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sabahkini.com/zahid-1mdb.jpg]] [[파일:external/dinmerican.files.wordpress.com/zahid-hamidi.jpg]] Dato' Seri Dr. [[아흐마드|Ahmad]] Zahid bin Hamidi, 1953.1.4 ~ [목차] == 개요 == [[말레이시아]]의 부총리 겸 지방개발부 장관. 現 [[통일말레이국민조직]] 및 [[국민전선(말레이시아)|국민전선]] 대표. == 생애 == [[페락]] 주 [[바간다토]] 출신으로, 일반적으로 [[말레이인]]으로 분류되나 실제 우리가 말하는 "말레이인" 피는 일부밖에 안 된다. 정확히 이 사람은 말레이'''계''' 민족인 [[자바인]]의 후손으로, 조상이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출신이다. 본인의 증언에 따르면, 자바인인 할아버지가 말레이인 할머니와 결혼하면서 말레이시아에 정착하게 되었다 [[카더라]]. 하지만 아버지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버지와 헤어지게 되었고 대신에 새아버지의 밑에서 자랐는데 그는 [[중국인]]이었다. 여섯 살 때부터 아이스크림을 팔고 다닐 정도로 형편이 나빴으나, 열심히 공부한 덕택에 [[말레이시아 푸트라 대학교]](UPM)에서 의학을 전공하고 이후 은행원을 거쳐 정계에 진입할 수 있었다. 1995년 자신의 고향인 바간다토 선거구의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1996년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의 청년대표로 올랐으나, 1998년 [[안와르 이브라힘]] 부총리가 숙청되던 때 안와르 측에 서며 [[마하티르 모하마드]] 총리에 항거하다 UMNO에서 축출되었고 [[국가보안법(말레이시아)|국가보안법]][*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과 다른 법이나, 특징은 비슷하다.] 위반 혐의로 [[코렁탕]]을 먹은 적이 있었다. 다행히도(?) 1년만에 석방과 함께 UMNO로 복귀했고 [[압둘라 아마드 바다위]]가 총리로 취임하자 내각에서 여러 직책들을 맡았다. 2009년 [[나집 라작]]이 총리로 취임하면서 국방부 장관에 올랐다가, 2013년 총선 이후 히샤무딘 후세인과 직을 교환하여 내무부 장관이 되었다. 이후 2015년 [[무히딘 야신]] 부총리가 파면되면서 신임 부총리로 취임했다. [[제14대 말레이시아 총선거|2018년 총선]] 이후 야당이 된 UMNO와 국민전선의 새 대표로 선출된다. [[제14대 말레이시아 총선거|2022년 총선]]으로 [[안와르 이브라힘]] 내각이 출범하자 부총리 겸 지방개발부장관으로 입각한다. == 논란 == [[제13대 말레이시아 총선거|2013년 총선]] 전후로 내무장관이 되었는데, 이 전후로 일부 발언들이 논란이 되었다. 특히 총선을 부정이라고 비난하던 야권 지지자들을 상대로 "'''그렇게 불만이 많으면 당장 나라를 떠나라'''"라고 말했다가 야당 지지자들로부터 비판받기도 했다. 또한 내무부는 외교를 담당하지는 않으나, 산하기관인 [[말레이시아 이민국|이민국]]은 외국인 문제를 담당하므로 외교적인 문제를 아예 담당하지 않는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민국이 '''너무 까다롭다'''는 비판이 외국인들로부터 제기되는 가운데, 자히드의 이민관 또한 불확실하다는 비판이 많다. 한 예로 [[방글라데시]]를 비롯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겠다고 해놓고서는 갑자기 '''앞으로는 외국인 노동자를 일체 받지 않겠다'''고 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또한 2018년 [[https://www.nst.com.my/news/nation/2018/03/348092/rm3500-minimum-wage-skilled-workers-proposed|내국인 노동자의 최저임금 인상안을 발표했는데]], 이 때 "외국인들에게 왜 높은 임금을 주어야 하는가?"라고 발언한 것을 보면 논란이 될 법도 하다. [[분류:1953년 출생]][[분류:말레이시아의 정치인]][[분류:말레이시아의 무슬림]][[분류:페락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