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ders_Chydenius.jpg|width=100%]]}}} || ||<-2> {{{+2 '''안데르스 쉬데니우스'''}}} [br] {{{+2 '''Anders Chydenius'''}}} || || '''{{{#black 국적}}}'''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스웨덴]] || || '''{{{#black 출생}}}''' ||[[1729년]] [[2월 26일]][br][[스웨덴]] 솟카모[* 현 핀란드의 도시.] || || '''{{{#black 사망}}}''' ||[[1803년]] [[2월 1일]] (향년 73세)[br][[스웨덴]] 칼레뷔[* 현 핀란드의 도시 코콜라.] || || '''{{{#black 직업}}}''' ||[[경제학자]], [[철학자]] || || '''{{{#black 배우자}}}''' ||베아타 막달레나 멜베리^^(1755년~180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경제학자]], [[철학자]]. 오늘날 [[핀란드]][* 1809년 [[하미나(핀란드)|프레드릭스함]] 조약으로 스웨덴이 [[러시아 제국]]에게 핀란드를 할양하기 전까지 핀란드는 스웨덴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다른 나라의 개념이 아니라 핀란드가 스웨덴 행정구역의 [[주(행정구역)|주]]에 포함되었다.]에서 태어난 [[스웨덴계 핀란드인]]으로 핀란드와 스웨덴 양국에서 위인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 생애 == 스웨덴의 [[포흐얀마]] 주 솟카모에서 [[군종#s-2]] 사제의 아들로 태어났다. 사제가 되기 전까지는 [[음악]]을 공부하다가 [[오울루|울레오보리]] 문법학교를 거쳐 [[헬싱키 대학교|오보 왕립 아카데미]]와 [[웁살라 대학교]]를 졸업하고 네데르베틸(Nedervetil)[* 현 핀란드 크로노뷔(Kronoby).]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1765년 출판된 팜플렛을 통하여 자유 무역과 지역 경제, 중상주의와 근대 민주주의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후에 출간된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계몽적 사상가이자 [[고전적 자유주의]]자로 [[북유럽]]에서 계몽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사상을 주도했으며 [[스웨덴 국왕]] [[아돌프 프레드리크]] 치세에는 헌법 개정을 주도하여 '언론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알 권리]]를 옹호했다. 그 외에도 이성주의, 예술, 과학의 후원자였으며 [[백신]]의 발견, 오케스트라의 창설에도 기여를 했다. == 평가 == 오늘날 [[정보공개]]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분류:1729년 출생]][[분류:1803년 사망]][[분류:핀란드의 인물]][[분류:스웨덴계 핀란드인]][[분류:철학자]][[분류:화폐의 인물]][[분류:카이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