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안성 분기점'''}}}[br]{{{-2 '''安城 分岐點'''}}}[br]{{{-2 '''Anseong Junction'''}}}}}} || || [[구서IC|{{{#!html부산 방면}}}]][br][[안성IC]][br]← 4.8 km || [[경부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svg|height=23]]{{{#!html
경부선}}}]]'''{{{#fff {{{+1 41}}}}}}''' || [[양재IC|{{{#!html서울 방면}}}]][br][[남사진위IC]][br]8.2 km → || ||<-3> {{{-1 {{{#0047a0 ◀ [[안성휴게소]](부산방향)}}}}}} || ||<-3> {{{-1 {{{#0047a0 [[안성휴게소]](서울방향) ▶}}}}}} || || [[서평택JC|{{{#!html평택 방면}}}]][br][[송탄IC]][br]← 2.8 km || [[평택제천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40.svg|height=23]]{{{#!html
평택제천선}}}]]'''{{{#fff {{{+1 4}}}}}}''' || [[제천JC|{{{#!html제천 방면}}}]][br][[서안성IC]][br]2.0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안성JC, 너비=100%, 높이=225px)] || ||<-3> [[파일:12133344.jpg|width=100%]][br]{{{-2 '''[* 표지판에 [[대소JC|음성]] 방향 안내하는 글귀가 가려진 것을 보니 2002~2007년 사이에 찍힌 사진인 듯 하다.]'''}}} || ||<-3> {{{#fff '''주소'''}}} || ||<-3>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 ||<-3> {{{#fff '''관리기관'''}}}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 [[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 수원지사 || || [[평택제천고속도로|{{{#fff 평택제천선}}}]] ||<-2> [[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 화성지사 || ||<-3> {{{#fff '''개통'''}}} || ||<-3> [[2002년]] [[12월 12일]] || [목차][clearfix] == 개요 == '''[[경부고속도로]] 41번. [[평택제천고속도로]] 4번.'''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에 있는 [[경부고속도로]]와 [[평택제천고속도로]]의 [[분기점]]. 명칭은 소재지인 [[안성시]]에서 유래했다. == 구조 == === [[경부고속도로]] === ==== [[양재IC|서울]] 방향(상행선) ==== * 진출 가능: [[평택제천고속도로]] 양방향 * 진입 가능: [[평택제천고속도로]] 양방향 ==== [[구서IC|부산]] 방향(하행선) ==== * 진출 가능: [[평택제천고속도로]] 양방향 * 진입 가능: [[평택제천고속도로]] 양방향 === [[평택제천고속도로]] === ==== [[제천JC|제천]] 방향(상행선) ==== * 진출 가능: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 [[서평택JC|평택]] 방향(하행선) ==== * 진출 가능: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 역사 == * [[2002년]] [[12월 12일]] 평택음성고속도로 서평택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구간이 개통하면서 [[경부고속도로]]와 평택음성고속도로의 분기점으로 개통되었다. * [[2002년]] [[12월 5일]] 평택음성고속도로의 명칭이 평택충주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 * [[2008년]] [[1월 3일]] 평택충주고속도로의 명칭이 평택제천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경부고속도로]] 구간 중 [[서울TG|서울 요금소]], [[신갈JC|신갈 분기점]]과 동일하게 명절 도로 교통 상황 정보에서 자주 등장하는 교통 시설이다. 매해 명절 당시마다 항시 [[헬게이트]]가 펼쳐져 있다. [[평택제천고속도로]] 역시 정체 당시에는 [[남안성IC|남안성 나들목]]부터 계속해서 밀리기 때문에 이 분기점을 기준으로 [[경부고속도로]] 서울방면의 정체가 계속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 [[평택고덕IC]]를 드나드는 차량들도 안성JC의 정체 현상에 크게 일조하고 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캠퍼스|평택 캠퍼스]]를 오가는 업무 차량, 화물 차량, 출퇴근 및 셔틀 버스, 광역버스의 교통량을 다 합치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평일 퇴근 시간의 [[평택제천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방향으로 나가려는 차량이 양 방향에서 몰려들어 매우 심각한 정체가 벌어지고 있다. 특히 제천 방향에서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향으로 가려는 [[끼어들기]] 차량이 매우 많아 1차로까지 전부 정체되었다가 안성JC만 지나면 텅 비는 현상이 매일 벌어지고 있다. 클로버형 교차로여서 속도가 줄어드는데다가, 램프가 1개 차로밖에 없으며, 이미 이 구간의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향 도로가 정체되고 있어서 차량의 진출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이다.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거쳐 [[중부고속도로]]나 [[영동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경우 안성JC를 이용하여 [[경부고속도로]]를 거쳐 [[동탄JC]]로 진입하는 거보다는 [[평택JC]]를 통해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 ~ 화성)를 지나서 [[서오산JC]]로 진입하는 것이 더 낫다. --문제는 T맵이 자꾸 경부고속도로 쪽으로 안내한다는 거다.-- * 이 곳에서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남이JC|남이 분기점]]까지 도달하는 거리와 [[평택제천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대소JC|대소 분기점]]을 경유하여 [[중부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남이JC|남이 분기점]]에 도달하는 주행거리는 각기 약 '''63km''' / '''75km'''에 해당한다. [[천안JC|천안 분기점]] 인근에서 상습 정체를 보인다는 특징을 감안하면 너무 돌아가도 괜찮은 거리. --느낌상 엄청자게 차이나는 실정이다.--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착발하는 고속버스 노선 중 [[안성종합버스터미널|안성]]을 오가는 고속버스가 이곳을 경유해 [[평택제천고속도로]]로 전환한다.[* 하지만 보통은 공도읍과 [[중앙대학교]], 일부 대림동산을 경유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접근이 용이한 [[안성IC|안성 나들목]]을 통해 진출입한다.] * [[인천종합터미널]]에서 발착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중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각종 노선은 서해안고속도로나 평택시흥고속도로를 경유한 다음 '''대부분''' 이 분기점을 경유한다.[* 논산천안고속도로 및 호남고속도로 이용 버스 노선들은 대부분 [[43번 국도|43번도로]] 경유 [[남풍세IC]] 진출입 경로로 대체되었다.] * [[삼성전자]] [[삼성전자/캠퍼스|평택캠퍼스]]의 [[삼성전자/출퇴근버스|출퇴근버스]]가 여기를 이용한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경부고속도로의 구간)] [include(틀:평택제천고속도로의 구간)] [[분류:경부고속도로]][[분류:평택제천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분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