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안드레이 줄랍스키}}}[br]Andrzej Żuławski'''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drzej_Zulawski.jpg|width=100%]]}}}|| ||<|2> '''본명''' ||안제이 주와프스키[* 폴란드어 원어 발음은 '안제이 주와프스키'에 가깝다.]|| ||Andrzej Żuławski|| ||<|2> '''출생''' ||[[1940년]] [[11월 22일]]|| ||[[소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 SSR]] [[르비우|리보프]]|| ||<|2> '''사망''' ||[[2016년]] [[2월 17일]]|| ||[[폴란드]] [[바르샤바]] ,,(향년 75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소설가]]|| || '''데뷔''' ||1971년 《밤의 제3부분》|| || '''대표작''' ||'[[포제션(영화)|포제션]]', '[[퍼블릭 우먼]]', '은빛 지구' || || '''배우자[br]/파트너''' ||배우자 마우고자타 브라우넥 ^^(1971~1976)^^[br]파트너 [[소피 마르소]] ^^(1985~2001)^^|| [목차] [clearfix] == 개요 == [[폴란드]]의 영화 감독. 출생지는 [[우크라이나]]지만 국적은 [[폴란드]]이며 주로 유럽권에서 활동을 하였으며, 대표작은 거의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초기작들이 떠오를 정도로 피와 섹스, 촉수가 충돌하는 괴작 [[포제션(영화)|포제션]] (1981)이 있다. == 경력 == 가족사가 비극적인 것으로 유명하다. 아버지는 시인이었는데 독일군 치하 레지스탕스 활동으로 즉결 처형이 내려졌으나, 티푸스에 걸린 이에다 피를 먹여 겨우 피했다고 한다. 여동생은 전시에 동사했고, 친족들은 전원 사망. 3살 때 독일군들이 처형하는 걸 보고 자랐다고 한다. 이 사실을 가지고 만든 영화가 장편 데뷔작 [[밤의 제3부분]]이다. 파리에서 영화 공부를 하고 [[안제이 바이다]]의 조감독으로 영화판에 뛰어든다. 참고로 둘다 2016년에 사망하였는데 줄랍스키 쪽이 좀 더 빨리 사망하였다. 위에 유럽권에서 활동했다고 모호하게 서술한 것은 폴란드에서 영화를 심하게 검열 당해 다른 나라로 가서 찍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 데뷔작부터 시작해 차기작, 세번째 영화까지 다 상영제한, 상영금지, 제작중단 등 겪지 않은 처사가 없다. 결국, 폴란드에서 영화 찍는걸 때려치고 대학을 나온 프랑스로 돌아와 연출을 하였다. 그만큼이나 파격적인 연출을 보여주며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작품들을 만들었다. 사생활로는 [[소피 마르소]] 전 애인으로 유명하다. 소피 마르소 보다 26살 연상이라는 것이 화제였고, 2000년 피델리티[* 줄랍스키는 원래 이 작품을 소피 마르소의 감독 데뷔작으로 만들려고 했으나 소피 마르소가 예전처럼 감독과 여배우 라는 관계로 작업을 하고 싶다하여 줄랍스키가 메가폰을 잡았다고 한다.] 를 마지막으로 이 둘은 깨졌는데, 그 뒤로 줄랍스키는 활동을 거의 중단했고 영화 아카데미 같은 곳에서 강사로 일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2015년 [[비톨트 곰브로비치]] 동명 소설 원작으로 하는 [[코스모스]]를 유작으로 타계했다. == 필모그래피 == || '''연도''' || '''제목''' || '''연출''' || '''각본''' || '''출연''' || '''비고''' || || 1971 || 밤의 제3부분[br]{{{-1 ''Trzecia część nocy''}}} || O || O || || {{{-1 장편 데뷔작}}} || || 1972 || 악마[br]{{{-1 ''Diabeł''}}} || O || O || || || || 1975 || 중요한 건 사랑한다는 거야[br]{{{-1 ''L'important c'est d'aimer''}}} || O || O || || || || 1981 || [[포제션(영화)|포제션]][br]{{{-1 ''Possession''}}} || O || O || || {{{-1 제34회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작 [br]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공동 243위 }}} || || 1984 || [[퍼블릭 우먼]][br]{{{-1 ''La femme publique''}}} || O || O || || {{{-1 제10회 [[세자르상]] 각색상 후보}}} || || 1985 || 성난 사랑[* '격정'으로 표기되기도 한다.][br]{{{-1 ''L'Amour braque''}}} || O || O || || || || 1987 || 사랑의 아픔[br]{{{-1 ''Maladie d'amour''}}} || || O || || || || 1988 || [[은빛 지구]][br]{{{-1 ''Na srebrnym globie''}}} || O || O || || || || 1989 || 나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br]{{{-1 ''Mes nuits sont plus belles que vos jours''}}} || O || O || || || || 1989 || 보리스 고두노프[br]{{{-1 ''Boris Godunov''}}} || O || O || || || || 1991 || 쇼팽의 푸른 노트[br]{{{-1 ''La note bleue''}}} || O || O || || || || 1996 || [[샤만카]][br]{{{-1 ''Szamanka''}}} || O || || || || || 2000 || 피델리티[br]{{{-1 ''La fidélité''}}} || O || O || || || || 2015 || 코스모스[br]{{{-1 ''Cosmos''}}} || O || O || || {{{-1 유작}}} || || 2019 || 버드 토크[br]{{{-1 ''Mowa ptaków''}}} || || O || || || == 기타 == * 젊었을 적엔 미남인데에다가 패션 센스가 좋아서 폴란드 시절 첫 아내 마우고자타 브라우넥[* [[크미치스]] 히로인 올렝카 역으로 유명하다. 남편 영화에는 밤의 제3부분과 악마에 출연했다. 이혼 과정이 엉망진창였던지라 이때 탄생한 영화가 [[포제션(영화)]]다.]이랑 더불어 선남선녀 패셔니스타 커플로 유명했다. 당시 SNS가 있었으면 이 커플이 SNS 스타가 되었을 것이라거나, 왜 배우가 아니라 영화 감독을 하고 있냐는 얘기도 나왔을 정도. [[분류:폴란드 영화 감독]][[분류:1940년 출생]][[분류:1971년 데뷔]][[분류:2016년 사망]][[분류:르비우 출신 인물]][[분류:우크라이나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