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1 폐역}}}}}}''' || [[태화강역|{{{#000000,#ffffff 태화강}}}]] - --[[효문역|[ruby(효문, ruby=~2021)]]]-- - --[[호계역|[ruby(호계, ruby=~2021)]]]-- - --[[모화역|[ruby(모화, ruby=~2021)]]]-- - --[[입실역|[ruby(입실, ruby=~2021)]]]-- - --[[죽동역|[ruby(죽동, ruby=~2021)]]]-- - --[[불국사역|[ruby(불국사, ruby=~2021)]]]-- - --[[동방신호장|[ruby(동방, ruby=~2021)]]]-- - --[[경주역(폐역)|[ruby(경주, ruby=~2021)]]]-- - --[[나원역|[ruby(나원, ruby=~2021)]]]-- - --[[청령역|[ruby(청령, ruby=~2021)]]]-- - --[[사방역|[ruby(사방, ruby=~2021)]]]-- - '''{{{#000000,#ffffff [ruby(舊 안강, ruby=이설)]}}}''' - --[[양자동역|[ruby(양자동, ruby=~2021)]]]-- - --[[부조신호장|{{{#000000,#ffffff [ruby(舊 부조, ruby=~2021)]}}}]][* 구선 기준 현 부조역에서 부산진 방향으로 1.5㎞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2015년 포항행 KTX 개통과 동시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고 폐역되었으나 전산 상에서는 신선 상의 역과는 별도로 분리되어 2021년까지 존속했다.]-- - [[부조신호장|{{{#000000,#ffffff 부조}}}]]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ffffff '''안강역'''}}}}}} || || [[부전역(동해선)|{{{#!html부전 방면}}}]] ||<|2> [[무궁화호|{{{#!html
동해선
무궁화호
}}}]] ||<|4> [[포항역|{{{#!html
포항 방면}}}]][[포항역|포 항]][br]17.3 ㎞ → || ||<|2> [[서경주역|서경주]][br]← 10.8 ㎞ || ||<|2> [[무궁화호|{{{#!html
대구선
무궁화호
}}}]] || || [[동대구역|{{{#!html동대구 방면}}}]]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안강읍 갑산리 900-1, 너비=100%, 높이=100%)]}}} ||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Angang || || [[한자]] ||<-2><|2> 安康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安康, ruby=アンガン)] || ||<-3> '''{{{#ffffff 주소}}}''' || ||<-3>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안현로 1264 (갑산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 (3급)[br]([[포항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동해선]] ||<-2> [[한국철도공사]] || ||<-3> '''{{{#ffffff 개업일}}}''' || || [[대구선|경동선]] ||<-2> 1918년 12월 28일[* 최초 개업일 ([[협궤]]로 개설)] || || [[동해선]] ||<-2> 1945년 7월 10일[* [[표준궤]]화로 부산까지 연결된 날짜]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 || || [[누리로|[[파일:누리로 BI.svg|width=60px]]]] ||<-2> 2023년 12월 18일 예정 || ||<-3> '''{{{#ffffff 철도거리표}}}''' || || [[부산진역(경부선)|{{{-1 {{{#585858,#a7a7a7 부산진 방면}}}}}}]][br][[서경주역|서경주]][br]← 10.8 ㎞ || '''[[동해선]]'''[br]안 강 || [[영덕역|{{{-1 {{{#585858,#a7a7a7 영덕 방면}}}}}}]][br][[부조신호장|부 조]][br] 5.8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안강역 스탬프.jpg|width=150]] || || 안강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양동마을과 RDC 열차를 형상화했으며, 인접한 비슷한 시기 개통한 역들과 함께 스탬프가 제작되었다. || >'''1918년 보통역으로 출발, 주민 문화공간 역할도''' >안강역은 1918년 협궤 경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45년 7월 광궤선 개통 이후 1966년 옛 역사를 준공하였다. 당시 역사는 450㎡ 규모의 단층역사로 화물홈과 하치장을 갖추고 있었다. 특히 안강읍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도 접근성이 뛰어나 2층에는 타는 곳이, 1층에는 문화공간이 꾸며져 지역 주민과 함께 하기도 하였다. 2015년 경부고속철도 연계를 위한 전철망 구축으로 교통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작된 울산-포항 복선전철사업에 의해 연면적 1,454㎡ 규모의 역사로 새로운 시작을 알리게 되었다. 새 역사는 국보 제40호 정혜사지 13층 석탑을 모티브로 설계되어 지역의 랜드마크이자 지역발전의 중심축으로 역할하게 된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동해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안현로 1264에 있다. 구 역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비화원로]] 15-1에(안강리) 소재했었다.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안강역 구역사.jpg|width=100%]]}}}|| || '''{{{#ffffff 구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안강신.jpg|width=100%]]}}}|| || '''{{{#ffffff 현재 역사}}}''' || 1918년 협궤 철도 [[경동선]]의 역으로 문을 열었고, 이후 동해선 계획 수립에 따라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1966년에 2021년 12월 27일까지 사용된 역사가 준공되었다. 읍내에 있는 관계로 수요가 꽤 되어 모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고, 1992년부터는 [[새마을호]]가 정차하기도 했으나, 2015년 [[서울특별시|서울]]-[[포항시|포항]] 간 새마을호의 폐지와 함께 다시 무궁화호 필수 정차역이 되었다. 구 안강역은 자동발매기가 없었다. [[동해선]] 태화강 - 모량 구간의 복선전철화로 2021년 12월 28일에 신 역사로 이전하였다. 다만, 외곽으로 이전하였기 때문에 기존 위치에 비해 접근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신역사로 이전하는 동시에 이용객이 매우 적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역내 매표 업무가 중단되었으며,[* 매표소가 있긴 한데 혹시나 해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그 대신 역무실 앞에 자동발매기가 있어서 이쪽을 쓰도록 되어 있다. 카드로만 발권이 가능하니 주의. 네이버/카카오 또는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여 미리 승차권을 구매하거나, 열차에 탑승해서 승무원에게 승차권을 구입(차내발권)해도 상관없다. 2023년 11월 13일 오후 7시에 안강-포항 구간 단전으로 인하여 포항행 KTX중 일부가 안강행으로 운행하였다. == 역 정보 == === 시간표 === ||<-7> {{{#ffffff '''안강역 열차시간표 (2023년 07월 13일 기준)'''}}} || ||<-7> {{{#white 상행 (포항 방면)}}} || || 열차종류 || 열차번호 || 도착시간 || 출발시간 || 종착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51''' || 07:27 || 07:28 || [[포항역|{{{#000000,#ffffff '''포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53''' || 10:26 || 10:32 || [[포항역|{{{#000000,#ffffff '''포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61''' || 11:26 || 11:27 || [[포항역|{{{#000000,#ffffff '''포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55''' || 16:06 || 16:07 || [[포항역|{{{#000000,#ffffff '''포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57''' || 20:08 || 20:09 || [[포항역|{{{#000000,#ffffff '''포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63''' || 21:27 || 21:28 || [[포항역|{{{#000000,#ffffff '''포항'''}}}]] || ||<-7> {{{#white 하행 (동대구, 부전 방면)}}} || || 열차종류 || 열차번호 || 도착시간 || 출발시간 || 종착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62''' || 06:08 || 06:09 || [[부전역(동해선)|{{{#000000,#ffffff '''부전'''}}}]]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52''' || 07:00 || 07:01 || [[동대구역|{{{#000000,#ffffff '''동대구'''}}}]]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54''' || 13:01 || 13:02 || [[동대구역|{{{#000000,#ffffff '''동대구'''}}}]]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64''' || 13:17 || 13:18 || [[태화강역|{{{#000000,#ffffff '''태화강'''}}}]]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56''' || 15:57 || 15:58 || [[동대구역|{{{#000000,#ffffff '''동대구'''}}}]]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758''' || 19:40 || 19:41 || [[동대구역|{{{#000000,#ffffff '''동대구'''}}}]] || == 역 주변 정보 == === 구 역사 === 안강역 일대는 농촌 분위기를 풍기지만 [[포항시]]의 베드타운인지라[* 포항시에서 시내버스타고 가도 30분 이면 안강이 나오며 포항터미널 기준으로는 빠르면 20~25분이면 간다.] 아파트 단지라든가 거주 인구는 읍 치고는 많은 편이며, 공장도 꽤 많다 보니 수요가 꽤 되는 편이라 읍 단위 역들 중에는 유일하게 [[동해선]]을 운행하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똑같이 읍내에 있는 [[건천역]]의 경우 주변에 베드타운이 될 만한 곳이 없는 데다가(영천에서는 좀 멀고 경주에서도 아무리 빠르게 가도 15~20분은 잡아야 한다.) 인구도 좀 적어 1일 4회 운행하는 [[동대구역]] ~ [[포항역]]간 열차가 전부였다.] 더군다나 [[2015년]] 개통한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흥해읍]]의 [[포항역|신 포항역]]이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에선 좀 거리가 있어서, 안강역이 이전하기 전까지는 남구 일대에서 [[포항 버스 600]]이나 직행버스를 타고 여기로 와서 일반 열차를 이용하는 수요도 조금은 있었다. 더 옛날에는 기계면 성계리에서 걸어서 오기도 했다.[* 실제로 안강과 기계는 [[68번 지방도]]로 바로 연결되어 있다.] 지금은 당연히 [[기계면]] 입장에서는 [[포항역]]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편하기 때문에 잘 이용하지 않는다. 그래도 가끔 영천 이나 대구 방면으로 갈 때 이용하기도 했다. 201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양동마을]]에 갈 경우 철도 교통으로는 이 역이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다.[* 양동마을 바로 입구에 [[양자동역]]이 있으나, 폐역된지라 예외하며 관광객은 물론 경주시민들이나 포항시민들도 모르는 듣보잡 역이었다.] 역에서 양동마을까지 택시를 이용할 경우 약 5~10분 가량 소요되며, 버스를 탈 경우 [[경주 버스 203|경주 버스 203번]] 및 252번을 제외한 나머지는 마을까지는 대략 500m 가까이 떨어진 입구 쪽 정류장에 내려야 해서 걷는 시간을 합치면 약 15~25분 소요된다. 203번이나 252번을 타는 게 아니라면 택시를 이용하는 게 더 편하게 갈 수는 있으나, 안강읍 전 지역의 택시 바가지 요금이 심각한 점이 문제.[* 택시 요금 부분은 안강읍내 외에도 경주시 택시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내 '''복합할증제 폐지'''가 우선이다. [[경주시/교통]] 문서의 택시 문단을 참조.] 이로 인해 경주시에 수많은 민원이 들어갔으나, 처리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 신 역사 === 근처에 안강농공단지가 자리잡고 있으며, 직선거리로 약 2km 북쪽에는 안강읍내가 있다. 역내에 버스 정류장이 있으나 한동안 역에 들어오는 노선이 없어 버스는 주변에 있는 갑산2리 정류장이나 갑산농공단지 정류장으로 걸어가서 타야 했다. 이후 2022년 2월 11일부터 [[경주 버스 210|210번 버스]]가 [[http://newsmilebus.com/sub02.asp?b_num=474|안강역을 경유하게 된다.]] 신[[서경주역]]에는 개통 전 2021년 12월 27일 역내로 들어가는 [[경주 버스 235]]가 신설되고[* 현재는 폐선 후 [[경주 버스 230|230번]]과 통합], 신[[아화역]]은 개통 1개월 뒤인 2022년 1월 27일 기존 아화 방면 노선들이 아화역으로 연장 또는 경유하게 개편되는 반면, 신안강역은 현재 형산강 서안을 따라 올라가는 안강행 버스들이 중간에 정류장 1개만 신설하면 되는데도 아무 소식이 없다가 개통 45일 뒤에야 210번 노선을 수정하여 경유하게 되었다. 신설역 3곳 중 가장 늦게 버스가 다니게 된 셈.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안강역(안강)(05527)'''}}}}}} {{{#!wiki style="text-align: left" * 갑산농공단지 방면}}} || || {{{#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3c208; font-size: .95em" [[경주 버스 210|{{{#ffffff 21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안강역(경주)(05528)'''}}}}}} {{{#!wiki style="text-align: left" * 갑산2리 방면}}} || || {{{#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3c208; font-size: .95em" [[경주 버스 210|{{{#ffffff 210}}}]]}}} ||}}} == 승강장 == ||<-8> ↑ [[서경주역|서경주]] || || ㅣ|| {{{#ffffff 4}}} || {{{#ffffff 3}}} || ㅣ || ㅣ|| {{{#ffffff 2}}} || {{{#ffffff 1}}} || ㅣ|| ||<-8> [[부조신호장|부조]] ↓ || || {{{#ffffff 1·2}}} || [[동해선]]·[[대구선]] ||<|3>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누리로|[[파일:누리로 BI.svg|width=40]]]] ||[[포항역|포항]] 방면 || ||<|2> {{{#ffffff 3·4}}} || [[동해선]] ||[[신경주역|신경주]]·[[태화강역|태화강]]·[[부전역|부전]] 방면 || || [[대구선]] ||[[영천역|영천]]·[[하양역|하양]]·[[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비고'''}}} || || 2004년 || 14명 || || || 2005년 || 41명 || || || 2006년 || 51명 || || || 2007년 || 90명 || || || 2008년 || {{{#f55839 171명}}} || || || 2009년 || 156명 || || || 2010년 || 149명 || || || 2011년 || 93명 || || || 2012년 || 79명 || || || 2013년 || 76명 || || || 2014년 || 72명 || || || 2015년 || 72명 || || || 2016년 || 58명 || || || 2017년 || 48명 || || || 2018년 || 47명 || || || 2019년 || 46명 || || || 2020년 || 40명 || || || 2021년 || 45명 || || || 2022년 || 50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크게 [[동대구역]] 수요/울산 도심 방면 수요([[태화강역]])/[[경주역]] 방면 수요로 나누어진다. [[동대구역]] 수요가 제일 많지만 [[대구선]] 열차가 몇 회 정차하지 않아 1일 2회밖에 가지 않는 [[태화강역]] 수요도 비율 상 눈에 띌 정도. * 새마을호 운행 당시엔 새마을호가 정차할 만큼의 지위를 자랑했으나, 중간역에 있는 역들이 여객 취급을 중단하고, 새마을호가 폐지되면서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 특히 2015년 4월 1일 포항역에 KTX가 개통한 후 동해남부선 새마을호가 폐지되자 새마을호 이용객이 그대로 타 교통수단으로 이탈하였다. 새마을호를 이용하던 이용객의 상당수는 무궁화 환승 대신 버스로 이탈하였다. * [[안강읍]]은 경주보다 포항에 더 가깝기 때문에 포항 생활권이다. 그러나 동해선 이설로 포항방면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져 철도는 포항 - 안강 간 로컬교통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으며, 현재는 포항방면 수요가 0에 가깝다. [[포항역(폐역)|구 포항역]]이 시내 한복판 포항 중앙상가에 있었던 것과 달리, [[포항역|신 포항역]]은 시 외곽으로 이전되었기 때문에 안강읍 거주민 입장에선 KTX를 이용할 때나 시가지가 아닌 흥해가 목적지일 때 정도를 제외하고는 [[포항역]]에 갈 일이 없어졌다. 이 수요는 [[안강시외버스터미널]] 경유 완행 시외버스와 [[포항 버스 600|포항시 좌석버스]]가 흡수하였다. * [[포항역]]의 이설과 [[효자역(포항)|효자역]]의 여객취급 중단에도 불구하고 포항 남부권의 수요를 끌어오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간단하게 말해서, [[포항터미널]]과 비교하여 포항에서 대구선 무궁화호의 경쟁력이 아예 없기 때문. 이는 배차가 적고 소요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그 없는 수요 중에서도 [[포항역]]의 버스 접근성이 더 괜찮다. * 안강역이 현 위치보다 더 먼 읍 외곽으로 이설하였고, [[안강읍]]에 특별한 개발 호재[* 검단산업단지가 공사 중이긴 하지만 사방, 검단 주민들의 반발이 심해서 호재가 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이다. 2022년에 완성 전기자동차 공장이 안강에 유치되었으나 이 또한 호재가 될 지는 미지수이다.]가 없이 인구가 줄어들고 있기에 향후 전망이 어둡다. 일단 기존 수요가 어느 정도 있으니 여객 취급은 지속할 예정이고, 이에 맞춰 역사와 승강장도 조성 중이다. 거기다가 [[안강시외버스터미널]]이 폐지되어 동대구행 버스 이용이 불편해져 동대구행 수요가 생길 수 있고, [[경주 버스 210]]의 루트와 가까운 곳에 역이 있어서 연계 교통편을 추가로 확충할 필요가 없는 입지인 건 장점. 단, 전술한대로 경주 버스 210번이 안강역 내를 경유하게 된 건 신 역사 이전 후 45일이 지나서였다. == 동대구-포항간 [[대구권 광역철도]] 연결 가능성 == 경북도에서 [[https://www.tbc.co.kr/news/view?c1=8news&c2=&pno=20220128135743AE02000&id=166873|동대구-포항간 광역전철]]을 추진중이지만 동해안권지역중심으로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46457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57336|영천-안강간 철도]]도 조기에 만들어 달라는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57336|움직임]]이 있어 영천경유 동대구-포항간[[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74809|직선철도]]망 연결이 성사될 경우 경주 시내를 경유하지않고 포항에 직진하는 시대도 열릴 수 있을 걸로 전망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동해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주시의 교통)] [[분류:191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동해선]][[분류:경주시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