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보편 칼리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20%, #000000 80%, #000000);" '''{{{#FFF,#FFF 아바스 왕조 제44대 칼리파}}}[br]{{{#FFF,#FFF {{{+1 알 무타와킬}}}[br]المتوكل على الله الأول}}}'''}}} || || {{{#FFF,#FFF '''이름'''}}} ||아부 아브드 알라 알 무타와킬 알아 알라[br]أبو عبد الله محمد المتوكل على الله || ||<|2> {{{#FFF,#FFF '''출생'''}}} ||미상 || ||[[맘루크 왕조]] [[카이로]] || ||<|2> {{{#FFF,#FFF '''사망'''}}} ||1406년 1월 9일 || ||[[맘루크 왕조]] [[카이로]] || ||<|6> {{{#FFF,#FFF '''재위 기간'''}}} ||{{{#000 아바스 칼리파 {{{-2 1차}}}}}} || ||[[1362년]] ~ [[1377년]] '''(15년)''' || ||{{{#000 아바스 칼리파 {{{-2 2차}}}}}} || ||[[1377년]] ~ [[1388년]] '''(11년)''' || ||{{{#000 아바스 칼리파 {{{-2 3차}}}}}} || ||[[1389년]] ~ [[1406년]] [[1월 9일]] '''(17년)''' || || {{{#FFF,#FFF '''전임자'''}}} ||[[알 무타디드 1세]] || || {{{#FFF,#FFF '''후임자'''}}} ||[[알 무스타인(카이로 칼리파)|알 무스타인]] || || {{{#FFF,#FFF '''부모'''}}} ||[[아버지]] : [[알 무타디드 1세]] || || {{{#FFF,#FFF '''종교'''}}} ||[[이슬람]] [[수니파]]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바스 왕조]] 44대 [[칼리파]]. == 생애 == [[알 무타디드 1세]]의 아들로, [[카이로]] 출신이지만 출생년도는 알 수 없다. 1362년 아버지가 사망한 뒤 앗 자히르 사이프 앗 딘 쿠쉬카담에 의해 새 칼리파로 등극했다. 1377년 알 아슈라프 자인 앗 딘 샤바안이 사망한 뒤 새 술탄이 된 알 만수르 알라 앗 딘 알리는 그를 폐위시키고 [[알 와시크 1세]]의 아들 [[알 무스타심 2세]]를 칼리파로 선임했다. 하지만 곧 마음을 바꿔 알 무스타심 2세를 폐위하고 그를 복위했다. 1382년, 앗 살리흐 살라흐 앗 딘 하지가 축출되고 [[바르쿠크]]가 새 술탄으로 등극했다. 1383년 바르쿠크를 축출하려던 음모가 발각되었는데, 그는 이 음모에 연루되는 바람에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된 뒤 처형될 위기에 몰렸다. 하지만 술탄이 칼리파를 죽이는 건 있을 수 없다는 반발에 직면한 바르쿠크는 마음을 바꿔 그를 폐위시키고 먼 곳에 유배했다. 이후 6년간 유페 생활을 하던 그는 1389년 바르쿠크가 축출된 뒤 새 술탄 앗 살리흐 살라흐 앗 딘 하지에 의해 칼리파에 복위했다. 1390년 바르쿠크가 봉기를 일으켜 하지를 몰아내고 술탄에 복귀했다. 그는 이번에는 바르쿠크에게 복종하겠다고 서약했고, 바르쿠크는 이에 만족하여 그가 칼리파를 유지하는 걸 용인했다. 바르쿠크는 1399년 6월에 사망했고, 장남 앗 나시르 나시르 앗 딘 파라즈가 뒤를 이었다. 1405년 바르쿠크의 차남 알 만수르 이즈 앗 딘 압둘 아지즈가 반란을 일으켜 형을 몰아내고 술탄에 올랐지만, 얼마 안가 파라즈가 동생을 물리치고 술탄에 복위했다. 1406년 1월 9일, 알 무타와킬 2세는 사망했다. 사후 [[알 무스타인 2세]]가 새 칼리파로 등극했다. [[분류:아바스 칼리파]][[분류:1406년 사망]][[분류:카이로 출신 인물]] == 대중 매체 == 크킹2 1337년 시나리오에 어린아이로 등장한다. 크킹2 시점에서 볼수있는 마지막 보편 칼리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