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안산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안산시의 정치)]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안산시 단원구 을}}}}}}'''[br]{{{-1 {{{#fff 중앙동, 고잔동, 대부동 등[br]安山市 檀園區 乙[br]Ansan Danwon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안산시 단원구 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49,664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기도]] [[안산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단원구|{{{#373a3c,#ddd 단원구}}}]] 일부''' 중앙동, 고잔동, 초지동, 호수동 + 대부도 일대(대부동) }}} || ||<-2> '''신설년도''' ||<-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무소속)] || [[김남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안산시]] [[단원구]]의 남부 지역[* [[안산시청]]과 단원구청, [[반월국가산업단지]]가 있다.]과 안산시에서 가장 보수적이면서 월경지인 [[대부도]]가 공존하는 [[지역구]]이다. 대부동을 포함하는 단원구 을은 안산시 유일의 월경지 선거구가 된다. 현역 국회의원은 [[무소속]] [[김남국]] 의원이다. 안산시의 인구 감소로 인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을 앞두고 [[안산시]]의 선거구 4곳이 3곳(안산시 갑[*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반월동], 안산시 을[* 상록구 일동, 이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안산동 + 단원구 와동, 고잔동, 중앙동], 안산시 병[* 단원구 호수동,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초지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대부동])으로 통폐합될 뻔하였으나, [[선거구]] 획정위의 안이 재검토되면서 우여곡절 끝에 살아남았다. 다만 인구가 64만에 불과한 도시가 선거구를 4곳이나 가져가는 것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안산보다 인구가 2023년 기준 약 30만 명 많은 [[화성시]]는 인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선거구를 3개밖에 안 가져서이다. --근데 이건 화성이 비정상적인 게 맞다.-- 심지어 안산보다 약 44만 명 많은 [[고양시]]와 [[용인시]]에도 똑같이 각각 4곳을 가졌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17대 || [[제종길]]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박순자]]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부좌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박순자]]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김남국]]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0년 5월 30일 ~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안산시 단원구 을|{{{#000000 {{{+1 '''안산시 단원구 을'''}}}}}}]][br]{{{#000000 고잔1동, 고잔2동, 호수동, 초지동, 대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형기(金亨冀) || 19,924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7.19% || 낙선 || ||<|2> {{{#ffffff {{{+5 '''2'''}}}}}} || 김진관(金鎭寬) || 4,754 || 4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8.19% || 낙선 || ||<|2> {{{#000000 {{{+5 '''3'''}}}}}} || '''[[제종길]](諸淙吉)''' || '''26,002''' || '''1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4.8%'''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노세극]](盧世極) || 5,751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9.91% || 낙선 || ||<|2> {{{#ffffff {{{+5 '''5'''}}}}}} || 임흥무(林興茂) || 1,615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7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7,039 ||<|3> '''투표율'''[br]60.24% || || '''투표 수''' || 58,445 || || '''무효표 수''' || 409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안산시 단원구 을|{{{#ffffff {{{+1 '''안산시 단원구 을'''}}}}}}]][br]{{{#ffffff 고잔1동, 고잔2동, 호수동, 초지동, 대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제종길]](諸淙吉) || 21,610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46.06% || 낙선 || ||<|2> {{{#ffffff {{{+5 '''2'''}}}}}} || '''[[박순자]](朴順子)''' || '''24,48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2.18%''' || '''당선''' || ||<|2> {{{#ffffff {{{+5 ~~'''6'''~~}}}}}} || ~~[[송진섭]](宋振燮)~~ || - || - || || ~~[include(틀:친박연대(2008년))]~~ || - || 사퇴 || ||<|2> {{{#ffffff {{{+5 '''7'''}}}}}} || 김남준(金南俊) || 830 || 3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7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7,943 ||<|3> '''투표율'''[br]44.14% || || '''투표 수''' || 47,643 || || '''무효표 수''' || 721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안산시 단원구 을|{{{#3AB34A {{{+1 '''안산시 단원구 을'''}}}}}}]][br]{{{#3AB34A 고잔1동, 고잔2동, 호수동, 초지동, 대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순자]](朴順子) || 28,664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8.04% || 낙선 || ||<|2> {{{#3AB34A {{{+5 '''2'''}}}}}} || '''[[부좌현]](夫佐炫)''' || '''29,176''' || '''1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8.90%''' || '''당선''' || ||<|2> {{{#ffffff {{{+5 '''3'''}}}}}} || 백남오(白南伍) || 1,824 || 3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3.0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2,830 ||<|3> '''투표율'''[br]53.26% || || '''투표 수''' || 60,097 || || '''무효표 수''' || 433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안산시 단원구 을|{{{#ffffff {{{+1 '''안산시 단원구 을'''}}}}}}]][br]{{{#ffffff 고잔1동, 고잔2동, 호수동, 초지동, 대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순자]](朴順子)''' || '''24,891'''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8.08%''' || '''당선''' || ||<|2> {{{#ffffff {{{+5 '''2'''}}}}}} || [[손창완]](孫昌浣) || 16,565 || 3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5.34% || 낙선 || ||<|2> {{{#ffffff {{{+5 '''3'''}}}}}} || [[부좌현]](夫佐炫) || 21,696 || 2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33.18% || 낙선 || ||<|2> {{{#000000 {{{+5 '''4'''}}}}}} || 이재용(李在容) || 2,516 || 4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3.3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1,876 ||<|3> '''투표율'''[br]59.03% || || '''투표 수''' || 66,045 || || '''무효표 수''' || 680 || [[천정배]] 의원의 보좌관 출신으로서 [[천정배계]] 인사로 분류되던 현역 [[부좌현]]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에서 단원구 을 선거구를 전략 공천지로 선정하면서 [[컷오프|공천에서 배제]]당하였고, 이에 불복하여 천정배가 있는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 입당하게 된다. [[새누리당]]은 지난 총선에서 부좌현 후보에게 패배한 바 있는 비례대표 출신 [[박순자]] 후보를 공천하였고, [[더불어민주당]]은 [[손창완]] 전 [[경찰대학]]장을 전략 공천하였다. 당초 손창완 후보와 현역 프리미엄을 가지고 있는 부좌현 후보 간의 단일화가 거론되었으나 무산되었고, 야권 표의 분산 속에 새누리당 박순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안산시 단원구 을|{{{#ffffff {{{+1 '''안산시 단원구 을'''}}}}}}]][br]{{{#ffffff 중앙동, 고잔동, 초지동, 호수동, 대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남국]](金南局)''' || '''42,150'''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1.32%'''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박순자]](朴順子) || 38,497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6.87% || 낙선 || ||<|2> {{{#ffffff {{{+5 '''7'''}}}}}} || 정우혁(鄭佑爀) || 864 || 3위 || || [include(틀:우리공화당)] || 1.05% || 낙선 || ||<|2> {{{#ffffff {{{+5 '''8'''}}}}}} || 이윤배(李允配) || 612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7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7,185 ||<|3> '''투표율'''[br]65.40% || || '''투표 수''' || 83,176 || || '''무효표 수''' || 1,053 || ||<-5> {{{#ffffff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안산시 단원구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남국|{{{#ffffff '''김남국'''}}}]] || [[박순자|{{{#ffffff 박순자}}}]]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2,150 [br] (51.32%)'''}}} || '''38,497 [br] (46.87%)''' || '''+ 3,653 [br] (△4.45)''' || '''83,176 [br] (65.39%)''' || || '''호수동'''[* [[안산 레이크타운 푸르지오]]가 있는 동네이다.] || {{{#004ea2 50.24%}}} || 48.36% || △1.88 || 68.27 || || '''초지동'''[* [[신안산대학교]], [[초지역세권개발사업|초지역메이저타운푸르지오단지]]가 있는 동네이다.] || {{{#004ea2 51.56%}}} || 46.69% || △4.87 || 62.75 || || '''대부동'''[* 대부북동+대부동동+대부남동+선감동+풍도동을 포괄하는 동네이다.] || 31.23% || {{{#ef426f '''67.36%'''}}} || '''▼36.13''' || 60.43 || || '''고잔동'''[*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세월호 참사]]로 학생 250명이 희생된 아픈 역사가 있는 [[단원고등학교]]가 있는 동네이다.] || {{{#004ea2 '''55.02%'''}}} || 42.57% || '''△12.45''' || 57.14 || || '''중앙동'''[* [[서울예술대학교]]가 있는 동네이다.] || {{{#004ea2 51.22%}}} || 46.75% || △4.47 || 61.60 || || '''후보''' || [[김남국|{{{#004ea2 '''김남국'''}}}]] || [[박순자|{{{#ef426f 박순자}}}]]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2.67% || {{{#ef426f 53.50%}}} ||<-2> ▼10.83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0.44%}}} || 37.33% ||<-2> △23.11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73.49%}}} || 26.50% ||<-2> △46.99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손창완]] 전 후보가 [[한국공항공사]] 사장으로 임명됐는데, 출마하지 않고 직을 유지하고 있다. 윤기종 전 안산YMCA이사장, 채영덕 전 [[예원예술대학교]] 총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전략공천지로 지정되었고, 이후 [[강서구 갑]]에서 밀려난 이후 서울의 전략지란 전략지에는 죄다 공천설이 나오던[* [[강서구 갑]]에서 컷오프된 후 서울에서 전략선거구로 추가 지정된 곳은 [[금천구(선거구)|금천구]], [[중구·성동구 을]], [[동대문구 을]], [[강남구 병]]인데, 강남 병 빼고 나머지 3곳서 전부 출마설 기사가 나왔다.] [[김남국]] 변호사를 이곳에 전략공천했다. 두 예비후보는 단식투쟁까지 해 가며 격렬히 반발하다가 결국 최종적으로는 김남국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승복했다. 현역 [[박순자]] 의원은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둘러싼 원내지도부와의 갈등 끝에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으며 컷오프가 유력시되고 있었는데, 별 대안이 없었는지 결국 [[미래통합당]] 후보로 단수공천을 받았다. 특히나 박순자 의원은 국토교통위원장직 유지 논란을 감수하면서까지 안산시민들도 반쯤 포기한 상태였던 '''[[신안산선]] 착공'''을 기어코 이뤄내는 업적을 만들면서, 자신의 핸디캡을 완전히 극복하고 안산시민들의 지지를 이끌어내고 있었다. 국민일보는 '조국 수호' vs '안산 일꾼'이라는 식으로 이 선거구 구도를 묘사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4444598|#]] 박순자 후보가 3선 의원의 관록과 지역 기여를 내세우고 있다면, 김남국 후보는 집권 여당의 힘과 정치 신인의 패기를 내세우고 있다. [[http://naver.me/G08w24YM|#]] 헌데, 총선을 앞두고 김남국과 박순자 모두에게 하나씩 [[악재]]가 터졌는데, 김남국은 개국본의 보이스피싱으로 후원금이 털린 피해를 알리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되었고, 박순자는 운전기사가 자신의 비리 및 갑질 의혹을 폭로한 게 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박순자 의원의 운전기사는 "저의 오해와 개인적 감정에서 비롯되었습니다."면서 폭로를 취소했고, 미래통합당 공관위도 박순자의 공천을 유지했다. [[민생당]]의 [[부좌현]] 전 의원은 옆 [[단원구 갑]]의 민주당 [[고영인]] 예비후보의 사무실 개소식에 참석한 정도를 빼면 이렇다 할 활동을 하지 않고 있어 불출마할 것으로 보였고, 이후 김남국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민주당에 복당했다. [[자유공화당]]에선 정우혁 긍정의힘 대표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첫 여론조사(알앤써치)에서는 김남국이 오차범위 내에서 우세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68&aid=0000642411|#]] 두 번째 조사([[한국리서치]])에서는 면접조사의 야당 지지자 응답률 저하 현상은 감안해야겠지만, 격차가 더 벌어졌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6&aid=0010812101|#]] 개표 결과 김남국 후보가 과반을 차지해 [[당선]]되긴 했으나, 안산의 나머지 3개 선거구들에서는 미래통합당 후보들이 별 힘을 못 쓰고 쓸려나간 것과 달리 박순자는 역시 신안산선 착공을 이끌어낸 점[* 다만 안산은 본래 [[반월국가산업단지|반월공단]]과 [[시화국가산업단지|시화공단]]을 낀 공업도시이기 때문에 경기도의 다른 동네들에 비해 서울로 출퇴근하는 인구 비중이 적다. 실제로 [[https://gits.gg.go.kr/gtdb/web/trafficDb/newzone/HB003/2/IN_OUT/4_ATT_DIS.do|경기도의 지역간 출근통행량]]을 보면, 안산 단원구의 내부통행량 비중은 67.7%로 다른 대도시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즉, 직장이 있는 안산 단원구민들의 3분의 1만 단원구 외 타 지역으로 출근한다는 것이다. 안산 단원구보다 내부통행량이 더 높은 시군구들은 [[평택시]], [[이천시]], [[안성시]]처럼 서울과 거리가 먼 지역들밖에 없다. 이로 인해 신안산선의 잠재적 이용자가 아닌 시민들도 많아 신안산선 착공이 박순자 후보의 표심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등이 지역민들에게 높게 평가받아서 끝까지 호각세를 이루며 선전했다. 동별로 보면 대부동([[대부도]])[* 농어촌 지역이다 보니 노인 인구가 많기 때문에 안산시에서 거의 유일한 보수정당 [[텃밭(정치)|텃밭]]이다.]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김남국 후보가 앞섰다. 구도심 지역에 [[단원고등학교]]가 있는 고잔동은 김남국 후보가 12.5%p차이로 크게 앞섰지만, 지역구 내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며 신안산선의 최대 수혜지인 호수동([[고잔신도시]])은 김남국 후보가 불과 1.9%p차로 앞섰다. 초지동과 중앙동의 경우에는 5%p 이내로 김남국 후보가 앞섰다. 특히 [[안산 레이크타운 푸르지오]](호수동 제10투표소, 박순자 54.47% > 김남국 44.20%), [[초지역세권개발사업|초지역메이저타운파크]](초지동 제2투표소, 박순자 59.56% > 김남국 38.88%), [[초지역세권개발사업|초지역메이저타운메트로]](초지동 제3투표소, 박순자 57.21% > 김남국 41.86%) 등 대형 아파트단지들이 10%p 이상의 격차로 박순자 후보를 압도적으로 밀어줬다.[* 사실 해당 아파트가 속한 동들은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정의당이 10% 득표율을 넘었고 시민당이 한국당을 5% 넘는 여유있는 차이로 이긴 곳들이다. 즉, 지역구는 박순자+비례는 시민당 or 정의당으로 투표한 전략적 교차투표가 많았다는 뜻인데, 박순자가 선전한 이유는 초지동과 호수동이 신안산선 착공의 수혜지역들이기 때문.] 살펴보면 이번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후보 박순자 전 의원의 패배는 박순자 의원 개인의 경쟁력 문제보다는 박순자의 정당인 미래통합당의 총체적인 패착이 원인이였다. 무엇보다도 [[2020년 차명진 세월호 유가족 망언 파동|차명진의 막말 파동]]이 치명타였는데, 단원구는 [[세월호 참사]]라는 안타까운 사건을 맞으면서도 20대 총선에서 보수정당에게 표를 주었다. 그런데 여기에 끼얹어진 [[차명진]]의 막말로 인하여 아직 가시지 않은 마음에 아예 칼을 꽂아넣었고, 결국 많은 구민들이 등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단원구 을은 단원고등학교를 포함한 지역이기 때문에 차명진의 망언이 더욱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실제로 단원고가 직접 들어간 고잔동에서 김남국 후보가 가장 높은 득표율을 냈고, 보수층들이 대거 투표장에 불참하여 가장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아이러니한 점은 낙선한 박순자의 득표가 20대 총선때보다 훨씬 많았다는 거다.[* 물론 20대 선거에선 국민의당이 대거 갈라먹어서 그렇기도 했지만 말이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안산시의 인구 감소로 인해서 안산시 선거구가 4개에서 3개로 통폐합되는 것이 유력한데, 위치상 4개 중 이 선거구가 없어질 가능성이 크다. 초지동, 대부동, 고잔동은 안산시 단원구 갑(신 안산시 병)으로, 중앙동, 호수동은 안산시 상록구 을(신 안산시 을)로 편입되는 것이 유력. 게다가 이 지역구 정치인들이 모두 위태로운 상태다. 이 지역을 오랫동안 지킨 보수정당 정치인인 [[박순자]] 전 의원은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현재 구속되고 당에서 강제 탈당된 상태라 정계 복귀가 절대 불가능하며 현역 국회의원인 [[김남국]] 의원 또한 [[김남국 가상화폐 보유 논란|가상화폐 보유 논란]]으로 탈당했으며 결국 불출마 선언을 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83043?sid=100|#]] [[무주공산|이로써 지역구와 지역 정치인이 모두 몰락하며 사라지게 되었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기도의 정치]][[분류:단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