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 '''아틸리오 페라리스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AS 로마|{{{#fbba00 ''' AS 로마 주장 ''' }}}]] || || 첫 주장 || [[AS 로마|[[파일:AS 로마 로고.svg|width=100%]]]] || '''{{{#000 아틸리오 페라리스 [br] (1927~1934)}}}''' || [[AS 로마|[[파일:AS 로마 로고.svg|width=100%]]]] || 풀비오 베르나르디니 [br] (1934~1939) || ---- ||<-5> '''{{{#ffffff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장}}}''' || || [[잔피에로 콤비]][br](1934) || {{{+1 →}}} || '''{{{#113ed7 아틸리오 페라리스[br](1934~1935)}}}''' ||{{{+1 →}}} || [[루이지 알레만디]][br] (1935~1936)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 '''아틸리오 페라리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fff 1934}}}]]'''}}}}}}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 '''아틸리오 페라리스의 기타 정보'''}}}}}} || || {{{#!folding ▼ ---- [include(틀:AS 로마/명예의 전당)]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이탈리아의 前 축구선수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ilio Ferraris.jpg|width=100%]]}}} || || {{{#000000,#e5e5e5 ''' 이름 ''' }}} || {{{+1 '''아틸리오 페라리스'''}}}[br]'''Attilio Ferraris Ⅳ''' || || {{{#000000,#e5e5e5 ''' 출생 ''' }}} ||[[1904년]] [[3월 26일]] [br][[로마]]|| || {{{#000000,#e5e5e5 ''' 사망 ''' }}} ||[[1947년]] [[5월 8일]] (향년 43세) || || {{{#000000,#e5e5e5 ''' 국적 '''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이탈리아]] || || {{{#000000,#e5e5e5 ''' 포지션 ''' }}} ||하프백 || ||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70cm | [[몸무게|체중]] 70kg || || {{{#000000,#e5e5e5 ''' 소속팀 ''' }}} ||포르티투도 (1922~1927) [br] '''[[AS 로마]] (1927~1934)''' [br] [[SS 라치오]] (1934~1936) [br] FC 바리 1908 (1936~1938) [br] [[AS 로마]] (1938~1939) [br] [[칼초 카타니아|카타니아]] (1939~1940) [br] 엘레트로니카 (1940~1944) || ||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28경기 0골^^([[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1926~1935)^^|| ||<-2> '''정보 더 보기'''[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00000,#e5e5e5 ''' 등번호 ''' }}}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前 축구선수. == 생애[* 출처: 위키백과] == === 클럽 === ==== 어린 시절[* 출처: http://www.asromaultras.org/ferrarisIv_ricordo.html 2007년 11월 당시 생존해있던 페라리스의 여동생 욜란다의 인터뷰다.] ==== 페라리스는 로마의 보르고가 출신이다. 3남 4녀의 형제를 두었고 그의 아버지 세콘도는 [[피에몬테|피에몬테 주]] 출신으로 인형 가게를 경영했다. 아버지의 출신 때문에 [[유벤투스 FC|유벤투스]]가 아틸리오 페라리스에게 먼저 손을 내밀었지만 아버지는 아틸리오에게 그 사실을 이야기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아틸리오가 로마에서 뛰고 싶어 하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어린 시절에 페라리스는 형들과 축구를 즐겼는데 특히 형 파올리노와 함께 축구 삼매경에 빠지면 동생 욜란다에 의해 끌려 돌아가곤 했다. 어린 시절의 페라리스는 가족들의 사랑을 듬뿍 받으면서 자랐고 활기차면서도 마음씨 좋은 소년이었다. ==== [[AS 로마]] ==== 페라리스의 첫 클럽은 포르티투도였다. 하지만 1927년 6월 7일, 대사건이 일어나게 되는데 포르티투도와 알바 아우다체, 디 로마 축구 클럽이 통합되어 [[AS 로마]]로 재탄생한 것이다. 그리고 페라리스는 AS 로마의 첫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주장이면서 주인공이었고, 매너와 스포츠맨십을 갖춘 인격자였다. AS 로마에서 198경기를 뛰었지만 페라리스는 훈련에 모든 걸 바치는 스타일은 아니었고, 여러 유희도 즐기며 살았다. 문제는 [[담배]]와 같은 기량 발전에 도움이 안 되는 유희도 껴있던 데다 [[도박]]도 즐겼다는 것. 이 때문에 종종 훈련에 빠지는 일이 있었고 이걸 팀의 감독이 별로 좋게 보질 않았다. 회장의 실드가 있기는 했지만 30살이 넘어가자 슬슬 경력에도 위기가 찾아오는 듯 했다. 술집에서 담배를 피우며 [[당구]]를 치는 모습이 자주 발견되었고, 출전 횟수는 조금씩 줄어갔다. 금연 약속도 했었지만 오히려 금연 약속을 쓰레기통에 던져버린 채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월드컵]]을 준비하였다. 하지만 월드컵은 정말 열심히 준비했고, 우승이라는 경력으로 월드컵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 [[SS 라치오]] 그리고 그 이후 ==== 하지만 월드컵이 끝나고 정말 뜬금없는 일이 일어나고 말았다. 당시 라치오의 구단주 구알디는 페라리스를 강력히 원했는데 15만 [[이탈리아 리라|리라]]에 라치오로 팔려나간 것. 페라리스는 2시즌 동안 총 39경기를 뛰었다. 첫 시즌에는 30경기를 뛰었지만 두 번째 시즌에는 단 9경기 출장으로 출전 횟수가 크게 줄었고, 페라리스는 바리로 이적하였다. 바리에서는 54경기에 출전했고 친정팀 로마, [[칼초 카타니아|카타니아]], 엘레트로니카를 거쳐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였다.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 페라리스는 1926년 5월 9일에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를 상대로 첫 A매치를 치렀다. 그리고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암스테르담 올림픽]]에도 참가하였지만 경기를 뛰지는 못했고, 동메달을 가져오기는 했다. 1933년 이후에는 새로운 하프백 [[마리오 피치올로]]의 등장으로 대표팀의 입지가 좁아졌던 상태. 하지만 그의 재능을 아꼈던 대표팀 감독 [[비토리오 포초]]에 의해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월드컵]] 대표팀에 합류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그는 처음 2경기는 벤치를 지켰지만 피치올로가 부상으로 빠지게 되자 훌륭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이탈리아의 첫 월드컵 우승을 이끌었다. 그리고 페라리스는 월드컵 베스트 11에도 선정되었다. 전임 주장이었던 [[잔피에로 콤비]]가 은퇴한 이후 페라리스는 이탈리아 대표팀의 새로운 주장이 되었다. 주장 데뷔전의 상대는 축구 종주국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센터 하프 [[루이스 몬티]]가 단 2분 만에 부상으로 실려 나가고 3대0으로 밀리며 패색이 짙던 하프 타임. 주장 페라리스가 나서서 격려를 하며 근성과 자부심을 일깨웠다. 결국 [[주세페 메아차]]의 추격골 2골이 터졌고, 이탈리아는 비록 패했지만 후반전에는 확실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경기가 바로 유명한 [[하이버리의 전투]]였다. === 사망 === 페라리스는 1947년 5월 8일. 몬테카티니의 축구장에서 숨을 거두었다. 올드 멤버들의 자선 경기에 참가했다가 쓰러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주로 하프백 포지션에서 활동했지만 팀의 사정에 따라 풀백에서도 활동하였다. 그리고 피치 밖에서는 신사였지만 안에서는 가차 없는 투사의 모습도 보여주었다. == 뒷이야기 == * 로마의 첫 주장이었던 만큼 팬들의 지지도 대단했는데, 한번은 페라리스가 부상을 당했을 때 그가 쉬고 있는 건물에 팬들이 몰려들어 일대의 교통에 혼잡이 생기는 일도 있었다. * 지금 같으면 로마의 주장이자 프랜차이즈 선수가 라치오에 간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당시 라치오의 팬들이 오히려 페라리스의 이적을 반겼다한다. * 로마의 후임 주장인 [[풀비오 베르나르디니]]와는 절친한 친구사이었다. 라치오로 이적하고 난 후 치른 첫 [[데르비 델라 카피탈레]] 때는 베르나르디니와 악수하면서 눈물을 흘렸다한다. == 수상 == === 클럽 === * [[세리에 A]] 준우승 1회: 1930-31([[AS 로마]]) === 국가대표 === * FIFA 월드컵 우승 1회: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 * 올림픽 3위 1회: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1928]] === 개인 === * [[FIFA 월드컵]] 베스트 11 1회: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 * AS 로마 명예의 전당 [각주] [[분류:1904년 출생]][[분류:1922년 데뷔]][[분류:1944년 은퇴]][[분류:1947년 사망]][[분류:이탈리아의 축구선수]][[분류:AS 로마/은퇴, 이적]][[분류:SS 라치오/은퇴, 이적]][[분류:SSC 바리/은퇴, 이적]][[분류:칼초 카타니아/은퇴, 이적]][[분류: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FIFA 월드컵 우승 선수]][[분류:이탈리아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로마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