의하였다. 다만 이듬해 그리스군이 점령했다가 1922년 튀르키예군이 수복했는데, 그 과정에서 화재가 벌어져 3천여명이 사망하고 시가지 70%가 전소되었다. 이로써 옛 건물 상당수가 소실되어 그 역사에 비해 남은 유적이 적은 편인 것이다. 이듬해에는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으로 그리스계 주민들이 떠났고, 그들은 아테네 외곽에 네아 (new) 필라델피아를 세웠다. 이로써 인구가 크게 줄어 소도시로 전락하였고, 1969년에는 규모 6.7의 지진이 발생하여 53명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 갤러리 == [[파일:터키 알라셰히르 5.jpg|width=925]] ||[[파일:터키 알라셰히르 셰이흐 시난 자미.png|width=334]]||[[파일:알라셰히르 터키 5.jpg|width=561]]|| |||| 셰이흐 시난 자미 (모스크) & 튀르베시 (영묘) |||| [[파일:터키 알라셰히르 쿠르슌루 한.jpg|width=925]] 쿠르슐루 한 === 성 요한 바실리카 유적 === [[파일:터키 알라셰히르 1.jpg|width=933]] [[파일:알라셰히르 터키 6.jpg|width=933]] ||[[파일:빌라델피아 터키.jpg|width=602]]||[[파일:알라셰히르 터키 7.jpg|width=300]]|| [[파일:알라셰히르 터키 1.jpg|width=933]] [[파일:터키 알라셰히르 4.jpg|width=933]] [[파일:터키 알라셰히르 3.jpg|width=933]] [[파일:알라셰히르 터키 4.jpg|width=933]][[분류:튀르키예의 도시]][[분류:마니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