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안재창}}}'''[br]'''安在昶'''}}}}}}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안재창2.jpg|width=100%]]}}} || || '''이명''' ||안영오(安穎五, 安永吾, 安永五), 안성오(安性五) || || '''자 / 호''' ||영오(永吾) / 신와(愼窩) || || '''본관''' ||[[순흥 안씨]][* 참찬공파 28세 재(在) 항렬.] || ||<|2> '''출생''' ||[[1878년]] [[11월 3일]] || ||[[전라도]] [[곡성군|곡성현]] [[오곡면|오지면]] 대리[br](현 [[전라남도]] [[곡성군]] [[오곡면]] 오지리 대동마을 460번지)[* [[순흥 안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안자정]]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35년]] [[5월 5일]][* 음력 4월 3일.] || ||[[전라남도]] [[곡성군]] || || '''묘소''' ||[[전라남도]] [[곡성군]] [[겸면]] 괴정리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16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안자정]]은 그의 6촌 재종제(再從弟)이다. == 생애 == 1878년 11월 3일 전라도 곡성현 오지면 대리(현 전라남도 곡성군 오곡면 오지리 대동마을 460번지)에서 아버지 안방섭(安邦燮, 1858. 2. 13 ~ 1911. 11. 3)과 어머니 [[류(성씨)|선산 류씨]](善山 柳氏, 1856. 5. 20 ~ 1934. 9. 18)[* [[선조(조선)|선조]] 때 [[이조(조선)|이조]] [[참판]](종2품)을 지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622&docId=539851&categoryId=46622|미암 류희춘]](眉巖 柳希春)의 후손으로, 류용식(柳用植)의 딸이다.] 사이의 5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찍이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82|면우 곽종석]](俛宇 郭鍾錫)의 문하에 들어가 한문을 수학했다. [[경술국치]] 후 1911년 전 호남 의병장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4760|이석용]](李錫庸)이 항일비밀결사를 결성하려고 하자, 그를 돕기 위해 목화 30근을 군자금으로 제공했다. 이듬해인 1912년 이석용이 임자동밀맹단(壬子冬密盟團)을 결성하자 6촌 재종제(再從弟)인 [[안자정]]과 함께 입단해 단원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1913년 이석용이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조선인 형사 김대형(金大亨)에게 체포되어 이듬해인 1914년 처형되자, 고향 곡성군으로 돌아가 은거하며 순흥안씨 병자대보(丙子大譜, 1936년)의 초고를 완성했다. 이후 1935년 5월 5일 고향 곡성군에서 별세했다. 201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곡성군 출신 인물]][[분류:순흥 안씨]][[분류:1878년 출생]][[분류:1935년 사망]][[분류:건국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