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구광역시의 지역]][[분류:동구(대구)]]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신도시 및 택지지구)] ||<-3>
'''[[대구광역시|{{{#000000,#dddddd 대구광역시}}}]]{{{#000000,#dddddd 의 지역}}}'''[br] {{{#!wiki style="margin: -10px -10px" ||
'''{{{+1 안심}}}(반야월)'''[br]安心{{{-1 (半夜月)}}}[br]{{{-1 Ansim}}}{{{-2 (Banyawol)}}}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EGU_ANSIM.png|width=64%]]}}} || || '''상위 행정구역''' ||<-2>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 '''하위 행정구역''' ||<-2> 5[[행정동|동]][* 17[[법정동]], 5[[행정동]].] || || '''인구''' ||<-2> 120,742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현황]].] || || '''국회의원''' ||<-2>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강대식]] ,,([[동구 을]], 초선 - [[21대 총선]]),, || || '''관할 경찰서''' ||<-2> [[대구동부경찰서]] || || '''관할 소방서''' ||<-2> [[동부소방서(대구)|대구동부소방서]] || || '''지역전화''' ||<-2> '''053'''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의 [[금호강]] 동북쪽 지역 중 [[팔공산]] 일대와 동촌, 방촌이라고 불리는 지역을 제외한, [[동대구IC]]부터 [[경산시]] [[하양읍]] 경계에 이르는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구 경산군 안심읍 지역을 말한다. 현재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의 5개 동으로 존속하고 있다. 대부분의 도로 표지판과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안심 --물론 소고기 안심은 아니다.-- 이라 많이 칭하지만, 대구와 경산 시민들에게는 주로 '''반야월'''로 더 많이 통용된다. 구. 대구선 반야월역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 반야월초등학교, 안심 구길의 도로명인 반야월로, 반야월시장, [[이마트 반야월점]], [[대구광역시]]와 [[경산시]] 소재 일부 도로 표지판과 버스 정류장 등 반야월이라는 지명이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다. 안심과 마찬가지로 반야월도 [[태조(고려)|왕건]]의 설화와 관련이 깊은데, 자세한 유래는 [[대구광역시/공산 전투 관련 지명]] 문서와 [[반야월역]] 문서 참조. [[1895년]] 실시된 [[23부제]]와 [[1896년]] 실시된 13도제하에서는 [[하양군]] 안심면 및 [[경산시|경산군]] 북면이었으나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후 안심면과 북면이 통합되어 경산군 안심면이 되었다. [[1973년]] [[읍(행정구역)|읍]]으로 승격하여 안심읍이 되었으며,[* 1979년 읍으로 승격한 [[월배]], 1980년 읍으로 승격한 [[칠곡(대구)|칠곡]], [[성서(대구)|성서]]보다 빨리 승격했다.] [[1981년]]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로 승격되면서 [[경산군]] [[고산#s-2.2.1|고산면]]([[시지(대구)|시지]])과 함께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어 대구직할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안심[[출장소]]가 되었다.[* 고산면은 [[대구직할시]] [[수성구]] 고산[[출장소]].] 이후 1982년 안심출장소에서 1, 2, 3동이 분동되었으며, 1983년 4동이 신설되었다가 1998년 3동과 4동, 안심출장소가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다가 인구 증가로 다시 분동을 추진해 2020년 7월 6일에 [[대구신서혁신도시]] 일대가 혁신동으로 분동되고, 안심3.4동이 다시 안심3동과 안심4동으로 분동됐다. 현재는 [[금호강]] 이동 지역 및 동구의 동쪽 지역(과거 안심읍 지역)을 함축하는 지명이 되었다. 과거 안심읍의 명칭은 이 지역의 [[행정동]]명이 되었으며, 안심읍의 동지역[* [[경상북도]]는 군 - 읍, 면 - 리가 아니라 군 - 읍, 면 - 동 체계였다. 현재처럼 바뀐 것은 [[1988년]] [[5월 1일]].]은 이 지역의 [[법정동]]명이 되었다. 지역명의 유래는 [[안심역]] 문서 참조. [[대구신서혁신도시]]도 이 곳에 있다. 정확히는 안심 지역의 [[경부고속도로]] 이북 지역(신서동, 율암동, 각산동, 대림동, 숙천동 등)에 있는데, 혁신도시가 들어서면서 [[경부고속도로]] 이남의 전통적인 안심(반야월) 생활권과 경부고속도로 이북 혁신도시의 생활권이 꽤 달라졌다.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지역 중에서는 그나마 [[대구국제공항]]과 K-2와 이격돼 있어 소음이 덜하지만, 여전히 고도제한이 있어서 아파트 층수가 그리 높지 않다. [[각산역]] 근처에서 여객기가 착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용계역]] 근처로 랜딩한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권역 번호는 8번이다.[*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은 예외로 안심으로 가지 않는다. 8번 권역은 안심 외 [[경산시]]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 [[영천시]] [[금호읍]] 지역도 포함이기 때문.] == 구성 == === 주거단지 === ==== 안심지구 ==== [include(틀:2030년 대구도시기본계획)] 안심지구는 안심주공아파트를 비롯한 [[신기역(대구)|신기역]] 일대를 말한다. [[각산동]], [[신기동(대구)|신기동]], [[용계동(대구)|용계동]], [[금강동(대구)|금강동]], [[괴전동]], [[신서동]]을 포함한다.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대구 외곽지역 대규모 택지지구 계획에 의해 조성되었다. 교통이 편리한 지역으로 [[경부고속도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각산역]], [[반야월역]], [[신기역(대구)|신기역]], [[율하역]], [[안심역]]이 지나가며 [[대구선]] 또한 지나간다. [[대구국제공항]]이 이전하면 항공기 소음지대에서도 벗어나고, 혁신도시의 개발로 인프라도 늘어났다. 또한 현재 여객운행이 중단된 간이역인 [[금강역]]도 안심지구 내에 있다. 금강역은 현재 여객 재개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며, 금강역 여객재개가 될 경우 교통이 훨씬 더 편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 율하지구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신도시 및 택지지구)] [[2002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어 개발되기 시작했다[* 안심주공아파트는 안심지구로 계획된 곳으로, 율하지구와 별개지만 율하지구의 주공아파트들이 안심주공4단지에 이어 5단지부터 시작된다.]. 크게 율하1지구(서쪽)과 율하2지구(동쪽)으로 나뉜다. 동구 [[용계동(대구)|용계동]], [[율하동(대구)|율하동]]을 포함한다.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개최로 율하동 일부 지역이 선수촌으로 개발되었다. [[동대구JC]]와 접하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율하역]]과 신기역이 인근에 있어 교통도 편리하다. 롯데아울렛, 롯데마트, 롯데시네마 등이 입점한 롯데쇼핑프라자가 입점하여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 아래 쪽으로 [[금호강]]이 흘러 자연 경관도 우수하다.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3동]]에도 율하신도시라는 율하지구가 존재하는데 여기랑 똑같이 신도시다. 차이점이 있다면 김해 율하지구는 2010년대 이후로 새로 조성중인 곳이라는 점이다. ==== 동호지구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신도시 및 택지지구)]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대구 동구)|동호동]], [[금강동(대구)|금강동]] 일대에 조성된 지구. 2004년부터 입주가 시작됐다. 안심지구보다 최근에 조성된 단지여서 교육, 교통 인프라가 낫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각산역]] 및 [[안심역]]과 인접하여 접근하기 편리하다. 동쪽으로는 [[경산시]] [[하양읍]]과 접해있으며 최근 들어 [[금강동(대구)|금강동]] 일대의 [[안심연꽃단지]]와 함께 [[안심창조밸리]]라는 자연 관광지가 조성 중이고 [[금호강]]과도 접해있어 자연 환경도 좋다. ==== 신서혁신도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구신서혁신도시)] == 인구 == ||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width=50]] '''[[안심(대구)|{{{#000 안심지구}}}]]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b0db 14.6888%,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8,3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b0db 18.4184%,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23,023명}}}}}} || || [[1973년]] [[7월 1일]] 경산군 안심면 → 안심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b0db 25.0768%,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31,3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b0db 30.3648%,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37,956명}}}}}} || || [[1981년]] [[7월 1일]] [br] 경산군 안심읍 → 대구직할시 동구 편입 및 안심출장소 전환 [br] [[1982년]] [[9월 1일]] [br] 안심출장소 신기동 + 율하동 → 안심1동 신설 [br] 안심출장소 매여동 + 상매동 + 용계동 + 율암동 → 안심2동 신설 [br] 안심출장소 동내동·괴전동·금강동·대림동·사복동·숙천동·내곡동 → 안심3동 신설 [br] [[1983년]] [[3월 15일]] 안심출장소 中 서호동 + 동호동 + 각산동 + 신서동 → 안심4동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9.0928%, #253c82 0%, #253c82 15.212%, #1d8441 0%, #1d8441 19.796%, #75b0db 0%, #75b0db 31.264%, #888 0%)" {{{#fff 1985년 39,080명[*1985 안심1동 11,366명 + 안심2동 7,649명 + 안심3동 5,730명 + 안심4동 14,3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20.1744%, #253c82 0%, #253c82 26.5272%, #1d8441 0%, #1d8441 30.4192%, #75b0db 0%, #75b0db 42.1976%, #888 0%)" {{{#fff 1990년 52,747명[*1990 안심1동 25,218명 + 안심2동 7,941명 + 안심3동 4,865명 + 안심4동 14,7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25.4584%, #253c82 0%, #253c82 35.3168%, #1d8441 0%, #1d8441 39.5112%, #75b0db 0%, #75b0db 54.236%, #888 0%)" {{{#fff 1995년 67,795명[*1995 안심1동 31,823명 + 안심2동 12,323명 + 안심3동 5,243명 + 안심4동 18,406명]}}}}}} || || [[1998년]] [[9월 1일]] 안심3동 + 안심4동 → 안심3·4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22.3176%, #253c82 0%, #253c82 33.4112%, #75b0db 0%, #75b0db 50.9504%, #888 0%)" {{{#fff 2000년 63,688명[*2000 안심1동 27,897명 + 안심2동 13,867명 + 안심3·4동 21,9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20.1128%, #253c82 0%, #253c82 30.3864%, #75b0db 0%, #75b0db 62.28%, #888 0%)" {{{#fff 2005년 77,850명[*2005 안심1동 25,141명 + 안심2동 12,842명 + 안심3·4동 39,8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29.8592%, #253c82 0%, #253c82 38.708%, #75b0db 0%, #75b0db 76.5624%, #888 0%)" {{{#fff 2010년 95,703명[*2010 안심1동 37,324명 + 안심2동 11,061명 + 안심3·4동 47,3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36.6656%, #253c82 0%, #253c82 45.0728%, #75b0db 0%, #75b0db 88.7376%, #888 0%)" {{{#fff 2015년 110,922명[*2015 안심1동 45,832명 + 안심2동 10,509명 + 안심3·4동 54,581명]}}}}}} || || [[2020년]] [[7월 6일]] 안심3·4동 →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34.8%, #253c82 0%, #253c82 43.8744%, #6c0 0%, #6c0 60.9616%, #75b0db 0%, #75b0db 84.5472%, #fbc607 0%, #fbc607 99.6496%, #888 0%)" {{{#fff 2020년 124,562명[*2020 안심1동 43,500명 + 안심2동 11,343명 + 안심3동 21,359명 + 안심4동 29,482명 + 혁신동 18,8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6 31.1112%, #253c82 0%, #253c82 43.7904%, #6c0 0%, #6c0 60.2272%, #75b0db 0%, #75b0db 82.0256%, #fbc607 0%, #fbc607 96.0184%, #888 0%)" {{{#fff '''2024년 4월 120,023명[*현재 안심1동 38,889명 + 안심2동 15,849명 + 안심3동 20,546명 + 안심4동 27,248명 + 혁신동 17,49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산업단지 == === --안심연료단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심뉴타운)] 1970년대부터 안심연료단지가 들어서 있었지만 주변 개발로 주민들이 피해를 호소해 해당 부지는 안심뉴타운으로 재개발 중이다. === 율하 도시첨단산업단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율하테크노밸리)] === 대구식품산업클러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구식품산업클러스터)] == 교육 == === 초등학교 === * 강동초등학교 * 동호초등학교 * 반야월초등학교 * 송정초등학교 * 숙천초등학교 * 새론초등학교 * 안일초등학교 * 율금초등학교 * 율원초등학교 * 율하초등학교 === 중학교 === * [[강동중학교(대구)|강동중학교]] * [[신기중학교(대구)|신기중학교]] * [[새론중학교]] * [[안심중학교]] * [[율원중학교]] === 고등학교 === * [[강동고등학교(대구)|강동고등학교]] * [[대구동부고등학교]] * [[대구일과학고등학교]] * [[정동고등학교]] == 교통 == 철도 교통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안심로(대구)|안심로]][* 주로 반야월 신길, 산업도로로 불린다.]를 따라 지나간다. 과거 [[대구선]] 철도가 지나갔고 안심 지역엔 [[반야월역(대구선)|반야월역]]이 존재했지만, 대구선은 2005년에 남쪽으로 이설되었다. 이설 후 동호지구([[각산역]]) 남쪽에 [[금강역]]이 생겼지만, 금강역은 큰 규모에 비해 수요가 적어서 2008년부터 여객을 취급하지 않는다. 시내버스 노선의 경우 나름 적당한 정도로 [[대구광역시]]로 진입하는 외곽 지역이라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뿐만 아니라 [[대화교통(경산)|경산 대화교통]], [[영천시 시내버스]]도 이 곳을 지나간다. 대중교통 이용 시에 대부분의 대구 지역으로 이동이 수월하지만, [[수성구]], 특히 [[만촌동]], [[시지(대구)|시지]]로의 이동이 은근히 불편하다.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이 있어 [[범어동(대구)|범어동]], [[황금동(대구)|황금동]], [[지산동(대구)|지산동]], [[범물동]]으로의 이동은 약 50분 정도가 소요되지만 큰 어려움은 없다. 그렇지만 만촌동, 시지 방면은 시내버스 노선도 적고 그나마 있는 [[대구 버스 849, 849-1|849(-1)번]],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은 배차간격이 길어 이동이 불편하다. 도로교통망의 경우 시내도로는 반야월로, [[4번 국도]](안심로) 등이 주축이며 [[신서혁신도시]] 쪽은 이노밸리로가 주축.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의 [[동대구IC]]가 있고 [[동대구JC]]를 통해 [[경부고속도로]] 진입도 편리하며, 유료도로인 [[범안로(대구)|범안로]]를 이용하여 [[달구벌대로]], [[시지(대구)|시지]][* 경산 구길로도 불리는 [[안심교]], 경안로 루트도 있다.], [[대구미술관]], [[대구스타디움]], [[지산범물지구]] 방면 이동도 편리하며 서쪽으론 [[앞산터널]]과 직결돼 [[달서구]] [[상인동]] 쪽으로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차후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하면 [[대구광역시]] 전역으로 이동이 편리해진다. 추후 [[경부고속도로]] [[안심IC]]도 개통될 예정이다. [[한국감정원]] 근처에 [[대구혁신고속버스정류소]]가 신설되어 1일 2회 [[고속버스 서울경부-동대구|서울 ↔ 대구]] [[우등석|우등]]고속이 중간 승하차한다. 안심은 대구광역시 도심지와 약간 이격된 대신, [[경상북도]] 동남부의 다른 도시들과 접근하기 편리하다. 사실상 같은 생활권인, 대구광역시 경산구나 다름없는 [[경산시]] 동 지역까진 [[안심교]]를 이용하여 10 ~ 15분, [[하양읍]]까지는 [[4번 국도]]를 이용해 15 ~ 20분이, [[영천시]]까지는 하양읍을 경유하여 30 ~ 40분이, [[경주시]]까지는 [[경부고속도로]]나 [[4번 국도]] 이용 시 1시간이, [[포항시]]까지도 [[새만금포항고속도로]]를 이용해 1시간이면 갈 수 있다. === 도시철도 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율하역]]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신기역(대구)|신기역]]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각산역]]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한의대병원역]]-- === 시내버스 노선 === ==== 급행버스 ==== * [[대구 버스 급행5]] ==== 간선버스 ==== * [[대구 버스 518]] * [[대구 버스 518-1]] * [[대구 버스 618]] * [[대구 버스 651]] * [[대구, 경산 버스 708]] * [[대구 버스 719]] * [[대구 버스 805]] * [[대구 버스 808]] * [[대구, 경산 버스 814]] * [[대구 버스 836]] * [[대구 버스 849, 849-1|대구 버스 849/849-1]] * [[대구 버스 980]] ==== 지선버스 ==== * [[대구 버스 동구2]] * [[대구 버스 동구4, 동구4-1|대구 버스 동구4/동구4-1]] * [[대구 버스 동구5]] * [[대구 버스 동구6]] * [[대구 버스 동구7]] *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대구 버스 수성3/수성3-1]] * [[대구 버스 북구3]] ==== 타 지역 버스 ==== * [[경산 버스 818]] * [[경산 버스 818-1]] * [[영천 버스 55, 555]] == 정치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승천|{{{#ffffff 이승천}}}]] || [[강대식|{{{#ffffff '''강대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33,644 [br] (30.54%)''' || {{{#ffffff '''66,461 [br] (60.33%)'''}}} || '''- 32,817 [br] (▼29.79)''' || '''112,039 [br] (65.07%)''' || || '''안심1동'''[* 법정동 율하동 · 신기동] || 30.95% || {{{#ef426f 59.95%}}} || ▼29.01 || {{{#696969 60.99}}} || || '''안심2동'''[* 법정동 용계동 · 율암동 · 상매동 · 매여동] || 25.17% || {{{#ef426f 65.93%}}} || ▼40.76 || 62.93 || || '''안심3·4동'''[* 법정동 서호동 · 동호동 · 각산동 · 신서동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동내동 · 내곡동, [[대구혁신도시]]가 있는 동네] || '''35.63%''' || {{{#ff7e9d 55.57%}}} || '''▼19.94''' || 62.27 || || '''후보''' || [[이승천|{{{#004ea2 이승천}}}]] || [[강대식|{{{#ef426f '''강대식'''}}}]]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28.82% || {{{#ef426f 52.94%}}} || ▼24.12 || || || '''관외사전투표''' || 41.04% || {{{#ef426f 51.01%}}} || ▼9.97 || || || '''재외투표''' || {{{#004ea2 55.66%}}} || 40.56% || △15.09 || || ||<:><-8> {{{#FFFFFF '''7회 지선 안심지구 개표 결과'''}}} || ||<:><-8> {{{#FFFFFF '''대구광역시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FFFFFF '''자유한국당'''}}}]] ||<:> [[바른미래당|{{{#FFFFFF 바른미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임대윤|{{{#FFFFFF 임대윤}}}]] ||<:> [[권영진(정치인)|{{{#FFFFFF '''권영진'''}}}]] ||<:> {{{#FFFFFF 김형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65,465 [br] (38.79%)''' ||<:> {{{#FFFFFF '''90,378 [br] (53.56%)'''}}} ||<:> '''12,894 [br] (7.64%)''' ||<:> '''- 24,913 [br] (▼14.76)''' ||<:> '''58.01%''' || || '''안심1동'''[*A 구 경산군 안심읍 일부를 관할하는 동네] ||<:> 40.07% ||<:> {{{#C9151E 51.93%}}} ||<:> 7.98% ||<:> {{{#808080 ▼11.86}}} ||<:> 54.38 || || '''안심2동'''[*A 구 경산군 안심읍 일부를 관할하는 동네] ||<:> 33.30% ||<:> {{{#C9151E 57.99%}}} ||<:> 8.69% ||<:> {{{#808080 ▼24.69}}} ||<:> 52.85 || || '''안심3·4동'''[* 구 경산군 안심읍 일부를 관할하며, 대구혁신도시가 있는 동네] ||<:> {{{#1870B9 '''46.98%'''}}} ||<:> {{{#696969 44.61%}}} ||<:> 8.40% ||<:> {{{#696969 '''△2.37'''}}} ||<:> 56.23 || || '''후보''' ||<:> [[임대윤|{{{#1870B9 '''임대윤'''}}}]] ||<:> [[권영진|{{{#C9151E 권영진}}}]] ||<:> {{{#00B4B4 김형기}}}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6.05% ||<:> {{{#C9151E 45.80%}}} ||<:> 18.14% ||<:> {{{#808080 ▼9.75}}} ||<:> || || '''관외사전투표''' ||<:> {{{#1870B9 52.15%}}} ||<:> 39.28% ||<:> 8.56% ||<:> △12.87 ||<:> || || '''후보''' ||<:> [[임대윤|{{{#FFFFFF 임대윤}}}]] ||<:> [[권영진(정치인)|{{{#FFFFFF '''권영진'''}}}]] ||<:> {{{#FFFFFF 김형기}}} ||<:> 격차 ||<:> 투표율 || || [[동구 을|{{{#00B4B4 '''동구 을'''[*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공산동][* 지역구 국회의원 : [[유승민]] (무소속 → 새누리당 → 바른정당 → 바른미래당, 4선)]}}}]] ||<:> 39.59% ||<:> {{{#FFFFFF 52.30%}}} ||<:> 8.10% ||<:> {{{#808080 ▼12.71}}} ||<:> 56.26 || ||<:><-8> {{{#FFFFFF '''동구청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FFFFFF '''자유한국당'''}}}]] ||<:> [[바른미래당|{{{#FFFFFF 바른미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재헌|{{{#FFFFFF 서재헌}}}]] ||<:> [[배기철|{{{#FFFFFF '''배기철'''}}}]] ||<:> [[강대식|{{{#FFFFFF 강대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55,546 [br] (33.01%)''' ||<:> {{{#FFFFFF '''62,891 [br] (37.38%)'''}}} ||<:> '''43,374 [br] (25.78%)''' ||<:> '''- 7,345 [br] (▼4.37)''' ||<:> '''58.01%''' || [[유승민]] 전 의원이 4선을 한 지역구다. [[이시아폴리스]]를 제외하고 [[대구신서혁신도시]] 등 [[동구 을]]의 신도시와 택지지구들이 안심에 입지해 있어서 [[대구광역시]]와 [[동구(대구광역시)|동구]]에서는 진보적인 성향이 강한 지역구로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임대윤]] [[대구광역시장]] 후보가 안심3.4동에서 [[권영진]]을 누르고 1위를 차지했으며, 21대 총선에서 이 지역구에서 [[이승천]] 후보가 30%의 득표율을 얻었다. 그렇지만 유승민의 지역구 관리와 탄탄한 지역 기반 덕에 신도시 치고는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높다. [[유승민]]의 후임인 현역 [[강대식]] 의원도 안심 출신인지라 지지도가 높다. == 생활 환경 == 대형 [[할인점]]은 [[각산역]] 북쪽의 [[이마트 반야월점]]과 [[율하역]] 앞 롯데쇼핑프라자 내 [[롯데마트 대구율하점]]이 있다. 또한 창고형 할인점 코스트코가 [[대구신서혁신도시]]에 대구 2호점인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을 운영하고 있다.[* 대구 1호점인 대구점은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산격동|산격2동]] [[대구종합유통단지]]의 끄트머리인 검단네거리에 있다.] 홈플러스를 이용하려면 [[금호강]] [[안심교]] 건너 [[홈플러스 경산점]]을 이용하거나, 아님 동촌의 구 [[까르푸/대한민국|까르푸]] - [[홈에버]]였던 [[홈플러스 동촌점]]을 이용해야 한다. 그 외의 쇼핑시설은 [[롯데마트 대구율하점]]이 있는 [[율하역]] 앞 롯데쇼핑프라자 내 [[롯데아울렛]] 대구율하점, [[토이저러스]]가 있고 [[이마트 반야월점]] 앞에도 더블럭이라는 중소규모 아울렛이 있다. [[영화관]]의 경우 [[롯데시네마]] 율하점이 [[율하역]] [[롯데쇼핑]]프라자에 있다.[* 하양과 영천에서 율하롯데로 많이 온다고 한다. 상영관 수도 율하롯데가 꽤 많고, 무엇보다 율하롯데는 직영점이라 쿠폰 사용 등에 제약이 적기 때문이다. [[메가박스]]가 [[하양읍]] 산업도로 쪽에 하나 있는데, 이쪽은 위탁점이다.] 미래에는 [[메가박스]]가 [[대구신서혁신도시]] 내에 생길 예정이다. 그 외에도 율하지구나 동호지구, 대구신서혁신도시 내부에 상업 지구가 조성돼 있다. 안심은 대학로와 3지구 2개의 큰 상권이 있는 [[칠곡(대구)|칠곡]], [[동아백화점]] 수성점, [[범물역]]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된 [[지산범물지구]], 신매광장이 중심인 [[시지(대구)|시지]], 계대동문과 [[성서산업단지역]] 일대에 큰 상권이 형성된 [[성서(대구)|성서]], 상인네거리 중심에 신월성 상권이 있는 [[월배]]와 달리 지역 내 소규모 택지지구들 곳곳에 소규모 상업지구가 분산되어 있다. 늦게 개발한 외곽 [[신도시]] 지역이라 안심공단 내부를 제외하고는 근린[[공원]]도 꽤 잘 조성돼 있고 [[금호강]]을 낀 지역이라 [[금호강]]변에도 율하체육공원 등 큰 공원이 조성돼 있고 동쪽 끝 [[경산시]] [[하양읍]] 경계 인근에는 안심연꽃단지도 있으며 아직 개발이 다 끝난 건 아니라 논밭도 있어 공기가 좋을 것 같지만 --안심연료단지--[* 안심뉴타운 조성을 위해 철거됐다.], 안심공단이 있어서 [[대구광역시]]의 다른 외곽 택지와 비슷하다. [[대구광역시]]의 다른 외곽 택지에 비해서 자족기능이 발달해 있다. [[대구신서혁신도시]], 첨단의료복합단지, 안심공업단지, --율하도시첨단산업단지[* 공사 중이다.]-- 등이 있기 때문으로 이는 [[금호강]] 건너 [[시지(대구)|시지]]와 대조된다. 물론 [[시지(대구)|시지]]도 [[수성알파시티]]가 들어서면 바뀌겠지만. 안심동 지역에서는 [[대구국제공항]]과 K-2 비행장에서 이착륙하는 비행기 소음이 영향을 끼치는 곳이며, 고도도 상당히 낮아질 뿐더러 동구 지역에서도 시끄러운 편이라서 따로 제한이나 보상같은 게 걸려 있다. 여객기 소음은 기본이고, 공군 비행장의 소음 권역 지역이라서 전투기 소음이 있다. 특히 용계동과 신평동은 공항 인근 지역이라서, 일상생활이 힘들 만큼의 이착륙 소리가 제대로 들릴 지경이다. 용계역 근처에서 여객기가 랜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대구광역시]]의 다른 외곽 주거 [[신도시]]보다 거주 환경이 쾌적하지는 못하다. 공업단지가 있으며 역시 성서산단을 낀 [[성서(대구)|성서]]와 달리 주거지 한복판에 공단이 있고, 옛 [[대구선]] 철도 주변으로 [[난개발]]이 진행돼 있고, [[동구(대구광역시)|동구]]라는 지리적 특성상 [[대구국제공항]] 소음 피해가 있기 때문이다. == 타 지역과의 관계 == === [[경산시]]와의 관계 === [[시지(대구)|시지]]와 더불어 [[1981년]] 당시 [[경산시|경산군]] 안심읍에서 승격되는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어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안심동이 됐는데,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시지(대구)|시지]]와 함께 대구 중심가 못지않게 [[안심교]]를 통한 [[경산시]] 중심가로의 왕래도 많았다. 그런데 [[1990년대]] 초중반부터 [[신기역(대구)|신기역]] 주변에 안심주공아파트를 비롯한 저층 아파트, 단독ㆍ연립주택 위주의 개발이 시작돼 대구 시내에서 주민들이 이주해 오고 별도의 독자적 생활권을 어느 정도 구축하고,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하며 대구 도심지로의 왕래가 편리해지며 [[시지(대구)|시지]]보다 더욱 대구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었다. [[2000년대]] 초반 [[각산역]] 남쪽 동호지구, [[2000년대]] 중후반 [[율하역]], [[신기역(대구)|신기역]] 남쪽 율하지구, [[2010년대]] [[대구신서혁신도시]], 최근에는 안심뉴타운과 율하도시첨단산업단지 등의 개발이 시행되면서 안심은 대구 동부의 주요 부도심으로 성장했지만 [[시지(대구)|시지]]에 비해 [[경산시]] 동 지역에서의 접근성이 썩 좋지 못해[* 단순 거리는 가깝지만 경산시 동 지역과 안심을 연결하는 대중교통이 불편하다. [[대구 버스 719|719번]]과 [[대구 버스 980|980번]]이 경산과 안심을 이어주고 있는데, 719번은 [[영남대학교]] 일대만 경유하며, 980번은 경산 시내 구간이 편도 운행이다.] 경산시 동 지역과의 교류는 많지 않으며, 그나마 경산 시민들이 [[롯데쇼핑]]프라자[* [[롯데아울렛]], [[롯데마트 대구율하점]], [[토이저러스]], [[롯데시네마 대구율하]] 등이 입점해 있다.],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 등을 찾거나,[* [[이마트 반야월점]]은 [[이마트 경산점]]이 훨씬 더 큰 규모로 개점한 현재는 경산시내 방면으로 영향력이 없다.] 대구의 대형마트 휴점일에 안심 주민들이 [[이마트 경산점]], [[홈플러스 경산점]]을 찾는 정도다. 그러나 [[경산시]] 북부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과는 생활권을 공유한다. 이들 지역에서 대구 방면 교통망이 안심 방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산 시내로 가는 것과 거리 차이도 크지 않아 쇼핑, 통학, 통근 목적으로 안심을 찾는 북경산 주민들이 많다. 또한 [[안심역]]에 [[경일대학교|경일대]], [[호산대학교|호산대]], [[대구가톨릭대학교|대가대]], [[대구대학교|대구대]]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어 아침엔 가축수송이다. === [[시지(대구)|시지]]와의 관계 === 같은 시기에 [[대구광역시]]로 편입된 [[시지(대구)|시지]]와는 [[금호강]]을 경계로 분리되어 있으며 교류는 적다. [[시지(대구)|시지]]는 [[경산시]] 동 지역과 [[압량읍]]과 연담화되어 있어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버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지하철]]은 물론이고 도보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반면 시지와 안심 간 대중교통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 외에는 거의 없으며, 그마저도 이용하기 불편하다. 849(-1)번과 수성3(-1)번이 있는데, 수성3(-1)번은 시지 중심이 아닌 대구스타디움이 있는 서쪽 끝만 슬쩍 훑어 지나가서 시지 중심에서 이용하기 어렵고, 849(-1)번은 시지 중심으로 바로 가긴 하지만 배차간격이 매우 길다. 일단 금호강이 두 지역을 분리하고 있고, 중간에 그린벨트와 농경지가 있어 두 지역은 지리적으로 명확히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자가용을 이용해도 범안로와 경안로 외에는 도로가 없고, 도시철도를 이용하려면 [[반월당역]]까지 가서 환승해야 된다.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이 개통되도 효목네거리를 거쳐가야 한다. 시지지구와 연계가 없는 이유는 간단한데, 둘 다 주거지로 개발된 곳이고, 주거지끼리 이동하는 수요는 당연히 매우 적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안심, version=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