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산시의 버스)] [[파일:_MG_9927.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안산시 CI_White.svg|width=25]]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99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산 99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오이도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삼천리마을) || ||<|2> 종점행 || 첫차 || 05:20 ||<|2> 기점행 || 첫차 || 05:10 || || 막차 || 23:00 || 막차 || 23:00 || ||<-2> 배차간격 ||<-4> 130~215분 (일 8회)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오이도차고지 - 스틸랜드 - 한울공원 - 한라1,3차.이지더원 - 시화병원 - 시흥관광호텔 - [[안산역]] - 백운동행정복지센터 - 단원구청 - 안산시청 - [[안산종합버스터미널]] - 삼보상록마을 - 한양대입구 - [[상록수역]] - 신안코아 - 팔곡마을주공아파트 - 동호상가 - [[반월역]] - 삼천리마을앞 || == 개요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651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80년대 중후반부터 있던 노선. '반월공단 - 안산역 - 주택단지 - 라성시장 - 초지시장 - 고잔역 - 안산시청 - 중앙동 - 예술인아파트 - 중앙역 - 고잔7단지 - 월피동 - 시낭공원 - 부곡동'이었다. '고잔역 - 부곡동' 구간은 현재 99-1번이 대체 중이다. * 1990년대에 선부동 일대의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주택단지 - 라성시장' 구간이 '주택단지 - 다다생활관 - 양문교회 - 기숙사단지 - 땟골 - 석수골 - 한양플라자 - 동명아파트 - 원곡2동사무소(당시 명칭) - 라성시장'으로 바뀌었는데, 이 구간은 현재 501번과 511번 98번이 대체 중이다. * 2000년대 초반, 부곡동에서 일동 - 상록수역 구간이 연장됐다. * 99-1번이 분리되면서, 더 이상 부곡동으로 가지 않게 됐고, 노선이 바뀌어 성안고사거리를 경유하게 됐고, 반월공단 구간도 바뀌어 '일성신약 - 유통상가 - 한국신문잉크 - 광명전기 - 희성엥겔하드 - 종근당바이오 - 강남화성' 구간을 경유하게 됐는데, 한국신문잉크부터 종점까지는 현재 501번이 대체 중이다. * 2005년 12월 28일에 본오동에서 반월역까지 연장됐다. * 2006년 6월 26일에 511번이 신설되면서 '원곡고 - 땟골 - 동명아파트 - 경일고 - 원곡중' 구간이 단축됐으며, [[고잔역]]을 경유하지 않게 됐다. * 2008년 6월경 스틸랜드를 경유하도록 바뀌었다. * 2015년 10월 1일에 삼천리마을에서 [[대야미역]]까지 연장됐다. 그 동안 안산에서 대야미로 가는 버스는 [[화성 버스 330|330번]], [[안산 버스 3100|3100번]], [[안산 버스 3101|3101번]], [[시외버스 8467|8467번]] 등 좌석버스나 시외버스 뿐이었는데 이 노선이 연장되면서 1990년대 중후반 삼영운수 2번[* 당시 노선은 안양 충훈부에서 반월공단까지 운행했으며 안산선 개통 이후 유령노선이 됐다가 폐선.] 이후 안산시에서 군포로 가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이 됐다. 사실 연장되기 전에도 대야미역이나 근처 버스정류장 일반버스 칸에 [[안양 버스 20|20번]]과 99번이 적혀 있었다. * 2017년 8월 25일에 '스틸랜드 - 오이도입구 - 국궁장 - 시화병원' 구간이 '스틸랜드 - 뿌리기술센터 - 한라비발디1차 - 시화병원'으로 바뀌었다. * 2018년 10월 22일에 '반월역 - 대야미역' 구간이 단축됐고, 연수원사거리 유턴 구간이 폐지되고 [[안산 버스 511|511번]] 경로인 원선파출소[* 현 백운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 경유로 변경됐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89280|관련 게시물]] * 일자 미상으로 반월역에서 삼천리마을까지 한 정류장이 연장됐다. 사실상 원선파출소, 배곧신도시 경유를 제외하면 대야미 연장 이전 시점으로 환원된 셈. * 2023년 10월 14일부터 12월 17일까지 용담로지구 급경사지 보강공사로 인해 반월2교가 통제됨에 따라 인정아파트 방향으로 우회 운행한다. * 2023년 10월 16일부터 원일주택 정류장에 추가 정차한다. == 특징 == * [[안산 버스 22|22번]]의 완벽한 하위호환 노선이다. '시화주공5단지 - 삼천리마을' 구간이 거의 겹친다. 차이점은 22번이 시화주공 5단지 ~ 자원재생공사 구간, [[고잔고등학교]] 굴곡이 있다는 것 뿐이고,[* 즉 99번을 타면 성안고 사거리에서 시외버스터미널까지 직통으로 갈 수 있다. 문제는 기다리는 시간이 길다는 것이다.] 배차간격은 22번이 절대우세. 62번과 달리 원선파출소를 지나면 중앙대로, 정왕대로를 달리기 때문에 안산에서 배곧신도시까지 빠르게 갈 수 있다. * 반월역 출발/도착 차량은 본오동차고지에서 주박한다. * 굴곡 노선이 많은 안산시 버스 중 몇 안 되는 직선 노선이다. * 안산 버스 중에서 번호를 유지하면서 노선이 가장 많이 변경된 노선이다. 처음에는 안산 내에서만 운행했었지만 나중에는 시화 오이도까지 가는 노선으로 변경되어 장거리 노선이 됐다. 반월공단 - 본오동 시절과 비교하면 대부분 경로가 바뀌거나 연장됐다. * 예전 [[안산 버스 99-1|99-1번]], [[안산 버스 98|98번]], [[안산 버스 511|511번]] 노선 분리 전의 장거리 노선은 [[안산 버스 101|101번]]과 더불어 안산의 대표 굴곡 노선인 적이 있었다. 본오동, 선부동과 와동을 골고루 지나간 적이 있었고 동시에 그 당시 유수지 논밭였던 고잔신도시 미개발 지역들 빼고는 거의 안산 시내 거의 모든 핵심 동네 곳곳을 경유하는 굴곡노선 형태였다.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 시간표 === [[http://www.kwbus.co.kr/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2224|23년 8월 21일 기준이다.]] || 오이도 출발 || 반월 출발 || || 5:20 || 5:10 || || 7:50 || 7:20 || || 10:10 || 9:50 || || 12:35 || 12:10 || || 14:55 || 14:35 || || 17:20 || 16:55 || || 19:45 || 19:25 || || 23:00 || 23:00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역]], [[초지역]][*A 푸르지오메트로 하차 후 도보], [[상록수역]], [[반월역]]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초지역[*A]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안산역, 초지역[*A] [[분류:안산시의 시내버스]][[분류:시흥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