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Angiotensin-converting-enzyme inhibitor(ACE inhibitor, ACEI) 고혈압과 심부전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당뇨병성 신증에도 효과가 입증되어 처방되고 있다. 체 내의 주요 혈압 조절 체계인 [[RAAS]]([[레닌(효소)|renin]]-[[안지오텐신|angiotensin]]-[[알도스테론|aldosterone]] system)을 억제하는 펩타이드 물질로 어떤 작용기를 갖고 있는지에 따라 세가지로 분류된다. 최초로 승인된 ACE 억제제는 1981년에 [[FDA]] 허가된 캅토프릴(Captopril)이다. ACE 억제제는 모두 -pril로 끝나는 이름을 갖고 있다. == 작용 == [youtube(xIlaQuRaZmk)] [[신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레닌(효소)]]에 의해 활성화되는 안지오텐신 I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에 의해 안지오텐신 II[* 안지오텐신 II는 [[부신]]에서 안지오텐신 III로 전환되기도 하는데, 안지오텐신 II와 거의 동일한 작용을 하지만 더 약한 혈관 수축 효과와 더 강한 알도스테론 분비 효과를 갖고 있다.]로 전환된다. 안지오텐신 II는 혈관 수축 작용과 신장에서 소듐 재흡수 및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알도스테론 역시 소듐 재흡수를 촉진하는데, [[소듐]]과 함께 물 역시도 재흡수되어 총 체액량이 증가하여 혈액량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혈압도 상승한다.] ACE 억제제는 안지오텐신 II의 생성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게 된다. == 이상반응 == ACE 저해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마른 기침이 있다. 기침을 유발하는 자세한 기전은 불명이지만, ACE는 평상시에 기침 유발 물질인 Bradykinin과 Substance P를 분해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 분해작용이 ACE 저해제에 의해 억제되어 기침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부작용으로는 기립성 저혈압과 [[고칼륨혈증]], 급성 신손상(AKI), 혈관부종 등이 있다. == 여담 == 앞서 언급한 마른 기침 부작용이 매우 불편하고 삶의 질 저하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국내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유사한 작용을 하되, 마른 기침 부작용이 거의 없는 [[ARB]]를 사용하고 있다. 대한고혈압학회에서 2022년 발표한 [[http://www.koreanhypertension.org/reference/guide?mode=read&idno=10079|2022 고혈압 팩트 시트]]에 따르면, 2020년 20세 이상 고혈압 환자에 대한 ACE 억제제의 처방률은 1.6%에 불과하다. ACE를 억제하는 물질은 브라질산 독사(''Bothrops jararaca'')에서 처음 발견했다고 한다. 자체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나, 체 내에서 효소에 의해 변형되면 활성화되는 약물을 '''프로드러그(Prodrug)'''라고 하는데, ACEI의 한 종류인 Enalapril은 프로드러그의 대표적인 예시로 꼽힌다. == 종류 == * Benezepril * Captopril * Enalapril * Fosinopril * Lisinopril * Moexipril * Perindopril * Quinapril * Ramipril * Trandolapril [[분류:약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