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 [목차] == 개요 == 樂道融 (? ~ 322) [[동진]]의 인물. 자는 불명. 양주 단양군(丹陽郡) 출신. == 생애 == 젊었을 적부터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있었고, 공부를 좋아하여 책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또, 친구들과도 신뢰가 두터워 약속을 하면 반드시 지키기 위해 노력하니, 국사(國士)의 기풍이 있었다. 이에 대장군 [[왕돈(동진)|왕돈]]은 악도융을 불러 참군으로 삼았다. 영창 원년(322년) 정월, 왕돈은 무창(武昌)에서 반란을 선포하였는데, 함께하기로 약조한 [[감탁]]이 머뭇거리며 움직이지 않자 그가 변심할 것을 우려하고 악도융을 보내 감탁을 설득하게 했다. 그러나 애초부터 왕돈의 반란에 공조할 생각이 없었던 악도융은 뛰어난 언변으로 오히려 감탁이 조정의 편에 서게끔 설득하였다. 감탁은 마침내 군사를 일으키고, 파동감군 유순(柳純), 남평태수 하후승(夏侯承), 의도태수 담해(譚該) 등 10여 명에게 명해 역적 왕돈을 토벌한다는 격문을 돌리게 했다. 비록 감탁은 호기롭게 선전포고를 했으나 원래 우유부단한 성격에 나이까지 들면서 의심이 더욱 많아졌다. 왕돈은 감탁의 군세가 크게 두려워 감탁의 조카인 참군 감앙(甘卬)을 보내 유세하자, 감탁은 무창으로의 진격을 멈추고 수십 일 동안 저구(豬口)에 머물렀다. 그렇게 감탁이 다시 허송세월 하는 사이, 왕돈은 석두성에서 황제의 군대를 무찔러 버렸다. [[원제(동진)|원제 사마예]]의 항복을 받아내고 건강 조정을 장악한 왕돈은 사자를 파견해 자신이 승리했음을 알렸다. 감탁이 장차 군대를 돌리려 하자 악도융은 감탁에게 진군할 것을 간했다. > "장군께서 의병을 일으키셨다가 도중에 되돌리시면 패군의 장수가 되는 것으로, 이는 취하시면 안 되는 최하책입니다. 지금 장군의 병사들은 각자 승리하여 이득을 얻기 위해 모였는데, 이대로 돌아가면 아무것도 얻지 못할까 두렵습니다." 도위 진강(秦康)도 나서서 지금 팽택(彭澤)을 틀어막고 왕돈을 친다면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 장담했지만, 감탁은 자신이 군대를 물리지 않으면 원제가 해를 입을 것이라는 핑계를 대며 양양으로 퇴각하기 시작했다. 악도융은 돌아가는 내내 감탁에게 밤낮으로 울면서 간언했으나, 감탁이 전혀 듣지 않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이내 분사하였다. [[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인물]][[분류:32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