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선 왕비)] ---- ||<#bf14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fd400 '''안순왕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조선 왕대비)] ---- [include(틀:역대 조선 대왕대비)]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조선 예종의 계비[br]{{{+1 안순왕후 | 安順王后}}}'''}}}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f140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존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성종조 왕대비[br]{{{+1 인혜왕대비 | 仁惠王大妃}}}'''}}}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연산군조 대왕대비[br]{{{+1 인혜대왕대비 | 仁惠大王大妃}}}'''}}}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예종/Example.jpg|width=100%]]}}} || ||<-2> {{{#ffd400 {{{-2 창릉 전경}}} }}} || ||<|2> '''출생''' ||[[1445년]] [[4월 27일]]^^([[음력]] [[3월 12일]])^^ || ||[[조선]] [[한성부]] [[한백륜|한백륜 사저]][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 ||<|2> '''사망''' ||[[1499년]] [[2월 12일]]^^([[음력]] [[12월 23일]])^^[br]{{{-1 (향년 53세)}}} || ||[[조선]] [[한성부]] [[경복궁]] [[경복궁 자경전|자경전]][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 || '''능묘''' ||[[창릉]](昌陵) || ||<|8> '''재위기간''' ||'''{{{#ffd400 조선 소훈}}}''' || ||[[1463년]] [[8월 29일]] ~ [[1468년]] [[10월 2일]] || ||'''{{{#ffd400 조선 왕비}}}''' || ||[[1468년]] [[10월 2일]] ~ [[1470년]] [[1월 10일]] || ||'''{{{#ffd400 조선 왕대비}}}''' || ||[[1470년]] [[1월 10일]] ~ [[1495년]] [[2월 3일]] || ||'''{{{#ffd400 조선 대왕대비}}}''' || ||[[1495년]] [[2월 3일]] ~ [[1499년]] [[2월 12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청주 한씨]] || || '''부모''' ||부친 청천부원군 [[한백륜]] (淸川府院君 韓伯倫, {{{-3 1427 ~ 1474}}}) 모친 서하부부인 [[풍천 임씨]] (西河府夫人 豊川 任氏, {{{-3 ? ~ 1472}}}) || || '''형제자매''' ||4남 6녀 중 장녀 || || '''배우자''' ||[[예종(조선)|예종]] || || '''자녀''' ||{{{#!folding 슬하 2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녀 - [[현숙공주]](顯肅公主, {{{-3 1464 ~ 1502}}}) 장남 - [[제안대군]](齊安大君, {{{-3 1466 ~ 1525}}}) 차녀 - [[혜순공주]](惠順公主, {{{-3 1468 ~ 1469}}}) {{{-3 차남 - 대군 (요절)}}}}}} || || '''봉작''' ||소훈(昭訓) || || '''전호''' ||영소전(永昭殿) || || '''존호''' ||'''인혜'''명의('''仁惠'''明懿) || || '''휘호''' ||소휘제숙(昭徽齊淑) || || '''시호''' ||'''안순왕후(安順王后)'''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8대 [[예종(조선)|예종]]의 [[왕비|계비]](繼妃). [[세조(조선)|세조]]와 [[정희왕후]]의 2번째 작은며느리[* [[예종(조선)|예종]]이 차남이기 때문이며 또한 안순왕후는 예종의 2번째 부인이다. [[예종(조선)|예종]]이 [[왕세자|세자]] 시절에 들인 첫번째 부인 [[장순왕후]]는 [[세자빈]]일 때 요절했다.]로 [[제안대군]]과 [[현숙공주]]의 어머니이다. == 생애 == [[1463년]](세조 9년), 당시 [[왕세자]]였던 [[예종(조선)|예종]]의 [[후궁]]인 종5품 소훈으로 간택된다. 하지만 이미 이 때는 [[장순왕후|세자빈]]이 죽은 이후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자빈]]의 예우를 받았으며 [[1468년]](세조 14년)에 [[세조(조선)|세조]] 뒤를 이어서 [[예종(조선)|예종]]이 [[조선/왕사|즉위]]하자 세조의 지명 아래 [[왕비]]로 책봉되었다. '''문제는 [[예종(조선)|예종]]이 즉위한지 15개월{1년 3개월}만에 [[사망]]한 것이다.''' [[제안대군|아들]]이 있었지만 [[나이]]^^(4~5세)^^가 어리다는 이유를 들어 권신 [[한명회]]와 시어머니인 대왕대비 [[정희왕후]]의 결정으로 자을산군이었던 [[성종(조선)|성종]]이 다음 [[조선/왕사|왕위]]를 잇는다. 과거 [[소혜왕후|인수대비]]의 아들인 [[월산대군]]의 [[왕세자|세자]] 자리가 [[의경세자|자기 남편]]에게 돌아갔던 것처럼 자기 아들인 [[제안대군]]의 [[왕세자|세자]] 자리가 다시 [[인수대비]]의 [[성종(조선)|아들]]에게 돌아가는 [[데자뷔]]를 겪게 된다. 게다가 [[세조(조선)|세조]]의 맏며느리에 성종의 친어머니인 [[인수대비]]에게 평생을 치여서 살게 되는데 사가의 법도대로 인수대비가 안순왕후보다 첫째 [[서열]]이라고 [[신하]]들이 멋대로 정해버려서 그렇다. 조카손자인 [[연산군]]이 즉위하고 나서는 [[대왕대비]]가 되었는데 이 때도 [[소혜왕후|인수대왕대비]]가 계속 생존해 있었고 심지어 인수대왕대비보다 먼저 [[죽음|승하]]해서 생의 말년까지 별다른 [[힘]]을 가진 적이 없다.[* 대신 연산군 즉위 4년만에 승하했기에 법적 손자인 연산군이 자기 아들의 노비인 장녹수를 후궁으로 들이는 꼴을 보지 않은데다 갑자사화로 피해를 입지도 않았다. 물론 안순왕후는 폐비 윤씨를 가장 크게 지지한 전적이 있지만, 연산군이 제안대군과 친했던 만큼 안순왕후가 장수했어도 갑자사화 때 패륜의 피해자가 되진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사망 1-2년 전부터 땀을 심하게 흘리는 증세를 보이는 등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지병이었던 [[당뇨병]]과 갑상선 질환으로 인하여 [[1499년]](연산군 4년), 55세의 나이로 [[경복궁]]에서 세상을 떠난다. 그나마 나중에 한참 후 인수대비가 승하하고 인수대비에게 원한이 있던 연산군이 인수대비의 장례 절차를 안순왕후 때보다도 간소화하는 식으로 해서 장례는 인수대비보다 후하게 더 받긴 했다. == 가계 == * 친정([[청주 한씨]]) * 아버지 :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 * 어머니 : 부부인 [[임(성씨)|임씨]](府夫人 任氏) * 장남 : 한환(韓懽) * 차남 : 한열(韓悅) * 삼남 : 한항(韓恒) * 사남 : 한순(韓恂) * '''장녀 : [[안순왕후|본인]]''' * 차녀 : 군부인 [[청주 한씨|한씨]](郡夫人 韓氏) * 삼녀 : 부부인 [[청주 한씨|한씨]](府夫人 韓氏) * '''시가([[조선 왕실|전주 이씨]])''' * 시조부 : [[세종(조선)|세종]](世宗) * 시조모 : [[소헌왕후]] [[청송 심씨|심씨]](昭憲王后 沈氏) * 시아버지 : [[세조(조선)|세조]](世祖) * 시어머니 : [[정희왕후]] [[파평 윤씨|윤씨]](貞熹王后 尹氏) * '''배우자 / 자녀''' * 남편 : [[예종(조선)|예종]](睿宗) * 장녀 : [[현숙공주]](顯肅公主) * 사위 : 풍천위(豊川尉) 임광재(任光載)[* [[연산군]] 대에 간신이자 권신으로 활약한 [[임사홍]]의 장남으로 [[임숭재]]의 맏형이다.] * 장남 : [[제안대군]](齊安大君) 이현(李琄)[* [[제안대군]]은 어엿한 [[예종(조선)|국왕]]의 [[적자]]이면서 [[조선/왕사|왕위]]는커녕 [[왕세자]] 자리에도 못가 본 인물로, 아버지 [[예종(조선)|예종]]이 [[죽음|승하]] 당시 나이^^(4~5세)^^가 어리다고 사촌형인 [[성종(조선)|성종]]에게 [[조선/왕사|왕위 계승권]]을 빼앗겼다. 더군다나, 사촌형 [[성종(조선)|성종]]이 [[조선/왕사|왕위]]를 아버지 예종의 양자로서 입적하게 되었는데 '''[[제안대군]](齊安大君)'''으로 봉군되자 마자, [[예종(조선)|아버지]]가 아닌 세종대왕의 7남이자 제안대군 자신에게는 작은할아버지였던 [[평원대군]]에게 [[양자(가족)|양자]]로 봉사손에 입적되었다.] * '''양자 겸 시조카 : [[성종(조선)|성종]](成宗)''' * 양며느리 겸 시조카며느리 : [[공혜왕후]] [[청주 한씨|한씨]](恭惠王后 韓氏)[* [[예종(조선)|예종]]의 전 부인 [[장순왕후]]의 동생으로 [[장순왕후]]와 [[성종(조선)|성종]]은 작은어머니-시조카 사이이다. 그래서 [[예종(조선)|예종]]과는 각별한 사이다.] * 차녀 : 혜순공주(惠順公主) == 여담 == * 아들 [[제안대군]] 때문에 며느리를 2번이나 내쫓았다. 1번째 며느리 김씨는 [[간질]]을 앓아 제안대군이 싫어하고 손자를 보기도 어렵겠다는 생각에 내쫓았다. 2번째 며느리 박씨 역시 [[제안대군]]과 사이가 좋지 않던 와중에 전 부인과 재결합하고 싶어하던 제안대군이 자작극[* 몸종이 몰래 이불 속으로 들어가 [[레즈비언|동성애자]]로 모함했다.]까지 벌이자 결국 자신에게 불손하다는 핑계로 쫓아내게 된다.[* 이렇게 내쫓긴 박씨는 얼마 뒤에 [[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제안대군]]은 끝내 자식을 보지 못하면서 결국 [[예종(조선)|예종]]계의 혈통은 여기서 끊기게 된다. * 슬하에 2남 2녀를 낳았지만 [[왕자]] 1명과 [[혜순공주]]는 일찍 요절했고 남은 1남 1녀인 [[제안대군]]이나 [[현숙공주]]는 배우자와 관계가 좋지 않아서 둘 다 끝내 자식을 낳지 못하는 바람에 안순왕후는 평생 [[손주]]를 보지 못한다. * 여걸이었던 시어머니 [[정희왕후]]와 손윗 동서 [[소혜왕후]]에 비하여 조용하고 유순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성종]] 대 왕실 어른들 중에선 가장 존재감이 덜한 편이나, 자식 문제를 제외하면 아무런 논란이 없었고 왕족들과도 별 탈 없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다는 점에서 조용하게 처신을 잘 하여 비교적 무탈한 궁 생활을 보낸 편이다. 아들 [[제안대군]] 또한 --한때는 속을 썩이긴 했지만-- 오랜 세월을 과부로 살았던 모후에게는 누구보다 효성이 지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대중매체에서 == [[사극]]에서 [[인수대비]]에 밀려나 찬밥신세다.[* [[예종(조선)|예종]]의 재위 기간도 짧아서 그다지 다룰 만한 내용이 없는 탓도 있다.] 안순왕후를 [[주인공]]으로 하는 사극도 없지만, 거의 머릿수 채워넣는 수준. * [[한명회(드라마)|한명회]] (KBS, [[1994년]], 배우 : 김은주, [[이인혜]]) * [[장녹수(드라마)|장녹수]] (KBS, [[1995년]], 배우 : [[최은숙]]) * [[왕과 비]] (KBS, [[1998년]] ~ [[2000년]], 배우 : [[경인선(동음이의어)#s-3|경인선]]) * [[왕과 나(드라마)|왕과 나]] (SBS, [[2007년]] ~ [[2008년]], 배우 : 이옥정) * [[인수대비(드라마)|인수대비]] (JTBC, [[2011년]] ~ [[2012년]], 배우 : [[이연두]], 김원희) == 참고 문서 == * [[성종(조선)|성종]] * [[예종(조선)|예종]] * [[예종실록]] * [[소혜왕후|인수대비]] * [[장순왕후]] * [[정희왕후]] * [[제안대군]] * [[한명회]] * [[한백륜]] [[분류:조선의 왕비]] [[분류:청주 한씨]] [[분류:1445년 출생]] [[분류:1499년 사망]][[분류:종로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