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 철학사/현대 철학)] [include(틀:공산주의)] ||<-2> {{{+1 {{{#ffe400 '''안토니오 네그리'''}}}}}} [br] {{{-1 {{{#ffe400 ''Antonio Negri''}}}}}}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versobooks-prod.s3.amazonaws.com/ton_negri_photo-ec1ea8aafd888547a8f0e53e3690387a.jpg|width=100%]]}}} || || ''' 필명''' ||'''토니 네그리'''[* 1979년 체포되기 전까지는 철학 서적에는 "안토니오 네그리", 정치적 서적에는 "토니 네그리"라고 구분했지만, 체포된 이후부터는 그러지 않는다고 한다.] ({{{-1 ''Toni Negri''}}}) || ||<|2> '''출생''' ||[[1933년]] [[8월 1일]], {{{-2 ([age(1933-08-01)]세)}}} || ||[[이탈리아 왕국]] [[파도바]]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모교''' ||[[파도바 대학교]][br]이탈리아 역사 연구소 || || '''경력''' ||[[파도바 대학교]][br][[파리 제8대학교]][br][[파리 시테 대학교|파리 제7대학교]][br]국제철학대학교 || || '''학파'''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콤비와 [[안토니오 그람시]]의 영향을 각각 받아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자(들뢰즈 마르크스주의)로 분류하기도 하고 신마르크스주의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탈리아 자율주의[* 보통 자율주의라고 하면 네그리만을 가리키지만 마리오 트론티(Mario Tronti) 같은 다른 철학자들도 존재한다. 물론 인지도는 네그리에 비해 훨씬 떨어진다. 간혹 [[조르조 아감벤]]을 [[https://iep.utm.edu/agamben/|이쪽으로 분류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바뤼흐 스피노자|신스피노자주의]] || || '''직업''' ||[[정치인]], [[철학자]] || || '''소속 정당'''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이탈리아 사회당]] ,,(1956~1963),,[br][[급진당(이탈리아)|급진당]] ,,(1983?~?),,[* 평생 [[공산주의]] [[철학자]]로 유명한 네그리였지만 정작 '''평생 동안 [[이탈리아 공산당|공산당]]에는 한 번도 입당해본 적이 없다.''' 도리어 그와 안 어울리게, 정치 활동은 대부분 [[중도좌파]] 정당에서 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 사상가. 윤리철학 및 정치철학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자율주의 운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미셸 푸코]] 외에도 [[자크 데리다]],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등과 친분이 있었다. 마이클 하트(M. Hardt)와는 사제지간이다. == 생애 == [[이탈리아]] [[파도바]]의 [[좌파]] 노동자 집안에서 [[1933년]]에 태어났다. 불과 2세 때 아버지를 [[파시스트]]들에게 잃었고, 성장한 후에는 [[파도바 대학]]에서 정치학 교수를 지냈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까지 이탈리아에서는 기존의 [[이탈리아의 사회주의|사회주의]] 정당들[* [[1963년]]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이탈리아 사회당]]이 [[기독교민주당(이탈리아)|기독교민주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한 것을 계기로 [[노동자]] 계층이 사회당에 등을 돌렸다]과 노선을 달리하는 비의회 좌파 계열 운동이 굉장히 활발하게 일어났는데, 네그리는 이때 사상적으로 중심적인 역할을 했고 이탈리아 자율주의(아우토노미아) 운동이 여기서 시작되었다. 그러다가 [[붉은 여단]]이 [[알도 모로]] 전 [[이탈리아 총리|총리]] 납치살해 사건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탄압을 받게 되자 네그리는 [[1979년]] 알도 모로 수상 살해의 주모자로 체포되었다.[* 토니 네그리는 붉은 여단의 행동에는 직접적 관련이 없었다. 오히려 네그리는 이때 붉은 여단의 무장 투쟁 노선을 저지하기 위한 문건에 서명했다가 붉은 여단의 1순위 제거 대상으로 찍힌 상태였다. 네그리는 자율주의 노동자 운동의 핵심 사상가였기 때문에 체포당했다. 이때 이탈리아 언론은 네그리를 까티보 마에스트로, 즉 악의 지도자라면서 대대적으로 선전하였다.] 네그리는 수감 생활 중 [[1983년]] 의원 면책 특권을 받기 위해 [[급진당(이탈리아)|급진당]]에 입당하여 [[총선]] [[공천]]을 받고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면책 특권]]으로 잠시 풀려나지만, 면책 특권 박탈을 위한 소송이 시작되고 두 달 후 기어이 하원에서 면책 특권을 박탈당하자 [[프랑스]]로 망명했다. 네그리는 체포될 때 [[미셸 푸코]], [[질 들뢰즈]], [[자크 데리다]] 등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쟁쟁한 철학자들이 구명운동을 전개할 정도로[* 이른바 "L'Appel des intellectuels français contre la repression en Italie"(이탈리아에서 억압에 반대하는 프랑스 지식인들의 성명서)로 알려져있다. [[펠릭스 가타리]], 질 들뢰즈와는 개인적으로도 친구 관계로 발전하는데, 나중에는 가타리와 함께 또 [[공산주의]]적인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지지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망명]] 생활 중 [[파리 제8대학교]]에서 [[강의]]를 할 수 있었고 자신의 철학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1997년]] 아직도 수배와 망명 생활을 하고 있는 자율주의 운동가들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망명 생활을 끝내고 이탈리아로 돌아왔지만, 다시 수감되었다.[* 이때 이탈리아 당국은 네그리를 죽이려고 했던 붉은 여단 조직원과 같은 방에 네그리를 가뒀는데, 네그리는 그와 좋은 친구가 됐다고 한다(...). 후일 네그리는 그때 날 죽이려던 사람들은 더 이상 [[공산주의자]]가 아니지만 자신은 여전히 공산주의자라면서 씁쓸해했다.] 네그리가 재수감될 때 전세계적인 구명운동이 펼쳐지기도 하였다. 이후 1999년부터는 가택 연금으로 전환되었고, 2003년이 되어서야 연금에서 풀려났다. 이후 활발한 저술, 강연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 연구 == 자율주의(autonomia)운동의 창시자 격이며,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등과 교류하면서 포스트 모더니즘 철학을 종합-계승하여 독자적 철학 영역을 개척했다. 네그리는 다중(multitude)과 [[제국]](empire)에 대한 저작들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현 시대의 상태를 제국[* [[제국주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이라는 개념으로 규정하는데, 이때 제국이라는 것은 어떤 질서에 대한 여집합을 만들지 않고 모든 것을 내포하려고 하는 세계 질서를 의미한다. [[체 게바라]]가 자본주의와 [[미국]]에 대항해 싸웠지만 사후에는 [[자본주의]]에 의해 아이콘으로써 상품화되는 상황을 떠올려 보면 간단하다. 체제에 외부가 없다면 어떻게 변화가 추동되는가 하는 물음에서 도출한 것이 다중이라는 개념이다. 다중은 통일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복수성의 총체이다. 과거의 [[사회주의]]가 [[프롤레타리아|노동계급]]의 어떤 전형을 설정하고[* 예) 대공장 [[노동자]]]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변화를 추동한다면 네그리의 다중은 현대의 분화된 노동계급들을 총체로써 긍정하고 이들의 자율성이 체제의 변화를 추동한다고 본다. 질 들뢰즈로부터는 상호간에 영향을 다수 받았는데, 두 명은 [[바뤼흐 스피노자]]에 대한 연구로도 권위가 있다. 네그리가 다중 운동과 관련해,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 "분자 혁명" 등의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면, 들뢰즈의 "소수-되기"의 정치 철학은 네그리의 다중 개념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세계 각지에서 벌어지고 있는 마을 공동체 운동이나 사회적 협동조합 운동들이 네그리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한편으로는 고전 마르크스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지나치게 이상론에 기댄다고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한 인물이다. [[2011년]] [[아랍의 봄]] 당시 [[2011년 이집트 혁명|이집트 혁명]]을 다중에 의한 정치 혁명이라고 치켜세웠다가 이후 [[이집트]]가 이슬람 극단주의와 뒤이은 [[압델 파타 엘 시시|독재자]]의 출현으로 엉망진창이 되어버리자 슬그머니 입장을 접은 것이 대표적인 사례. 이 때문에 한국 내에서는 [[2000년대]] 화제가 되었던 것과 달리 현재에는 그다지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2016년]] [[박근혜 퇴진 운동|촛불시위]] 이후에 잠시 네그리의 다중운동을 촛불 시위를 들어 설명하려는 사람들이 있어 다시 주목을 받기도 했다.] == 저작 == * 지배와 사보타지(Domination and Sabotage) : 1977. * 마르크스를 넘어선 마르크스(Marx beyond Marx) : 1978. * 자유의 새로운 공간(New spaces of Liberty) : 1985. F. Guattari와 공저. * 디오니소스의 노동(Labor of Dionysos) : 1994. * '''제국'''(Empire) : 네그리를 대표하는 저작. 2001. M. Hardt와 공저. * 다중: 제국이 지배하는 시대의 전쟁과 민주주의(Multitude: War and democracy in the age of empire) : 2008. * 다중과 제국(Reflections on empire) : 2011. * 공동체(Commonwealth) : 2014. M. Hardt와 공저. * 어셈블리 (Assembly, 2020) [각주] [[분류:이탈리아의 현대 철학자]][[분류:1933년 출생]][[분류:파도바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