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북구의 법정동)] ||<-2> '''[[성북구|{{{#000000,#dddddd 성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안암동}}}'''[br]安岩洞 | Anam-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성북구 안암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성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070049 || || '''관할 법정동''' || 안암동1~5가 || || '''하위 행정구역''' || 22통 155반 || || '''면적''' || 1.33㎢ || || '''인구''' || 15,110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1,360.9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성북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영배(1967)|김영배]] ,,(초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한신(정치인)|한신]] ,,(초선),, || ||<-2> '''성북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육영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소형준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관우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태근]] ,,(6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병기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고려대로 16[* 안암동2가 140-4] || || [[https://www.sb.go.kr/dongoffice/PageLink.do?link=forward:/PageContent.do&menuNo=02000000&subMenuNo=02220000&thirdMenuNo=02220600&fourthMenuNo=02220601|안암동 주민센터]] || [목차] [[파일:external/pds.skyedaily.com/1420789607nKOcualp.jpg]] [* 이 곳은 고려대학교의 대표적인 상권인 '참살이길'로, 안암오거리에 가까운 위치에서 안암역, 고려대학교 기숙사 방향으로 찍은 사진이다.]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 '안암골'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지하철역으로는 [[안암역]]이 이 동네에 자리잡고 있다. == 역사 == 지금의 안암동 3가 지역에 옛날 10여 명이 앉아 편히 쉴만한 큰 바위가 있었다고 한다. 이 바위를 '앉일바위'라 했는데, 이를 한자로 안암(安岩)이라고 표기한 데서 오늘날의 동명(洞名)이 유래되었다. == 지리 == [[파일:An-Am-dong1.jpg]] [[고려대학교]]가 이곳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인문사회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및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의과대학]] 및 이공캠퍼스가 이곳에 있다. 고려대 인문사회캠퍼스 중 일부([[고려대학교 로스쿨|로스쿨]], 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사범대학|사범대학]], [[고려대학교 경영대학|경영대학]], 교우회관)는 법정동 안암동5가가 아닌 종암동 영역이지만 행정동 안암동 관할이다. 고려대생들은 자신의 학교를 '안암'이라 돌려 말하기도 한다. [[안암역]]에서 안암오거리 사이의 참살이길도 이곳이며, 개운사 역시 마찬가지. 하지만 동 주민센터는 언덕 넘어 보문동 쪽에 바짝 붙어있다. 성북천 하나 넘는 순간 [[보문동]]이 나오고 [[보문역]]이 나온다. 산하 법정동으로 안암동1~5가가 있는데, 이중 고려대학교가 위치한 안암동5가 면적의 대부분이 고려대학교 캠퍼스이다. 안암동 주민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네에 아파트나 오피스텔은 많지 않고, 저층 단독주택이나 다가구, 고시원, 원룸 등이 많다. 자취방은 안암동 5가, 종암동 쪽에 몰려 있다. 빌라나 오피스텔 혹은 소형아파트를 구한다면, 동선동, 종암동, 신설동 쪽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안암역을 중심으로 상권이 약간 형성되어 있다. 안암역 북쪽으로 기숙사 앞까지 이어지는 길은 개운사길([[고려대학교 정경대학|정경대학]] 후문 부근), 안암역 남쪽으로 고려대 이공대 후문 근처 안암오거리까지 이어지는 길은 참살이길([[고려대로]]24길)이라고 부르며 분위기가 다르다. 참살이길은 안암동의 대표적인 상권(지금은 여기가 고대의 대학로지만, 80~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정문 앞 제기동이 고대의 대학로였다)인데, [[고연전]] 등 대학축제가 열리면 각종 플래카드가 걸리고 임시주점까지 활성화된다. 값이 저렴한 식당들과 술집들이 매우 많고, 고급 음식점도 꽤 많이 있다. 중국 학생들이 좋아할 만한 [[양꼬치]] 파는 식당들도 여럿 있고, 정통 인도음식점들도 서너개나 된다. 무엇보다도 안경점들이 아주 많다. 방학 때 상권이 많이 바뀌는 편이다. 자세한 것은 [[고려대학교/주변 상권]] 참고. 안암오거리 일대 주택가의 경우에는 도보 15분 내외의 거리에 제기동 약령시장과 경동시장 등의 재래시장이 있다. 따라서 이곳의 재래시장을 인근의 대형마트보다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안암역에서 두 정거장, 고려대역에서 한 정거장 거리인 [[월곡역]]에 지하로 연결된 홈플러스가 있어서 자취생들은 거기로 많이 간다. 성북구 서부에 속해 있고 성북구와 동대문구 사이에 위치해 있긴 한데, 사실상 성북구 서부보다는 [[동대문구]] [[신설동]] 및 [[제기동]]과의 연결 정도가 더 뛰어나고 생활권도 신설동, 제기동과 연결도가 높다. 안암동에서 공부하는 고대생들이 밥은 제기동 식당에서 먹고, 잠도 제기동 하숙집에서 자는 식이다.[* 고대 인근에는 거주 지역이 크게 4군데 정도가 있는데, 이공계 캠퍼스 근처의 안암2가, 기숙사와 정대 후문 근처의 안암5가, 정문 앞(제기동), 법대 후문 근처(종암동)가 그것이다.] 실제로 고려대 부지와 고대 상권 지역은 천주교 제기동 성당 관할구역이다. 반면 그 옆에 위치한 [[종암동]]은 같은 구의 월곡동, 강북구의 [[미아동]]과 연관성이 강한 생활권이다. 그러나 이는 고려대학교 문과캠퍼스 정문앞 및 고대 남측 지역(즉 [[서울 버스 144|144번]] 다니는 도로 인근) 한정이다. 고대 서쪽 안암동주민센터([[안암역]]보다는 [[보문역]]에서 더 가깝다) 인근은 [[보문동]], 성북구 문화권이다.[* 사실 [[보문동]]도 행정구역 조정으로 [[신설동]]에서 분리된 동이다.] == 여담 == * [[제천시]]에서 운영하는 [[향토학사]]인 제천학사가 관내에 있다. 때문에 재사생 중 고려대생 비율이 상당히 높다. * [[포항시]]에서 운영하는 [[향토학사]]인 포항학사도 관내(안암오거리)에 있다. 마찬가지로 재사생 중 고려대생 비율이 상당히 높다. * 안암동에 있는 초중고등학교로는 [[용문고등학교(서울)|용문고등학교]], 용문중학교, 안암초등학교 등을 들 수 있다. 용문중고등학교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북서쪽 뒷편에 위치하고 있다. * 외국인 비율이 13%로 성북구 최대의 외국인거주지이다. 이들 외국인 대부분은 고려대 유학생들 혹은 교환학생들로 보인다. 국적은 중국인이 대다수. 호주, 일본, 몽골 학생들도 많이 보인다. * 1970년대에는 이 동의 고려대학교 앞에서 [[미니스커트]] 단속을 많이 했다. 당시 성북구에서는 미니스커트 단속 핫플레이스였다. * 국회의원 선거구는 '''[[성북구 갑|성북구 갑]](甲) 선거구'''에 속한다. * 2020년 제1차 도시재생뉴딜사업지로 선정되었다.[* [[ https://youtu.be/PW9IsuohVbY]]] * 대도시+암석지대라서 중파방송의 수신상태가 영 좋지 못하다. == 관련 문서 == * [[성북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성북구,version=260)] [[분류:성북구의 법정동]][[분류:성북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