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안동시의 읍면동)] ||<-4> '''[[경상북도|{{{#000000,#dddddd 경상북도}}}]]의 [[시(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자치시}}}]]'''[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안동시 CI.svg|height=55]]}}}||{{{#!wiki style="margin: -5px 0" '''{{{+1 안동시}}}'''[br]安東市[br]{{{-1 Andong Ci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북도 안동시&zoom=9, 너비=100%, 높이=100%)]}}} || ||<-2> '''[[안동시청|{{{#fff 시청 소재지}}}]]''' ||<-2> 퇴계로 115 (명륜동) || ||<-2> '''광역자치단체''' ||<-2> [[경상북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13[[면(행정구역)|면]] 10[[동(행정구역)|동]] || ||<-2> '''면적''' ||<-2> 1,522.21㎢ || ||<-2> '''인구''' ||<-2> 153,121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현황]]] || ||<-2> '''인구밀도''' ||<-2> 100.59명/㎢ || ||<-2> '''시장'''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권기창]] {{{-2 (초선)}}} || ||<|3><-2> '''시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10석[* 안동시 가선거구 (북후면, 서후면, 송하동): 우창하[br]안동시 나선거구 (옥동): 권기윤[br]안동시 다선거구 (풍산읍,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권기탁]][br]안동시 라선거구 (와룡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권기익]][br]안동시 마선거구 (남선면, 임하면, 강남동): 김창현[br]안동시 바선거구 (용상동): 박치선[br]안동시 사선거구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안유안]][br]안동시 아선거구 (중구동, 명륜동, 서구동): 김상진, [[김경도(1961)|김경도]][br]비례대표: 여주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4석[* 안동시 가선거구 (북후면, 서후면, 송하동): 김새롬[br]안동시 나선거구 (옥동): [[정복순]][br]안동시 다선거구 (풍산읍,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김순중[br]비례대표: 김정림]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4석[* 안동시 라선거구 (와룡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이재갑(정치인)|이재갑]]'''(9선)'''[br]안동시 마선거구 (남선면, 임하면, 강남동): 임태섭[br]안동시 바선거구 (용상동): 김호석[br]안동시 사선거구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손광영]]] || ||<-2>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3석[* 안동시 제1선거구 (풍산읍,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옥동, 송하동): 김대진 (초선)[br]안동시 제2선거구 (와룡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용상동, 강남동): [[권광택]] (재선)[br]안동시 제3선거구 (중구동, 명륜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김대일(정치인)|김대일]] (재선)]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형동]][br]{{{#!wiki style="font-size: 12px" ([[안동시·예천군|안동·예천]] / 초선)}}} || ||<|3> '''상징''' || '''시화''' ||<-2> [[매화]] || || '''시목''' ||<-2> [[은행나무]] || || '''시조''' ||<-2> [[까치]]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54-820~4, 84X, 85X, 880[* [[경북도청]]에서 사용한다.], 900~902''' || ||<-4> [[https://www.andong.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facebook.com/HappyANDO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ndongcityhall, 크기=23)] | [[https://www.instagram.com/makadando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pinterest.com/acityhall|[[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width=23]]]] | [[https://blog.naver.com/andongcity00|[[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youtube.com/channel/UCbdBIZiwlOl8lkvkrEaHGN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의 [[시(행정구역)|시]]. [[경상북도청]]의 소재지다. [[일제강점기]]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성지'''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성지이자 발상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9689892|'독립운동 성지' 안동에 독립운동사적 안내 동판 설치]] 이 때문에 안동시 임하면에는 경북지역 독립운동사를 연구하고 그것을 기념, 전시하는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이 있다.] 옛 이름은 고타야(신라 시대), 고창(古昌, 신라 [[경덕왕]] 때 고타야에서 개칭), 영가(永嘉, 신라 후기~고려 초기), 길주(吉州, 고려 중기), 복주(福州, 고려 말) 등이 있다. 북쪽의 [[영주시]]와 [[봉화군]], 남쪽의 [[의성군]], 동쪽의 [[영양군]]과 [[청송군]], 서쪽의 [[예천군]]을 위시한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행정, 교육, 교통, 서비스업 중심지다. 분류 방식에 따라서 안동에서 멀지 않은 [[상주시]], [[문경시]], [[영덕군]]이 북부에 포함되기도 한다. 면적(1,522.21km²)이 매우 넓은데, 전국의 시([[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포함) 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으며, 군까지 포함하면 전국 3위에 해당한다. 1위와 2위가 [[강원도]] [[홍천군]], [[인제군]]이니 경북 내에선 면적 1위에 해당한다. [[대전광역시|대전]], [[광주광역시|광주]]의 약 3배.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군위군 대구 편입]] 시행으로 가장 넓은 면적의 광역시가 된 [[대구광역시|대구]](1,499.51km²)와 비슷하다.[* 참고로 북한의 행정구역 변화를 인정하는 경우에는 [[단천시]]가 가장 넓은 시가 되고, 만약 [[이북 5도]] 행정구역을 따르되 북한의 시 승격만을 인정한다고 하면 [[강계시]]가 가장 넓은 시가 된다. 이북 5도 체계에 따르면 이북지역에 존재하는 시는 모두 도농분리시라서 안동보다 넓은 곳은 없다. 다만 단천시의 경우 인구가 많아 시 승격 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아서 통일 후에도 시 지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기에 통일 후에 안동시는 가장 넓은 시 지위를 단천시에 빼앗길 수도 있다.] 전통 문화가 매우 번성했던 곳인 만큼, 오늘날에도 전통 문화의 향수와 영향이 많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에는 [[경주시]]와 함께 [[경상도|영남]] [[남인]]의 구심 도시로 이름을 떨쳤다. [[진성 이씨]]를 포함해 [[경상도|영남지방]]의 포(布)인 영포 가운데 으뜸이라는 안동포[*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22호로 등록되었으나 [[https://m.news1.kr/articles/?780689|2012년 8월 9일 등록자인 "안동포생산자영농조합'의 해산과 동시에 취소]]되었다.]부터 오늘날까지 명문 양반가들의 종가가 많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유교문화, 불교문화, 민속문화 모두 번성했던 도시이며 이런 도시 특성에 맞춰 도시 슬로건도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 더러 타 지역의 영문 슬로건과 비교해서 이 슬로건을 촌스럽게 여기는 안동사람들도 있으며, 영문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2010년]]에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고 국가브랜드 대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그리고 [[2011년]]부터 [[지방자치단체]]들도 한국어 브랜드를 다는 곳이 늘고 있다.[* "사람이 아름다운 [[강동구|강동]]", "앞서가는 [[송파구|송파]], 당신을 담습니다", "사람이 반갑습니다. [[수원]]" 등. 하지만 요즘 안동시에서는 '''행복안동''' 브랜드를 더 밀고 있다. 사실 안동에서의 한국어 슬로건이 까이는 이유는 일부 사대주의자들의 영문 우선주의와 타 도시의 영문 슬로건을 부러워하는 경우도 있지만, 통일된 BI(Brand Identity)가 없는 것도 한 몫 했다. 당장 슬로건 사용만 봐도 중구난방으로 쓰인다. 이 부분은 안동시 당국에서도 고민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일부 [[개독교|극단적인 개신교인]]들에게도 '한국정신문화의 수도 안동' 슬로건은 눈엣가시와 같은 존재인데, 바로 여기에서 말하는 '정신문화'가 그들 기준으로는 우상숭배, 미신과도 같은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유교, 전통문화적 색채를 띠는 안동시의 각종 사업이나 행사(대표적으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등에 대해 우상숭배, 미신이라고 주장하며 부정적 의견을 피력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안동시는 유교적인 문화도 강하지만 [[개신교]]와 [[가톨릭]]이 더욱 강세인 지역이다. [[한국]]의 [[경상도]] 지역은 [[불교]]가 기독교보다 강세인데 안동시는 경상도에서 특이하게 시민의 50% 이상이 개신교 또는 가톨릭을 믿고 있다. 가톨릭이 개신교보다 우위인 몇 안 되는 한국 도시이다.] 2021년 10월에 새로운 관광브랜드를 발표했다. '''"Smile Forever Andong"'''이라는 슬로건으로, 관광분야에서는 "한국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을 대체해서 쓰일 것으로 보인다.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11004010000352|링크]] 현재는 관광분야 뿐 아니라 시정홍보 전반에서 "한국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을 대체해서 쓰이는 실정이다.[* 그동안 안동에서 이렇게 가볍게 쓸 슬로건, 도시브랜드가 없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마침 등장한 이 브랜드는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에게 가려운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역할을 해 주었다.] == 역사 == ||<-10> '''안동시 행정구역 변천사''' || || 경상북도 안동군[br](安東郡, 1895)[br]경상북도 예안군[br](禮安郡, 1895) ||<|2> → || 안동군[br](1914) || → || 안동시[br](1963)[br]안동군[br](1963) ||<|2> → || '''안동시[br](199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동시/역사)] 후삼국 시절 때 삼국 통일에 큰 기여를 한 지역으로서, 고려 시절에 중상급 행정구역인 부(府)로 지정되면서 역사에 이름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조선시대에도 [[도호부]] 지위를 유지하면서 수많은 위인들을 배출했다. 또한 독립운동사에서도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을 배출하는 등 우리나라의 조선시대 및 근현대사에서 그 위상이 확고하다. == 지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북도 안동시, 너비=800, 높이=600)]}}}|| === 자연지리 === 지형적으로 [[분지]] 지형이다. 이른바 안동 분지. [[한국지리]] 교과서에도 가끔 언급되지만 분지 도시의 [[본좌]]인 [[대구광역시]]의 아성을 뛰어넘을 정도는 아니다. 다만 대구처럼 비도 적고, 눈도 적지만 내륙지역에 열섬이 나타나지 않을 만큼 소도시다 보니 여름에는 열대야가 적고 서늘한 편이다. 그러나 경북 북부지역에 폭설이 내려올 경우 여지없이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이기도 하다. 낙동강이 북쪽으로부터 시가지 중심부를 관통하여 서쪽으로 꺾이며 빠져나가며 주요 지천인 반변천과 시내에서 만난다. 대신에 다른 악조건이 있는데 [[낙동강]] 본류에 건설된 [[안동댐]]과 지천인 [[반변천]]에 건설된 [[임하댐]]으로 인해 안개 일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도시가 되었다.[* 이 때문에 [[2009년]], [[다음 로드뷰]] 차량이 안동 도심 촬영을 위해 안동을 방문했을 때 자욱한 안개 때문에 그날 안동 촬영분이 싹 다 망했다. 대규모 댐이 조성된 [[춘천시]]나 [[충주시]]도 비슷하다.] 평균기온도 한반도 같은 위도 대비 상당히 낮아서 겨울에는 위도상으로는 북쪽인 [[서울특별시]], [[경기도|경기 남부]]와 비슷하다. [[온대 하우 기후]]의 북방한계선. 안동보다 추운 곳은 [[경기도 분할|경기 북부]], 충북 북부, [[강원도]] [[영서]] 지방, 타 경북 북부 내륙[* 안동시가 경북 북부 내륙 중에는 따뜻한 편이다.] 정도밖에는 없다. 시가지 북부는 수풀이 덮인 구릉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릉의 밀도가 꽤 높은 편이다. 위성지도로 보면 완전 자글자글하다. 이웃동네 예천 - 영주 - 봉화에 걸친 지역에도 똑같이 자글자글한 지형이 분포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B%8F%99%EC%8B%9C#%EC%A7%80%EC%A7%88|지질 구조]]가 복잡하다. ==== 강의 도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강변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용대.png|width=100%]]}}} || || '''안동을 가로지르는 낙동강''' || '''부용대'''[*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alfyoun&logNo=221103097031|출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낙동가람 경관초화단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월영교 야경2.jpg|width=100%]]}}} || || '''낙동가람 경관초화단지''' || '''[[월영교|{{{#fff 월영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댐.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선비순례길.png|width=100%]]}}} || || '''[[안동댐|{{{#fff 안동댐}}}]]''' || '''선성수상길(선비순례길)'''[* [[https://brunch.co.kr/@sunnyk21/64|출처]]] || 안동에는 서울의 한강처럼 낙동강이 도심 한복판을 가로질러 흐른다. 그래서 안동은 수변도시, 수향(水鄕)을 지향하며 시민들과 안동을 찾는 관광객들을 위한 공원, 쉼터로 조성하고 있다. === 도시구조 === 전술했듯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3위, 시단위 이상 지자체 중 전국 1위의 면적을 자랑할 정도이지만 인구는 15만대로 넓은 땅에 비해서는 인구가 적은 편이다. 그러나 경북 북부 지역에서는 그나마 도회지의 모습을 갖춘 곳이다. 경북 북부에서 안동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영주시]]도 안동보다 인구가 5만이나 적다.[* [[https://sgis.kostat.go.kr/view/urban/main|도시화 분석 지도]]에서도 경북 북부에서 도시로 분류되는 곳은 안동시내와 영주시내뿐이다.] 인구유입이 많지 않은 지역이 다 마찬가지지만 [[토박이]]의 비율이 매우 높다. 전체 인구의 약 70~75% 정도가 3대 이상 대대로 살아온 토박이이다. 안동 권씨, 신 안동 김씨, 인동 장씨 등이 상당히 많이 거주하며, 당연히 종친회 행사도 활발한 편이다. 그 외에도 의성이나 영양, 청송 등의 경북 북부 출신들이 대부분이다. 도청신도시 때문에 드물게 대구에서 이사를 오는 사람들도 보이긴 한다. 도시 인구의 70%를 상회하는 12만 여 명 이상이 시내에 살고 있다. 그러니까 시 중간쯤에 위치한 시청을 기준으로 반경 5km 이내에 모여 산다. 이는 지형 때문인데 시가지를 구성하는 수변지역을 빠져나오면 바로 산지가 펼쳐지기 때문이다. 시내 도로는 정비가 잘 되어 있어 길을 헤메거나 할 염려는 없지만 인구도 많지 않은 중소도시임에도 시내 주요도로의 교통체증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도심을 관통하는 구 [[34번 국도]](송현동 안동터미널 ~ 송천동 안동대학교)와 옥동, [[안동터미널]] 부근의 교통체증이 심각하다.(물론 광역시는 커녕 50만 이상의 대도시의 교통체증과는 비교할 수 없고, 출퇴근 시간같은 특정시간대도 신호 한 두번 더 걸리는 것 뿐이지 그 외의 시간에는 막히는 경우가 없다) 1980년대 초만 해도 시가지는 도농통합 이전 안동시 면적의 20% 남짓 밖에 차지하지 않을 정도로 규모가 매우 작았다. 이는 현재진행형인 지형 문제로 인한 시가지 밀집 현상 때문인데, 1990년대 이후 안동이 택지개발에 돌입하기 전까진 안동 시가지는 강북에 국한되어 있었다. 일단 낙동강을 건너는 교량이 안동교, 법흥교밖에 없었으며,[* 교통체증 해소를 위해 1986년에 안동대교, 1998년에 영호대교, 2008년에 영가대교, 2017년에 낙천교가 추가로 건설되면서 현재는 총 6곳의 교량이 존재한다.] [[1990년]]을 시작으로 [[1995년]], [[1998년]]까지 옥동과 송현동을 포함한 구역의 개발이 진행되기 전에는 그 구역 전체가 울퉁불퉁한 언덕과 산 혹은 밭이었다. 그래서 도시를 거닐다 보면 꽤나 이질적인 광경이 연출된다. 특히 송현1주공아파트 단지 뒷편에는 당시의 기술력 한계로 인한 것인지 덜 깎인 구릉지 언덕이 존재하는데, 이 곳에 올라가 보면, 밭과 구도심, 옥동 신도심을 모두 볼 수 있어 묘하다. 소수의 지역 주민들(대부분 노인들)이 야간에 간간히 자신의 밭을 점검할 겸 겸사겸사 마실 삼아 야경 구경을 하러 이 언덕을 올라가기도 한다. 근데 언덕으로 올라가는 길이 모호해서 어디가 길인지 정확히 알 수 없는 것이 흠. 중심가에 위치한 중구동, 서구동 일대가 오래 전부터 안동시내 역할을 하였으며 주요 관공서 및 전통시장과 상점이 다수 밀집하여 있다. [[중앙선]] 이설하기 전의 [[안동역]]도 중구동에 있었으며 읍면 지역으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 대다수도 안동역전이나 바로 근처의 안동초등학교를 기종점으로 삼고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용상동(낙동강 동쪽), 정하동(낙동강 남쪽), 옥동(시내 서쪽)이 주거지, 상업지로 개발되면서 시내(구 도심)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특히 옥동은 시내 다음으로 번화한 시가지로 발전하여 이마트가 시내 대신 옥동에 개설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안동의 중심지는 시내 지역이고 홈플러스가 개점하면서 옥동에 빼앗기고 있던 활력이 다소 돌아오고 있다. 특히 구시장, 신시장의 존재는 무시할 수 없다. 신시장이 열리는 장날이 되면 확실히 사람들이 많이 움직이기도 하고, 구시장에 있는 찜닭 골목은 명실상부 안동의 먹거리 중심지. 또한 시내에도 아직까지는 점포들이 활발히 운영되고 안동 내에서는 유명한 오락실, 노래방 등이 자리하고 있어서 쉽게 중심지 자리를 내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내와 옥동은 수요층이 갈리기도 한다. 시내는 주로 낮 시간대에 사람들이 많이 보이며, 주로 쇼핑, 식사, 데이트 등의 주로 낮에 이루어지는 행위들이 소비되는 곳이다. 또한 오락실, PC방, 미용실, 프랜차이즈 등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10~20대의 젊은 층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과거에는 술집들도 많이 형성되어 있어서 명실상부 '번화가'라는 위상을 갖고 있었으나 현재는 밤문화 수요를 옥동에 거의 빼앗겨 술집들도 상당수가 폐업을 하거나 옥동으로 이전을 한 경우가 많다.] 반면에 옥동은 아파트단지들과 유흥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낮에는 비교적 한산한 편이지만 밤이 되면 사람들이 모여들게 된다. 이렇듯 안동시내와 [[옥동(안동)|옥동]]의 수요 시간대가 정반대인데 옥동이 발전한 이유는 아파트 단지가 대규모로 들어서면서 단지 주변을 위시한 상권 형성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실제로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옥동지역에 아파트 단지는 많이 없었으며 대부분이 언덕이나 산이었다.1995년부터 태화,옥동 택지개발이 시작되면서 산과 언덕을 깎고 도로가 들어서 상가들이 들어서게 되면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아직도 옥동 북쪽 구역엔 당시 존재했던 구릉 지대의 흔적이 남아 있다.[* 옥동으로 이전한 도원교회 뒷편엔 관청골, 미륵당이 있는데 뭔가 도심속의 시골처럼 이질적인 풍경이 펼쳐져 있다. 이는 신도시 개발 이전의 옥동이 사실상 깡촌이었다는 반증이다.] 시가지만 빠져나가면 완전한 농촌 풍경이 펼쳐지므로 별을 관찰하기 매우 쉽다. 특히 길안면, 임동면, 임하면 같은 동남부 지역이나 도산면, 예안면, 녹전면 같은 동북부 외곽 지역은 인구가 상당히 적고 산지가 대다수이며 밤에 가로등도 켜지 않는 경우가 많아 별 관찰에 대단히 유리하다. 대도시에선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2008년 6월 8일에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산격동에 있던 [[경상북도청]]의 이전지로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이 선정되어 2016년 2월에 이전하였다. 도청 본관과 도의회, [[경상북도교육청]], [[경북지방경찰청]] 등 주요 기관의 행정구역상 주소는 안동시 풍천면이다. 이 덕에 경상북도청이 이전하는 신도시가 본격 조성되면 1차로 안동의 지역발전에 유리한 점은 생기지만, 경상북도청이 있는 신도시가 신규아파트 조성으로 주변 인구도 흡수하며 규모가 커지면서 기존 안동 시내권이 다소 침체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안동시내는 도청 이전 이후 빈 상점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의 송현이안아파트 남쪽 대로 건너에는 '성좌원'이라는 나병 환자촌이 있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있었는데, 현재는 대부분 헐려서 밭이 되었고 당시에 존재하던 축사나 주택 극소수만이 남아있다. === 공공기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상북도청신도시)]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에 도청신도시가 들어섰다. 양쪽 경계에 있기 때문에 사실상 도청을 포함한 공공기관들은 안동시에, 주거 및 상업지구는 예천군에 있다. 경상북도청신도시가 들어서기 전부터 안동은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중심도시이기 때문에 인근 지역에는 없는 국가기관이나 공공단체가 많이 있다. 하지만 본청 수준은 아니며, 대부분 대구에 본청이 있고 안동에 그것들의 지청, 지원, 출장소 등등의 형태로 있는 경우가 많다. 안동시청 등 안동시에 필수적인 기관들을 제외한 주요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 [[안동경찰서]], [[안동소방서]] 등 안동에 당연히 있어야 할 공공기관은 제외. * 경상북도 산하 * [[경상북도청]] (풍천면) * [[경상북도교육청]] (풍천면) * [[경북소방본부]] (풍천면) * [[한국국학진흥원]] (도산면)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임하면) * [[경상북도경찰청]] 산하 * [[경상북도경찰청]] 본청(풍천면) * [[경상북도교육청]] 산하 * 경상북도교육청연구원 (강남동) * 기획재정부 산하 * [[대구지방국세청]] 안동세무서 (중구동) * [[동북지방통계청]] 안동출장소 (용상동) * 교육부 산하 * [[안동대학교]] (용상동) * [[대구교육대학교]] 안동부설초등학교 (서구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구경북지역대학 안동시학습관 (강남동) * 법무부 산하 * [[대구지방검찰청 안동지청]] (강남동) * [[대구지방교정청]] [[안동교도소]] (풍산읍) * 대구보호관찰소 안동지소 (강남동) * 국가보훈처 산하 *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 [[산림청]] 남부지방산림청 (옥동) * [[국립종자원]] 경북지원 (풍산읍) * [[산림청]] [[산림항공관리본부]] 안동산림항공관리소 (강남동) * 고용노동부 산하 *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안동지청]] (태화동) * 중소기업청 산하 * 대구지방중소기업청 안동소상공인지원센터 (중구동) * 기상청 산하 * 대구지방기상청 안동기상대 (평화동) * [[대구고등법원]] 산하 *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원 (강남동) * [[대구가정법원]] 안동지원 (강남동) * 공기업 및 공단 산하 * 한국전력공사 경북본부 (강남동) * 국민연금공단 안동지사 (옥동) * 근로복지공단 안동지사 (태화동) * 국민건강보험공단 안동지사 (용상동) * 한국산업인력공단 경북지사 (서후면) * 대한법률구조공단 안동출장소 (강남동) * 도로교통공단 경상북도지부 (강남동) * 한국수자원공사 안동권관리단 (용상동) * 한국농어촌공사 안동지사 (송하동) * 한국가스안전공사 경북북부지사 (강남동) * 한국전기안전공사 경북북부지사 (남선면) * 한국농어촌공사 안동지사 (송하동) * 한국국토정보공사 안동지사 (안기동) * 한국부동산원 안동지사 (당북동) * 언론기관 * [[KBS안동방송국]] (평화동) * [[안동문화방송]] (안동MBC) (태화동) * [[TBC]] 경북본부 (송현동) * [[LG헬로비전]] 영남방송 (안막동) * [[매일신문|매일신문사]] 경북본사 (용상동) * [[영남일보|영남일보사]] 경북본사 (풍천면) * 경북일보 북부본부 (풍천면) * [[대구일보|대구일보사]] 경북지사 (풍천면) * [[대구신문|대구신문사]] 경북본사 (당북동) * 세명일보 (안기동) * 기타 기관 * 농협중앙회 경북지역본부(풍천면) * [[SGI서울보증]] 안동지점 (당북동) === [[예천군]]과의 통합 문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Andong-Yeahcheon.png|width=100%]]}}}|| || '''{{{#fff 안동시와 [[예천군|{{{#fff 예천군}}}]]이 통합된 지도}}}''' || [[행정구역 개편/대구경북#안동시-예천군 통합|해당 문서]] 참조. [[경상북도청신도시]]가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에 걸쳐서 조성되면서 안동시와 통합이 거론되고 있지만 성사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유는 면적은 지나치게 비대해지는 데 반해 그걸 상쇄할 만한 인구는 너무 부족하다. 안동 하나만 해도 면적이 1,522.21㎢로 전국 시 단위 면적 1위라는 어마어마한 크기인데 예천의 면적도 661.56㎢로 결코 작은 수준이 아니다. 이 둘을 통합하면 2,183.77㎢라는 거대한 지자체가 탄생한다. 현재 기초자치단체 면적 1위인 [[홍천군]]도 지나치게 넓은 면적 때문에 행정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는 판에 통합된 안동+예천은 [[경상북도청신도시]] 주민들은 몰라도 그 외의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불편함을 겪게 될 지는 불 보듯 뻔한 일이다. 그렇다고 분구가 가능한 것도 아니다. 안동+예천의 인구를 합쳐도 21만 정도로 분구 기준인 30만에 한참 미달한다.[* 면적 기준은 안동시 만으로도 이미 1,000㎢ 이상의 조건을 달성했다.] === 인구 === ||
'''{{{#000 경상북도 안동시}}}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21.18%, #ed1c23 0%, #ed1c23 87.34%, #888 0%)" {{{#fff 1966년 262,008명 {{{-2 (안동시 63,534명 + 안동군 198,4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25.42%, #ed1c23 0%, #ed1c23 85.42%, #888 0%)" {{{#fff 1970년 256,263명 {{{-2 (안동시 76,272명 + 안동군 179,9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31.75%, #ed1c23 0%, #ed1c23 89.11%, #888 0%)" {{{#fff 1975년 267,316명 {{{-2 (안동시 95,243명 + 안동군 172,0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33.94%, #ed1c23 0%, #ed1c23 79.16%, #888 0%)" {{{#fff 1980년 237,484명 {{{-2 (안동시 101,829명 + 안동군 135,655명)}}}}}}}}} || || [[1983년]] [[2월 15일]] [br] [[안동군]] [[와룡면]] 서지리 일부, [[남후면]] 수상·수하리, [[남선면]] 정상·정하리, [[임하면]] 송천·석동리 → '''안동시'''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38.05%, #ed1c23 0%, #ed1c23 73.1%, #888 0%)" {{{#fff 1985년 221,422명 {{{-2 (안동시 114,157명 + 안동군 107,2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38.97%, #ed1c23 0%, #ed1c23 65.73%, #888 0%)" {{{#fff 1990년 197,188명 {{{-2 (안동시 116,921명 + 안동군 80,267명)}}}}}}}}} || || [[1995년]] [[1월 1일]] '''안동시''' + 안동군 → '''안동시'''로 통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64.17%,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92,52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61.3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83,9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57.1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71,3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55.64%,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67,8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56.40%,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69,2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52.9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58,9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b 51.0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1월 153,121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87.432%, #888 0%, #888 100%, #AAA 0%)" {{{#fff 용상동 21,8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83.512%, #888 0%, #888 100%, #AAA 0%)" {{{#fff 옥동 20,8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63.02%, #888 0%, #888 100%, #AAA 0%)" {{{#fff 송하동 15,7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50.068%, #888 0%, #888 100%, #AAA 0%)" {{{#fff 태화동 12,5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42.312%, #888 0%, #888 100%, #AAA 0%)" {{{#fff 강남동 10,5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34.276%, #888 0%, #888 100%, #AAA 0%)" {{{#fff 서구동 8,5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28.728%, #888 0%, #888 100%, #AAA 0%)" {{{#fff 풍천면 7,1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24.88%, #888 0%, #888 100%, #AAA 0%)" {{{#fff 풍산읍 6,22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24.3%, #888 0%, #888 100%, #AAA 0%)" {{{#fff 안기동 6,0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24.24%, #888 0%, #888 100%, #AAA 0%)" {{{#fff 평화동 6,0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19.6%, #888 0%, #888 100%, #AAA 0%)" {{{#fff 중구동 4,9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19.348%, #888 0%, #888 100%, #AAA 0%)" {{{#fff 명륜동 4,8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15.696%, #888 0%, #888 100%, #AAA 0%)" {{{#fff 와룡면 3,9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14.06%, #888 0%, #888 100%, #AAA 0%)" {{{#fff 서후면 3,5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11.304%, #888 0%, #888 100%, #AAA 0%)" {{{#fff 북후면 2,82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10.756%, #888 0%, #888 100%, #AAA 0%)" {{{#fff 임하면 2,6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10.564%, #888 0%, #888 100%, #AAA 0%)" {{{#fff 길안면 2,6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10.216%, #888 0%, #888 100%, #AAA 0%)" {{{#fff 일직면 2,5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8.128%, #888 0%, #888 100%, #AAA 0%)" {{{#fff 남선면 2,0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7.012%, #888 0%, #888 100%, #AAA 0%)" {{{#fff 예안면 1,7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6.676%, #888 0%, #888 100%, #AAA 0%)" {{{#fff 임동면 1,6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6.664%, #888 0%, #888 100%, #AAA 0%)" {{{#fff 녹전면 1,6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6.66%, #888 0%, #888 100%, #AAA 0%)" {{{#fff 남후면 1,6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46b7 5.936%, #888 0%, #888 100%, #AAA 0%)" {{{#fff 도산면 1,484명}}}}}} || || {{{-2 2023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 고려시대부터 부(府)로 지정되었을 정도로 도시 역사는 길기 때문에 꽤나 이른 시기(1963년)에 시 승격이 이루어졌다.[* 이 시절 경북에서 시였던 곳은 안동 이외에는 [[대구시]], [[포항시]], [[김천시]], [[경주시]] 뿐이었다.] 그러나 1960~90년대에 경부축과 경인축을 중심으로 개발정책이 이어 오면서 경부축에서 빗겨나가는 안동시를 비롯한 경북 북부는 발전이 정체되었고 인구가 대대적으로 유출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다가 경상북도청이 안동·예천으로 이전하는 것이 확정되고 2016년 2월 경상북도청이 들어오게 되면서[* 한때 [[http://www.andongnews.net/coding/news3.aspx/19/11/262|혁신도시]]도 노렸지만 이건 김천이 유치하였다. 이때 안동을 위시한 경북 북부권 지역에서 박탈감이 엄청나게 심했는데, 혁신도시의 경북 북부권 유치가 무산되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030818|분도론, 행정 불복종]]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물론 도청이 안동·예천 일대로 이전하는 것으로 결정되자 이러한 일들은 모두 없던 일이 되었다.] 침체된 지역에 다시 물꼬를 틀어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인구 감소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게 안동이 도청을 받은 시기는 고도성장기가 흘러간 옛날이 된 21세기이다. 고도성장기에 도청을 이전받았던 [[수원시]]와 [[창원시]]가 대도시로 성장한 데 비해 21세기에 도청이 이전된 [[남악신도시]], [[내포신도시]], [[경상북도청신도시]]는 모두 목표 인구에 크게 미달한 상태이다. 특히 경상북도청신도시는 인구 10만을 목표로 삼고 만들었지만 조성된 지 8년이 지난 2023년에도 고작 2만 2천여명에 불과할 정도로 심각하다.[[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957922|#]] 아무리 주거지역이 대부분 [[예천군]] [[호명면]]에 조성된 점을 감안한다 쳐도 그 예천군조차 인구수를 고작 1만 명 정도밖에 늘리지 못했다.[* 예천군 호명면은 2022년 7월부로 읍 승격 기준인 2만 명을 돌파하여 읍 승격을 추진 중이지만 예천군 나머지 지역은 감소 추세이고 [[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823228|예천군 12개 읍면 중 10개 면이 소멸 고위험 지역이다.]]] 이제 관건은 [[SK바이오사이언스]] 등 제약/바이오란 [[고부가가치 산업]] 도입으로 인한 유입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다. 실제로 충청도의 [[천안시|천안]], [[아산시|아산]], [[청주시|청주]]와 경상도의 [[구미시|구미]]가 이렇게 해서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도 사실상 도청이랑 붙어서 들어오는 셈이라 대부분 안동시내에 거주하지 않고 [[경상북도청신도시]]에 거주중이다. 때문에 [[SK바이오사이언스]]가 확장을 해도 인구는 예천으로 유입된다.] == [[안동시/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동시/교통)] 남북 방향 축으로 [[중앙선]]과 [[중앙고속도로]], [[5번 국도]], [[35번 국도]]가, 동서 방향 축으로 [[서산영덕고속도로]]와 [[34번 국도]]가 있다. 서울 [[청량리역]]에서 KTX-이음 열차로 [[안동역]]까지 이동할 수 있다. == 경제 == === 산업 === [[경상북도]]에서는 나름 상위권이다. 과거 [[일제강점기]] 때까지만 해도 잘 나가던 도시였고 경상북도에서도 인지도가 매우 높은 도시 중 하나였지만,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안동은 점점 쇠퇴해가기 시작한다. 그래도 도청신도시가 생겼지만 신도시만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시기는 이미 지났기 때문에 이것만 가지고는 눈에 띄는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기껏 가족들을 데리고 도청신도시에 자리잡으려 했더니 가족들이 적응 못하고 원래 살던 곳으로 다시 떠나버리는 경우가 늘어나 인구 증가세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http://news.imaeil.com/page/view/2022020612293211531|#]] [[http://mnews.imaeil.com/page/view/2013020611390824504|아예 급을 낮춰가면서까지 본청에서 대구 인근 기초자치단체로 이동하거나]], 대구에서 안동과 가장 가까운 [[대구 칠곡]]에서 거주하며 출퇴근하는 경우도 있다.] 시에서 적극적으로 기업 유치를 추진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큰 성과를 거두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 소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기존 지역산업을 4차산업 혁명형으로 접목, 새롭게 미래를 모색하고자 지역 내 국립대학인 [[안동대학교]]를 중심으로 농식품소재 산업(A), 바이오·백신산업(B), 문화·관광산업(C)에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지능형 로봇 등)의 동력을 접목한 '안동형 ABC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바이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공장 안동L하우스.jpg|width=100%]]}}} || || {{{#000000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공장 안동L하우스'''}}} || 주요 산업시설로는 최근 [[COVID-19]] 백신 생산으로 주목받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 [[SK플라즈마]] 안동공장이 있다. 2011년 경상북도와 [[김광림]] 국회의원의 노력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를 유치하였고 2012년 백신 공장을 준공하였다. 2018년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1,000억원 투자 금액을 투자하여 공장을 증설하였다. 2020년부터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백신생산이 급격히 늘어나고 백신산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산업으로 급부상하였다. 이에 2021년 6월에도 공장 증설 및 채용을 늘리기로 하였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72726901|경북도청 신도시 살린 'SK바사 효과']] 그 외 백신 관련하여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도 위치하고 있다. 2023년 3월 15일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 건설이 확정됐다. ==== [[대마초|대마]] 산업 ==== 안동 일대는 ‘산업용 [[대마초|햄프]](대마초)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어 있다. 여기서 햄프(Hemp)는 산업 용도로 사용되는 특정 종자의 대마를 일컫는 단어로, 그간 국내에서 대마는 마약으로 분류되어 있어 엄격한 관리 아래 허가받은 자에 한해 농업용, 학술연구용 등 일부 분야에서만 허용돼 산업용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데 정부가 안동시에 햄프 규제자유특구를 설치하여 의약품용 대마 재배를 허용하며 국내에서 합법적으로 대마의 대량 재배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해외에서 대마는 이미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희귀 질환 치료제부터 의료품, 미용, 섬유, 건축 자재 등 여러 곳에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대마에 함유된 성분 중 하나인 CBD의 효능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가 알려지면서 그 활용도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CBD에서 추출한 기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일부 국가에서는 건강기능식품, 음료,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산업용 햄프 특구는 마약류관리법에서 금지하고 있던 대마를 재배하고 의약품 원료가 되는 CBD[* 카나비돌(cannabidiol) : 대마초에 함유된 신경계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대마의 영문 이명인 [[카나비스]]에서 비롯된 명칭.]를 추출, 의료용 목적으로 합법화된 국가에 의약품 원료를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안동을 중심으로 대마 유통 관련 기업들이 모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906122|경북도, 산업용 대마 클러스터 구축 시동]] 2023년 3월 15일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 건설이 확정됐다. ==== 농업 ==== ===== 특산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사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참마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사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참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식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소주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식혜#s-5.1|{{{#000000 안동 식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안동소주|{{{#000000 안동 소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간고등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낫또.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간고등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콩으로 만든 낫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포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한지.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한지'''}}}}}} || 안동[[마(식물)|산약]], 안동[[한우]], 안동[[삼(식물)|포]], 안동[[한지]], 안동[[사과]], 안동 [[고등어#s-5.3|간 고등어]], 안동[[찜닭]], 안동[[콩]], [[안동소주]] 등 8개 품목이 [[지리적 표시제]]로 등록되어 있다. === 상권 === 안동의 주된 상권은 신한은행 안동지점과 안동초등학교, 구시장 주변의 시내 상권과 옥동사거리 부근의 옥동 상권으로 양분된다. ==== 재래시장 ==== 안동장날은 2, 7일이다. 구시장과 신시장에 장이 서며 안동의 읍면지역을 비롯하여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주민과 상인들이 시장으로 나온다. * 구시장 (서부동)[*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안동찜닭]] 골목은 이곳에 있다.] * 중앙신시장 (옥야동)[* 여러 가지 물건을 파는 시장 그 자체로서의 기능은 구시장보다 중앙신시장 쪽이 더 충실한 편이다. 안쪽에 들어가다 보면 생선가게 골목이 있는데 그곳에서 [[문어]]전문점들이 많다. 이 문어전문점에서는 살아있는 큰 문어를 가마솥에 통째로 삶아 삶아진 문어 다리를 통째로 숭덩숭덩 잘라내는 모습을 보면 그야말로 호쾌하다.] * 용상시장 (용상동) * 풍산시장 (풍산읍 하리리) * 서부시장 (태화동) * 구담시장 (풍천면 구담리) * 길안시장 (길안면 천지리) * 옹천시장 (북후면 옹천리) ==== 대형할인점 및 프랜차이즈 ==== * [[이마트 안동점]] (옥동) * [[홈플러스 안동점]] (운흥동)[* 구 [[안동터미널]]이 위치했던 곳이다.] * 안동농협 파머스마켓 (당북동) * 안동농협 하나로마트 강남점 (정하동) * 안동봉화축협 하나로마트 송하지점 (송현동) * 홈마트 용상점 (용상동) * 홈마트 자이점 (당북동) * 홈마트 운안점 (운안동) * 홈마트 안막점 (안막동) * [[노브랜드]] 안동구시장점 (서부동) * [[노브랜드]] 안동옥동점 (옥동) [[맥도날드]], [[KFC]]는 원래 있었지만 모두 폐점하였다.[* 2003년에 폐점하면서 철수하였는데 아무래도 판매부진이 원인이었다] 대신에 2014년 2월 시내 문화의 거리에 [[버거킹]]이 입점했다. 2017년 옥동에 1개 매장, 2018년 풍천면 갈전리 도청 인근에 1개 매장이 더 생겨 현재 버거킹 매장은 총 3개이다.[* 안동에 문을 연 버거킹은 [[강원도]] [[홍천군]] 대명비발디, 대명오션월드 리조트에 있는 점포와 지금은 없어진 [[평창군]] 용평리조트점을 제외하면 배후 도시인구가 가장 적은 곳이었지만 [[상주시]]에도 버거킹이 개점하였다.] [[롯데리아]]는 6개나 있다.[* 롯데리아는 시내, 옥동, 안동터미널, 용상동, 정하동, 경북도청신도시(풍천면)에 하나씩 있다. 오래 전부터 시내에 있었던 롯데리아가 2018년 1월 폐점했다가 중앙치안센터 건너편에 새로운 매장이 들어섰다.] [[노브랜드 버거]] 안동중앙점이 문화의거리에 있었던 롯데리아 안동 1호점 자리에 2022년 12월 14일 개점되었다. 2023년 5월 3일에 [[써브웨이]] 안동옥동점이 개점하였다. 2023년 5월 30일에는 [[파파존스]] 안동점이 개점하였고 2023년 10월 30일 [[노브랜드 버거]] 안동옥동점도 오픈되었다. 그리고 롯데캐슬 맞은편에 있던 GS주유소가 철거되고 그곳에 현재 맥도날드 안동옥동점이 들어설 예정이다.[* 개점 시기는 내년 상반기 예정이며 2003년 철수 이후 21년 만에 다시 재오픈하게 되는 격이다.] 경북 북부 지역에서 유일하게 수입차 매장이 있다. [[토요타]] 안동전시장이 송현동 안동터미널 바로 옆에 있다. 2013년 7월에 개장했으며, 한국토요타자동차의 19번째 전시장이라고 한다.[* [[렉서스]] 차량 계약도 가능하다고 한다. 다만 A/S는 원주나 대구로 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스타벅스]]는 2014년 9월 말에 옥동사거리 구 서창당 약국 자리에 첫 개점하였다가 2022년 옥동에 있는 LH 경북북부권주거복지지사 근처로 이전하였다.[* 구 국민은행 자리에 개점하였으며 국민은행은 이전하지 않고 옆에 365코너로 축소경영한다.] 2015년 4월 말에는 시내의 구 시청분수대 옆 엔제리너스 자리에 3층 규모로 추가 개점하였으며, 2019년 초에 수상동 [[안동병원]]에 개점하였고, 2020년 2월에는 옥동 이마트에, 2022년 4월에 강변에 처음으로 DT점이 생겼다. 그래서 현재 안동시 관내의 스타벅스는 총 5곳이다.[* DT점이 생기기 전에 [[안동MBC]]에서는 2020년 신입 기자 채용공고 배너에 '''너 그거 아니? 안동에 스벅 4개 있다!'''라는 카피를 내걸기도 했다.] === 금융 === ||<-4> '''{{{#ffffff 안동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 ||<-4> '''{{{#1d1e23 국가기관}}}''' || ||<-4> [[우정사업본부|{{{#ffffff '''안동우체국 (20)'''}}}]] || ||<-4> '''{{{#1d1e23 국책은행}}}''' || ||<-4> [[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1)'''}}}]] || ||<-4> '''{{{#1d1e23 특수은행}}}'''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6)'''}}}]] || ||<-4> '''{{{#1d1e23 시중은행}}}''' || ||<-2> [[신한은행|{{{#ffffff '''신한은행 (5)'''}}}]]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 (1)'''}}}]] || ||<-2>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1)'''}}}]] ||<-2> [[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1)'''}}}]] || ||<-4> '''{{{#1d1e23 지방은행}}}''' || ||<-4> [[대구은행|{{{#9acd32 '''대구은행 (2)'''}}}]]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농협|{{{#fcaf16 '''서안동농협 (6)'''}}}]] || [[농협|{{{#fcaf16 '''동안동농협 (3)'''}}}]] || [[농협|{{{#fcaf16 '''남안동농협 (2)'''}}}]] || [[농협|{{{#fcaf16 '''안동와룡농협 (4)'''}}}]] || || [[농협|{{{#fcaf16 '''북안동농협 (2)'''}}}]] || [[농협|{{{#fcaf16 '''안동농협 (13)'''}}}]] || [[농협|{{{#fcaf16 '''대구경북능금농협 (1)'''}}}]] || [[농협|{{{#fcaf16 '''안동봉화축협 (4)'''}}}]] || ||<-4> '''{{{#ffffff 새마을금고}}}''' || || [[새마을금고|{{{#afeeee '''중앙새마을금고 (2)'''}}}]] || [[새마을금고|{{{#afeeee '''안동새마을금고 (4)'''}}}]] || [[새마을금고|{{{#afeeee '''백암새마을금고 (5)'''}}}]] || [[새마을금고|{{{#afeeee '''용상새마을금고 (3)'''}}}]] || ||<-2> [[새마을금고|{{{#afeeee '''명신새마을금고 (3)'''}}}]] || [[새마을금고|{{{#afeeee '''동남새마을금고 (3)'''}}}]] || [[새마을금고|{{{#afeeee '''경상북도청새마을금고 (1)'''}}}]]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 [[신협|{{{#ffa500 '''안동행복신용협동조합 (4)'''}}}]] || [[신협|{{{#ffa500 '''안동신용협동조합 (1)'''}}}]] || [[신협|{{{#ffa500 '''풍천신용협동조합 (2)'''}}}]] || [[신협|{{{#ffa500 '''안동중앙신용협동조합 (2)'''}}}]] || ||<-2> [[신협|{{{#ffa500 '''안동성소병원신용협동조합 (1)'''}}}]] ||<-2> [[신협|{{{#ffa500 '''경북건축사신용협동조합 (1)'''}}}]] || ||<-4> '''{{{#ffffff 산림조합}}}''' || ||<-4> [[산림조합|{{{#9acd32 '''안동시산림조합 (1)'''}}}]] || * [[신한은행]] 안동지점[* 과거에는 [[조흥은행]] 지점이었다.](안동시청, 안동법원, 안동대학교, 안동병원에 출장소 개설) * [[KB국민은행]] 안동지점 * [[우리은행]] 안동지점 * [[KEB하나은행]] 안동지점 *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 안동지점 * [[NH농협은행]] 경북영업부 * [[NH농협은행]] 안동시지부(안동시청, 경북도청, 경북교육청에 출장소 개설) * [[NH농협은행]] 광석동지점 * [[DGB대구은행]] 안동지점 * [[DGB대구은행]] 경북도청지점 안동시청에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출장소가 있는 이유는 안동시 시금고 은행이 NH농협은행, 신한은행이기 때문이다. [[http://www.ad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966|#]] == [[안동시/문화|관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동시/문화)] [[대한민국]]의 관광명소 중 하나이다. 안동은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릴 정도로 문화관광유산의 보고(寶庫)로 평가받는 곳이다. 그만큼 안동경제에서 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2020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 공모사업인 관광거점도시 육성사업에 선정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봉정사]], [[하회마을]]이 있다. 그리고 [[만휴정]], [[임청각]], 고산정, 이육사문학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한국국학진흥원]] 등 역사적인 배경이 풍부한 지역이다. 낙동강 상류지역으로 도심 한복판을 낙동강이 가로지르는 강(江)의 도시이며 이를 바탕으로 조성된 [[월영교]], 선비순례길(선상순례길)도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유교문화가 발달한 고장이지만, 불교나 서민문화에서 온 관광지도 꽤 있다. 하회마을로 대표되는 한국의 대표적인 관광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경상북도에서는 경주시와 더불어 관광도시로 유명하다. 이 때문에 관광에 의한 소비 유발 효과가 생각보다 크다. [[2021년]]에 접어들어서는 [[청량리역]]에서 [[안동역]]까지 [[KTX-이음]]이 개통됨에 따라서 수도권 관광객들이 이전보다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https://dgmbc.com/article/pHa2ts8nANRJ|중앙선 KTX 효과.. 코로나에도 승객 2배 '껑충']] 그리고 [[안동찜닭]], [[간고등어|안동 간고등어]], [[증류식 소주|안동소주]], 안동 헛제사밥, [[안동건진국수|안동국시]], [[안동식혜]] 등은 전국적으로 알려진 음식이다. 이 밖에도 안동갈비, 안동문어, 조림닭, 묵밥, 냉국수 등과 같은 음식도 유명하며 안동은 볼거리와 먹거리를 모두 갖추고 있다. === 음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찜닭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 헛제사밥.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안동찜닭|{{{#000000 '''안동 찜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헛제사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 간고등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건진국수.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간고등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안동건진국수|{{{#000000 '''건진국수(안동국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식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소주.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식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소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청포도와인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갈비2.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청포도 와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갈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 조림닭.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풍산김치3.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조림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풍산 김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문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동 맘모스제과.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안동 문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맘모스제과|{{{#000000 '''맘모스제과'''}}}]]}}} || [[찜닭]], [[간고등어]], [[안동건진국수|건진국수(안동국시)]], 양반식 상차림(헛제사밥 등) 등이 유명하며, 이외에도 칼국수, 갈비, 국밥, 문어숙회, 돔배기, 소주, 식혜, 닭발편육 등 지역의 색을 갖춘 음식이 많다. 그리고 냉우동(냉국수), 메밀묵밥 등도 별미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 [[안동시/교육|교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동시/교육)] == [[안동시/문화|생활문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동시/문화)] [youtube(R2GeUF_xm1Y)] [youtube(dqkfpKJw348)]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라는 슬로건에서도 볼 수 있듯이 [[유교]] 문화가 발달한 고장이다. 여전히 문중의 세가 강력한 지역이기도 하며, 그래서인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고장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 [[안동시/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동시/정치)] == 군사 == 1955년부터 [[제36보병사단]]이, 1982년부터 [[제70보병사단]]이 송현동에 주둔하고 있었으나 2008년 사단이 해체되고 현재는 [[제50보병사단]] 예하 [[제123보병여단]] 본부 및 1대대, [[제50동원지원단]]이 주둔하고 있으며 예비군훈련도 여기서 받는다. == [[안동시/행정|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동시/행정)] == 기타 == === [[진주시]]와의 공통점 === 안동은 [[경상남도]] [[진주시]]와 비슷한 점이 많다. 서로 자매도시이기도 하다. * 각각 경상북도, 경상남도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안동은 경북 북부, 진주는 경남 서부) 현재까지도 경남과 경북의 종주도시인 부산과 대구에게 어느 정도 독립적인 모습을 보이며, 이 때문에 조선시대부터 행정구역 크기가 엄청나게 넓었고[* 조선시대에는 중심지일수록 주변 고을을 떼어다 붙여서 행정구역이 컸다. 안동과 진주가 이런 대표적인 케이스고 한양(한성)도 성저십리까지 한성부가 관장했고 평양, 상주, 경주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행정구역이 구한말을 거쳐 현재까지도 이어져서 도농복합시의 경우를 제외하고 순수 시 권역 크기가 남한에서 1, 2위를 다툰다. * 강이 시가지를 관통해서 흐른다.(안동은 [[낙동강]]과 [[반변천]], 진주는 [[남강]]) 그리고 강변에 누각이 있다(안동은 영호루, 진주는 촉석루)[* 게다가 영호루, 촉석루 둘 다 옛 모습이 아니라 20세기에 복원한 누각이다.] * 대규모 댐과 이로 인해 만들어진 호수가 있다.(안동은 [[안동댐]]과 [[임하댐]], 진주는 [[남강댐]]) * 도시 규모에 비해서 의료 서비스가 좋은 편이다.(안동에는 [[안동병원]], 안동성소병원, 안동의료원 등, 진주에는 [[경상국립대학교병원]] 등)[* 안동병원과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이자 [[권역외상센터]]이며, 안동성소병원은 지역응급의료센터, 안동의료원은 지역응급의료기관이다.] * 학교와 학생이 많은 [[교육도시]]이다. * 국립 종합대학교가 있다.(안동은 [[안동대학교]], 진주는 [[경상국립대학교]]가 있다.)[* 다만 경상국립대학교는 [[거점국립대학교]]라는 점이 안동대학교와는 다르다.] * [[성리학]]의 본거지였다.(안동은 퇴계 [[이황]] 선생, 진주는 남명 [[조식(조선)|조식]] 선생) * 도청 건물이 있다.(안동은 경상북도청 완전 이전, 진주는 경상남도청 서부청사)[* 경남의 경우, 부울경 3대 도시 중 하나인 창원이 경남의 일반 시이기에 도청 본청사는 창원에 있다.] === 여담 === * [[경상북도청신도시]]가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에 걸쳐 있게 만들어지면서 여타 시ㆍ군 경계에 조성된 신도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천군]]과의 통합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성사 가능성은 매우 낮다. 통합할 경우 면적은 2,000㎢를 넘게 되므로 과도하게 커지는 데 비해,(홍천군과 인제군보다도 커진다). 합친 인구는 30만도 안 되는 상황이므로 신도시 이외 지역에서 통합의 효과를 보기는 매우 어렵다. * [[예안 김씨]]라는 안동시 [[예안면]]을 본관으로 삼는 성씨가 있다. * 안동은 전국에서 권씨 순위가 가장 높은데, 이 지역 상위 3개 성씨는 김이박이 아니라 김이권이다. 물론 이곳에 사는 권씨의 대다수가 안동 권씨이다. * 안동 일대의 사투리는 논어, 맹자 등 옛 경전을 성독하는 데 이상적인 사투리라고 한다. 가장 이상적인 사투리는 의외로 [[평안북도]] [[의주군]] 일대의 사투리([[평안도 사투리]])이고, 안동 일대의 사투리는 그 뒤를 이어 2번째라고 한다. * [[파이낸스 투데이]]와 함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부정선거 음모론]] 및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부정선거 음모론]]을 활발하게 유포하는 [[가짜뉴스]] 공장인 [[안동데일리]]가 본래 안동시의 지역 언론이다. 발행인 조충열의 성향이 강하게 작용해서 이렇게 되었다. == 출신 인물 == === 전근대 인물 === * [[권영세(1885)]] * [[김방경]] * 농암 이현보 * 학봉 [[김성일(조선)|김성일]] * 서애 [[류성룡]][* 다만 태어난 곳은 외가가 있던 [[의성군]]이다.] === [[독립운동가]] === * 석주 [[이상룡]] (독립운동가)[* 고성 이씨 참판공파 종손, 안동 임청각 주인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 일송 [[김동삼]] (독립운동가)[* 만주지방 무장투쟁의 지도자로서 무오독립선언과 민족유일당촉진회를 주도.] * 추강 [[김지섭]] (독립운동가)[* [[일본]] [[도쿄도]]의 [[고쿄]]: 황궁)에 폭탄을 투척했다.] *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 [[권각]] * [[권기일]] * [[권오규(1898)]] * [[권오돈(1900)]] * [[권오설]] (독립운동가)[* [[6.10 만세 운동]] 주도한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 * [[권오직]] * [[권오직(1906)]] * [[권준희]] * [[김두진(독립운동가)|김두진]] * [[김재봉(독립운동가)|김재봉]] (독립운동가)[* [[조선공산당]] 창립주모자였던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 * [[김시현(독립운동가)|김시현]] * [[김용환(1887)|김용환]] * [[김원식(1888)|김원식]] * [[남자현]] * [[류연술]] * [[류인식]] * [[박용식(1902)]] * [[박해옥]] * [[서정인]] * [[유림(독립운동가)]] * [[유봉영(1858)]] * [[이광민]] * [[이승복(1884)]] * [[이승연(1889)]] '''이하 1,000명 이상의 [[독립운동가]]가 있다.''' 독립운동가들의 성지라 불릴 만하다. === [[정치인]] === * [[강감창]] * [[강민창]] * [[강효상]] * [[권광택]] * [[권기익]] * [[권기창]]: 現 안동시장 * [[권기탁]] * [[권노갑]][* 단, 출생지만 안동이고 자란 곳은 목포다.] * [[권대수]] * [[권복인]] * [[권승렬]] * [[권영기]] * [[권영세(1953)|권영세]]: 前 안동시장 * [[권영우]] * [[권영진]]: 前 [[대구광역시장]] * [[권오규(1966)]] * [[권오기]] * [[권오을]]: 前 국회의원 * [[권오종]] * [[권오훈(1916)]] * [[권정달]] * [[권중동]] * [[권태욱]] * [[권태희]] * [[권택기]]: 前 국회의원 * [[김경도(1961)]] * [[김경한]] * [[김광림]]: 前 [[안동시(선거구)|안동시]] 국회의원 * [[김길홍]] * [[김노식]] * [[김능진]] * [[김대일(정치인)]] * [[김대진(1917)]] * [[김도창]] * [[김도현(1943)]] * [[김명년]] * [[김명호(1960)|김명호]] * [[김무연]] * [[김선종]] * [[김성년]] * [[김성락]] * [[김성진(1961)]] * [[김시명]] * [[김영환(1963)]] * [[김웅진(1957)]] * [[김인기(군인)|김인기]] * [[김용구(정치인)]] * [[김용태(1936)|김용태]]: 前 국회의원[* 제11대~14대. 당시 지역구는 중선거구제 대구 동구·북구, 단일선거구 대구 북구였다.], 前 내무부장관, 前 대통령비서실장 * [[김위한]] * [[김의승]] * [[김익기]] * [[김정식(정치인)|김정식]] * [[김형동]]: 제21대 국회의원[* 지역구 : 경상북도 [[안동시·예천군]]] * [[김휘동]]: 前 안동시장 * [[남재두]] * [[류규하]]: 現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청장 * [[류돈우]] * [[류성걸]]: 現 국회의원[* 지역구 : 대구광역시 [[동구 갑]]], 前 기획재정부 제2차관 * [[유종하|류종하]]: 前 외무부장관 * [[류혁인]] * [[박구일]] * [[박은정(교수)|박은정]] * [[박해충]] * [[손광영]] * [[손명희]] * [[송병기]] * [[신광순(1931)|신광순]] * [[신기석]] * [[신현돈(정치인)]] * [[심우영]] * [[안유안]] * [[오경의]] * [[오문섭]] * [[이낙선]] * [[이동명]]: 前 통계청 차장, 한국통계진흥원장 * [[이동혁(1965)]] * [[이삼걸]]: 前 행정안전부 차관,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 [[이상옥(1934)]] * [[이유택]] * [[이용우(공무원)|이용우]]: 前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 [[이의익]]: 前 대구직할시장, [[제15대 국회의원]][* 당시 지역구는 [[대구광역시]] [[북구 갑(대구)|북구 갑]]이었으나 1998년 대구광역시장 출마를 위해 사퇴했다.] * [[이재갑(정치인)]] * [[이재명]]: 前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제21대 국회의원]]([[계양구 을]], 제6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 [[이종주(1935)|이종주]] * [[이용득]]: 정당인, 前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이희범]]: 前 장관 * [[장대진]] * [[정동호(1941)]]: 前 안동시장 * [[정복순]] * [[정현모]] * [[정홍식(1968)]] * [[조명래]] * [[조송래]] * [[조영직]]: [[국민의힘]] 중앙대학생위원장 * [[천강정]] * [[천병규]] * [[허승규]] * [[허용범]] === [[기업인]] === * [[권성문]] * [[권용순]]: 1975년생 기업인, M&A전문가 * [[권태명]]: 前 [[주식회사 SR|SR]] 대표이사 사장, 前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본부장 * [[김경원(1958)|김경원]]: 前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 전자부품연구원장 * [[김종갑(1951)|김종갑]]: 前 [[한국전력공사]] 사장, 前 [[하이닉스반도체]] 대표이사 사장 * [[이인용(1957)|이인용]]: 前 [[MBC]] 앵커, 現 [[삼성전자]] CR담당 사장 === [[연예인]], [[운동선수]] === * [[권소현(배우)|권소현]]: 1987년 * [[김동희(1999)|김동희]]: 1999년 * [[김성진(프로게이머)|김성진]] * [[김체리]] - 개그우먼 * [[김창동]]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박기웅]] * [[박상면(프로게이머)|박상면]][* 배우 [[박상면(배우)|박상면]]이 아니라 LOL프로게이머 박상면이다. [[샤이]]로 검색해도 해당문서에 진입가능. 별명이 안동 불기둥이라고...] * [[박시은]]: (1980년) - 자란 곳은 서울 * [[변형태]] * [[성리]] - [[프로듀스 101 시즌2]] 참가자이자 [[RAINZ]] 출신의 가수 * [[손병호]][* 임하면 출생] * 영기 - 가수, 개그맨. * [[영탁]] - 가수[* 문경에서 태어났으나 학창시절 대부분을 안동에서 보냈다.] * [[유재하]][* 하회마을 출신.] - 고등학교 이후로는 서울 * [[이봉련]] * [[이수나(가수)]] * [[이진봉]] * [[적우]] * [[전민정(가수)]]: [[쇼퀸]] 오디션 안동의 딸 (1998) Z세대 참가자이다. [*62 아쉽게도 4라운드에서 873점으로 13위를 하였다. 1위가 980점 X세대.. ] * [[정운택]][* [[배우]]이며 영화 [[친구(영화)|친구]], [[두사부일체]], [[투사부일체]], [[유감스러운 도시]]에 주연으로 출연.] * [[조갑경]] * [[지승현]] * [[지한재]]: [[사망유희]]에서 4층 합기도 고수 역할로 나온 배우 겸 무술가. * [[차수민]] * [[이진솔]]: 걸그룹 [[APRIL|에이프릴]]의 멤버.[* 다만, 성장은 강원도 [[태백시]]에서 했다.] * [[동헌]]: 보이그룹 [[VERIVERY]]의 멤버 === 시인, 작가 === * [[권여선]] * [[박경철]]: 의사 * [[이동형]][* 팟캐스트 '이박사와 이작가의 이이제이'를 통해 알려진 '이작가', 태어난 곳은 풍산읍이며 초중고등학교를 여기서 보냈다.] * [[이원조]] * [[정운경]] * [[김종길(시인)|김종길]] * [[김윤한]](시인) * [[신일숙]]:(만화가) * [[권정생]][* [[일본]] 출신이지만 1946년에 청송으로 귀환하고 1951년에 안동시 일직면으로 이사갔다. 일직면에는 권정생 동화나라라는 곳이 있다.] === 기타 === * [[강성주(1952)]] * [[권중휘]] * [[권순욱]] * [[권오승]] (법학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역임) * [[권태선]] * [[금창태]] * [[그냥찌]] ([[트위치]] 스트리머) * [[김병하]] (前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 * [[김부섭]] * [[김승현]] (교사) * [[김호길]] ([[포항공과대학교]] 초대 총장, [[연암공과대학교]][*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LG|LG그룹]] 재단의 전문대학이다.] 초대총장) * [[김엽]] * [[김영길(교육자)|김영길]] ([[한동대학교]] 초대 총장, 김호길 포항공과대학교 초대총장의 동생) * [[김종한(공무원)]]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 [[김진섭(공무원)]] * [[김태겸]] (前 강원도 행정부지사) *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 * [[박주경]] (육군 중장) * [[변찬우]] (前 대검찰청 강력부장, 광주지검장) * [[권영규]] (前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 * [[남재철]] * [[박천수]] * [[송문희]] * [[송병일(경찰)|송병일]] (치안감) * [[임지호]]: 요리연구가 * [[정양호]] : 前 [[조달청장]]: 차관급 * [[조대엽]] * 이경준 : 치과의사 * [[이기철(1957)|이기철]]: 외교관, 초대 [[재외동포청장]] * [[이승철(경찰)|이승철]]: 경찰공무원, 前 경찰청 교통국장) * [[이영석(공무원)|이영석]] * [[김상돈]]: 대학교수 * [[오덕식]]: 법조인[* 일선 형사부 부장판사로는 거의 최초로 [[https://www.washingtonpost.com/opinions/2019/11/27/k-pop-stars-death-is-latest-reminder-how-koreas-justice-system-fails-women/|외신에 소개되었다.]]] * [[이동걸(1953)]] * [[이봉걸]] * [[이성동(1979)]] * [[이순창]] * [[이재욱(1963)|이재욱]]: 공무원,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 [[이종근(1969)|이종근]] * [[이준승(법조인)|이준승]] * [[이지나]] * [[장계향]]: [[음식디미방]]의 저자. 학문, 서예, 그림 등으로도 이름이 높았다. * [[장기봉]] * [[조봉환]] * [[신병주]]: [[역사학자]] * [[잇섭]]: IT유튜버 * [[권태호]]: 성악가 * [[엉덩국]]: 웹툰작가 * [[박무택]]: 산악인[* 영화 [[히말라야(영화)|히말라야]]의 실제 주인공] * [[황부기]]: 전 통일부 차관 == 대중문화 == === [[진성(가수)|진성]]의 노래 [[안동역에서]] === [[내 나이가 어때서]]와 비등하게 인기를 끌었던 [[트로트]]. '안동역에서' 노래가 인기를 끌면서 [[안동역]] 앞에 노래비도 세웠으나, 정작 안동역은 구도심에서 외곽으로 이전하였다. 근데 정작 진성은 [[부안군]] 출신이다. --[[화개장터|영호남 화합 노래]]--[* 이런 경우는 생각보다 많다. 트로트 가수야 뭐 회사나 작곡가가 곡 주는 대로 부르는 게 일이기 때문이다. [[롯데 자이언츠]]의 응원가로 유명한 [[부산 갈매기]]도 원곡 가수는 충청도 사람이고, 당장 저 취소선에 적혀 있는 [[화개장터]]의 조영남도 서울 사람이다.] ==== 가사 ==== || 바람에 날려버린 허무한 맹세였나 첫눈이 내리는 날 안동역 앞에서 만나자고 약속한 사람 새벽부터 오는 눈이 무릎까지 덮는데 안 오는건지 못 오는 건지 오지 않는 사람아 안타까운 내 마음만 녹고 녹는다 기적소리 끊어진 밤에 어차피 지워야 할 사랑은 꿈이었나 첫눈이 내리는날 안동역 앞에서 만나자고 약속한 사람 새벽부터 오는 눈이 무릎까지 덮는데 안 오는 건지 못 오는건지 대답없는 사람아 기다리는 내 마음만 녹고 녹는다 밤이 깊은 안동역에서 기다리는 내 마음만 녹고 녹는다 밤이 깊은 안동역에서 || === [[작품에 등장하는 실존 지명/한국|안동시를 배경으로 한]] 기타 창작물 === * 영화 [[그래, 가족]] (2017): [[정만식]], [[이요원]], [[이솜]], [[정준원]] 주연. * 드라마 [[낭랑 18세]] (2004): [[한지혜]], [[이동건]], [[이다해]] 주연. *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1989): 정확히는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봉정사]] 영산암을 배경으로 한다. * 영화 [[부라더(영화)]] (2017): [[마동석]], [[이하늬]], [[이동휘(배우)]] 주연. * 영화 [[불꽃슛 통키]] (1993) * 시집 안동 까치밥나무 (2013): 북랩 출판사. * 영화 왓니껴 (2014): [[심혜진]], [[전노민]], 이주실, [[명계남]] 주연. * TV 애니메이션 [[엄마 까투리(TVA)|엄마 까투리]] (2016) : [[김서영(성우)|김서영]], [[이윤희(성우)|이윤희]], [[김은아(EBS 성우)|김은아]], [[전해리]], [[김현지(성우)|김현지]][* 3기는 [[이지현(성우)|이지현]]로 교체가 되었다.] 주연[* 원작자인 권정생이 안동 출신이다.] * 영화 마이 올드 프렌드 (2016) [* [[AOA]] 출신의 [[서유나]]가 주연으로 나온 영화이다.] * 영화 [[YMCA 야구단]] (2002): [[송강호]], [[김혜수]], [[김주혁]], [[황정민]] 주연. [[하회마을]]에서 촬영하였다. *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지금 우리 학교는]] (2022): [[성희여자고등학교]]에서 촬영하였다. * 애니메이션 [[극장판 엄마 까투리: 도시로 간 까투리 가족]] (2022): [[안동역]][* 구 안동역으로 보인다.] 등, 안동시의 여러 장소가 무대가 되었다. * 애니메이션 [[삐뿌와 수수께끼여행]] (2025): 안동을 배경으로 그려질 예정이다. 그 예시로 PV에 [[하회탈]]이 나왔다. == 자매도시 == === 국내 === * [[서울특별시]] [[송파구]] * [[서울특별시]] [[종로구]] * [[경기도]] [[이천시]] * [[강원도]] [[강릉시]] * [[충청남도]] [[공주시]] * [[전라북도]] [[전주시]] * [[경상남도]] [[진주시]] === 국외 === * [[일본]] [[야마가타현]](山形県) 사가에 시(寒河江市) * [[중국]] [[허난 성]](河南省) 핑딩산 시(平頂山市) * [[미국]] 애리조나 주 [[피닉스(도시)|피닉스]] 시(CUSCO) * [[미국]] [[아이오와]] 주 시더래피즈 시(Cedar Rapids) * [[페루]] 쿠스코 주 [[쿠스코]] 시(CUSCO) * [[중국]] [[산둥성]](山東省) [[지닝]] 시(济宁市) [[취푸]] 시(曲阜市, 곡부)[* [[공자]]의 고향이 바로 이곳이다.] * [[이스라엘]] 홀론 시(Holon) === 해외 우호도시 === * [[그리스]] [[코린토스]] 주 [[코린토스|코린트]] 시(CORINTH) * 일본 [[가나가와현]](神奈川県) [[가마쿠라시]] (鎌倉市)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청사 소재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안동, version=231)] * [[문서 삭제식 이동]]: (안동 → 안동시) [각주] [[분류:안동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