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필즈상 수상자)] ||<-2> '''{{{+1 Akshay Venkatesh}}}[br]악샤이 벤카테슈'''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Akshay_Venkatesh.png|width=100%]]}}} || || '''출생''' ||[[1981년]] [[11월 21일]] ([age(1981-11-21)]세)[br][[파일:인도 국기.svg|width=28]] [[인도]] [[뉴델리]]|| || '''국적'''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학력''' ||스카치 칼리지 {{{-2 ([[졸업]]) (1994년)}}}[br] [[서호주 대학교]] {{{-2 ([[수학]] / [[학사|B.Sc.]]) (1997년)}}}[br]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2 ([[수학]] / [[Ph.D.]]) (2002년)}}}|| || '''수상''' ||[[국제물리올림피아드]] 동메달(1993년)[br][[국제수학올림피아드]] 동메달(1994년)[br]클레이수학연구소회원(2004년)[br]살렘상(2007년)[br]J.A.우즈상(1997년)[br][[SASTRA 라마누잔상]](2008년)[br]인포시스상(2016년)[br]오스트로브스키상(2017년)[br][[필즈상]](2018년)|| || '''업적''' ||정수론, 동역학, 표현론, 산술기하학 등|| || '''소속''' ||[[뉴욕 대학교]] 쿠란트 수학연구소 교수[* Courant Institute of Mathematics Sciences] (2004년 – 2006년)[br][[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2005년 – 2006년, 2018 – 현재)[br][[스탠포드 대학교]] 교수 (Stanford University (2008 – 2018)||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의 수학자로, [[2018년]] [[필즈상]]을 수상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악샤이 벤카테슈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 [[https://horizon.kias.re.kr/7579/]]] == 생애 == === 가족사 === [[뉴델리]]에서 [[컴퓨터공학]] 교수였던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2살 무렵에 [[호주]] [[퍼스]]로 가족들과 이민을 갔다. 이후 일찍이 영재 기질을 발휘하여 11-12세 무렵 이미 [[국제수학올림피아드]], [[국제물리올림피아드]]에서 메달을 수상했고[* 같은 호주 국적 필즈상 수상자이자 대표적인 천재 수학자로 불리는 [[테렌스 타오]] 교수도 10살에 메달을 수상했다.] 1994년 스카치 컬리지를 졸업하여 이른 나이로 [[서호주 대학교]]에 입학했다. 여기서도 4년 과정을 3년 만에 졸업하여 1997년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에 진학했고 2002년 21세에 [[피터 사르낙]][* 사르낙은 정수론의 대가이며 지도교수는 필즈상을 수상한 [[폴 코헨]]이다. 벤카테슈가 수상했으니 일종의 [[격세유전]]이라 할 수 있을 지도? ] 지도교수 아래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MIT]]의 C. L. E. Moore instructor에서 연구와 교육을 모두 수행하는 강사 직위로 임용되어 활동했다. 이후 2004년에 클레이 수학 연구소의 연구 교수, 2005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 2006년 스탠포드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다. 2018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재임용되어 현재(2021년 10월 28일 기준)까지 재직 중이다. [[동역학]]과 [[정수론]]을 포함하여 여러 분야에서 광활하게 활동하는 학자이다. == 같이보기 == * [[차오위안]] * [[쇼 야노]] * [[루스 로렌스]] * [[테렌스 타오]] * [[발라무랄리 앰바티]] * [[천재]] * [[신동]] [[분류:1981년 출생]][[분류:필즈상 수상자]][[분류:호주의 수학자]][[분류:뉴델리 출신 인물]][[분류:인도계 호주인]][[분류:국제수학올림피아드 수상자]][[분류:서호주 대학교 출신]][[분류: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스탠퍼드 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