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1 폐역}}}}}}''' || '''안인''' - --[[시동역|[ruby(시동, ruby=1964~74)]]]-- - [[강릉역|{{{#000000,#ffffff 강릉}}}]] || {{{+1 安仁驛 / Anin Station }}} ||<-3> {{{+2 '''안인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7.738020 128.978688,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Anin || || [[한자]] ||<-2><|2> 安仁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安仁, ruby=アニン)] || ||<-3> '''주소''' || ||<-3>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강릉)|강동면]] 대동길 151(안인리) || ||<-3>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 [[강릉역]] 관리/[[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 ||<-3> '''운영 기관''' || || [[영동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영동선]] ||<-2> 1962년 11월 6일 || ||<-3> '''철도거리표''' || || [[영주역|{{{#!html
영주 방면}}}]][[정동진역|정동진]][br]← 7.1 ㎞ || '''[[영동선]]'''[* [[동해역|동해]] - [[청량신호소|청량]] 구간은 [[동해선]]으로 편입 예정.][br]안 인 || [[청량신호소|{{{#!html
청량 방면}}}]][[청량신호소|청 량]][br]5.3 ㎞ → || || {{{#!html
기점 방면}}}[[남강릉신호장|{{{#000,#ddd 경강선분기}}}]][* 경강선 만종역 기점 115.3㎞ 지점][br] ← 1.9 ㎞ || '''[[강릉삼각선]]'''[* 영동선 영주역 기점 187.3㎞ 지점] || {{{#!html
종점}}} || [목차] [[파일:안인역.jpg|width=550]] [clearfix] == 개요 == [[영동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강릉)|강동면]] 대동길 151 (안인리 200) 소재. == 상세 == 인근 영동화력발전소에서 필요로 하는 석탄과 석유 등을 공급하는 화물역이다. 거기에 인근 [[제18전투비행단]]은 영내로 들어가는 인입선이 없기 때문에 이 부대에서 사용하는 항공유 및 각종 군수 물자들도 안인역에서 처리한다. 다음, 네이버 로드뷰에서 안인역을 찾으면 역사 건물만 달랑 나오고 주위가 온통 블러 처리된 이유가 이렇게 국가기반시설들에 바로 붙어 있기 때문이다. 여객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하지만 여객 업무보다 몇 백배 더 중요한 '''화력발전소用 [[석탄]], [[석유]] 운송 업무'''를 보고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보통역]]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인입선이 전철화가 안 되어서 여기에서 기교체를 진행한다. 사실 인근이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주된 작전 구역이었으며, 이 역 남쪽 약 2.5km 정도 지점에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한 통일안보공원이 있다. [[드라마]] [[모래시계]] 버프를 받던 [[정동진역]]에 비해선 묻힌 감이 있지만. 실제로 이 안인리/안인진리와 더불어 정동진도 당시 주 작전지역이긴 했다. [[강릉선 KTX]] 착공과 더불어 2014년 9월 15일부터 2018년 7월 17일까지 [[강릉역]]이 [[지하화]]를 위해 잠시 영업이 중지되어 [[강릉역]] 화물 업무를 [[옥계역]]과 분담해서 이어받았다. 당초에는 여객 업무도 받으려고 했으나, 전차대가 없고 구내 선로가 전철화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가 되어 여객은 [[정동진역]]이 승계받았다. 단 [[바다열차]]는 영동선의 해변 구간이 이 역까지 이어진 데다, 디젤동차이기 때문에 안인역까지 운행하고 여기서 문 닫은채로 섰다가 방향을 바꿔 [[정동진역]]으로 되돌아갔다. 2018년 7월 18일부터 영동선 여객열차가 강릉역 재운행 개시를 시작으로 8월 1일에는 바다열차까지 '정동진-안인-정동진' 구간에서 '정동진-안인-강릉역' 구간으로 연장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tvh&oid=056&aid=0000030390&sid1=292|1년 수입이 불과 100만원이면서 매년 6억 6,900만 원씩 적자를 보는 비효율적인 역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 당시에 [[쌍룡역]]과 더불어 비효율의 상징이라고 낙인찍혔다. 그러나 사실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화력발전소와 군 비행장에 공급되는 연료 운송이 주 업무며, 2010년 기준으로 연간 거의 100만 톤에 달하는 화물 취급을 하는 곳이다. 그런데 이러한 특성을 무시하고 이용객 수만을 가지고 언플[* 한창 [[한국철도공사]]와 [[주식회사SR]] 분리로 인한 철도노조가 파업 중이던 때인 기사.]을 한 것이다. 연간 80만 톤 정도 화물을 영동화력발전소에 전달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역이고, 여기 나온 승무원 10명은 교대 인원까지 다 포함한 것이다. 승무원이 있는 이유는 구내 선로에 [[가공전차선]]이 없어서 기관차를 갈아 끼워야 하기 때문이다. 아래 영상 2분 23초 부근에 관련 내용이 나온다. [Youtube(jpv3Ma2z3UA)] 2020년 현재 '''전국에서 유일하게 [[KTX]]끼리 교행하는 것을 볼 수 있는 간이역'''이다. 예전에는 [[극락강역]]에서 볼 수 있었지만 [[광주선]] KTX가 폐지되면서 볼 수 없게 되고 그 대신 [[강릉선 KTX]] [[동해역|동해]]행 지선이 개통되면서 이 역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나마 광주선 KTX 의 장점(?)을 뽑자면 기다란 KTX-1끼리 교행하는 장면도 볼 수 있었지만 여기는 KTX-1 자체가 안 들어오기 때문에 광주선 KTX에 비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신기하게도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코레일톡에는 떴던 적이 있다. 안인역은 역 규모가 커서 철도공사 직원들이 자주 오가야 하기 때문에 전산에 따로 등록을 해 두었던 것이다. 의외로 화물전용역인데 코레일톡에서 고를 수 있는 역들이 몇몇 있다. 예를 들어 [[도담역]]같은 애들. 이런 역들은 철도공사 직원 교대 등의 이유로 여객 열차가 정차하는 화물역이기 때문이다. 일반 승객은 승하차가 불가능하고 철도공사 직원만 특정 문을 통해 승하차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영동선의 역 목록)]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영동선]][[분류:196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강릉시의 철도역]][[분류:분기역]][[분류:화물열차 정차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