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德基 [[1915년]] [[4월 1일]] ~ [[1977년]] [[2월 20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안(성씨)|탐진]](耽津)[* 25세 기(基) 항렬.], 자는 경보(敬普). == 생애 == 1915년 4월 1일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아버지 안병반(安炳斑)과 어머니 [[고성 이씨]] 이정억(李庭億)의 딸 사이의 5남 4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의령 입산국민학교[[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540118000026|#]]와 양산 통도중학교[* 현 보광중학교의 전신이다.]를 졸업하고 [[니혼대학]] 전문부에 입학하여 다니다가 2학년 때 중퇴하였다. 이후 울산군 삼남면 과수조합장, 조선축산주식회사 사장, 동양제관주식회사 취체역 사장, 조양제유회사 사장 등을 지냈으며 경상남도 농민회장도 지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남도 울산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김수선]] 후보에 389표차로 석패하여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후보로 동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이후 자유당 중앙위원, 자유당 울산군갑 지구당 위원장 등을 지냈다. 하지만 [[4.19 혁명]] 이후 공민권제한 대상이 되었고 연이어 [[5.16 군사정변]] 이후 정치정화법 대상이 되기도 했다. 그러다가 1963년에 정치정화법에서 해금된 뒤 민우당 창당 발기인이 되었다. 그러나 1967년에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출마를 시도했으나 [[설두하]]에게 밀려서 공천에서 탈락했다. 이후 정계를 은퇴하고 1968년 [[김종필]]이 사들인 [[제주도]] 감귤농장에서 쓸쓸한 말년을 보냈다.[[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6266|#]] 1977년 2월 20일 별세하였다는 설과, 1980년대 초반에 별세하였다는 설이 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울산군 갑) || [include(틀:자유당)] || 17,395표 (49.44%) || 낙선 (2위)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울산군 갑) || [include(틀:자유당)] || '''18,364표 (49.91%)''' || '''당선''' || '''초선''' ||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경상남도)] [[분류:의령군 출신 인물]][[분류:탐진 안씨]][[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15년 출생]][[분류:197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