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주왕복선)] ||||<:>'''{{{#FFD700 Space Shuttle Atlantis}}}'''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d82a535fec9177911608928de9d6b57--america-america-space-shuttle.jpg|width=100%]]}}} || |||| '''{{{#FFD700 [[STS-135]] 임무를 위해 발사 중인 아틀란티스}}}''' || || '''궤도선 제식번호''' || OV-104 || || '''사용국'''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계약일''' || 1979년 1월 29일 || || '''이름을 따온 곳''' || [[RV]] 아틀란티스호 || || '''최초 비행 임무''' || [[STS-51-J]] || || '''최초비행일''' || 1985년 10월 3일 ~ 1985년 10월 7일 || || '''최후 비행 임무''' || [[STS-135]] || || '''최후비행일''' || 2011년 7월 8일 ~ 2011년 7월 20일 || || '''수행 임무 수''' || 33회 (~STS-135) || || '''총탑승 인원 수''' || 195명 (~STS-135) || || '''우주 체류 일수''' || 293일 18시간 29분 37초 || || '''지구 주회 횟수''' || 4,648회 (~STS-132) || || '''총 비행 거리''' || 194,168,813km (~STS-132) || || '''발사 위성 수''' || 14기 || || '''[[미르 우주정거장|미르]] 도킹 횟수''' || 7 || || '''[[ISS]] 도킹 횟수''' || 12 || || '''상태''' || 퇴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30년 셔틀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한 우주왕복선''' [[NASA]]가 운영하던 5대의 우주왕복선 중 4호기이자 현재 퇴역한 3대 중 하나이다.[* 다른 두대는 3호기인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디스커버리]]와 5호기인 [[엔데버 우주왕복선|엔데버]]이다. 1호기인 [[컬럼비아 우주왕복선|컬럼비아]]와 2호기인 [[챌린저 우주왕복선|챌린저]]는 [[STS-51-L|사고로]] [[STS-107|파괴되었다.]]] 2007년 초 NASA는 2010년까지 아틀란티스를 발사한다던 계획을 뒤집고 2011년 7월 8일 발사했다. 아틀란티스호의 이번 비행은 '''미국 우주왕복선의 135번째 비행이자 마지막 비행'''이다. 아틀란티스는 발사후 우주정거장 도킹에 성공해 12일간 임무를 수행한 뒤 21일 지구로 돌아왔다. NASA의 우주왕복선 프로젝트의 끝을 아틀란티스의 마지막 임무인 STS-135로 마무리지었다. == 임무 == 첫 미션은 국방부 기밀 미션인 [[STS-51-J]]. 초대 사령관은 MOL 출신의 보 밥코. 마지막 [[STS-135]] 미션 사령관은 크리스토퍼 퍼거슨. 국방부 기밀 미션 STS-27에서 공중분해될 뻔 했으나 무사히 귀환. STS-30과 STS-34에서 마젤란과 [[갈릴레오(탐사선)|갈릴레오]]를 발사하고 [[미르 우주정거장|미르]]와의 합작 프로그램에서 9번의 도킹 중 7번을 혼자 하는 등 크게 활약했으며 [[STS-125|허블 우주 망원경 최후의 서비스 미션]]을 수행. 2011년 7월 8일 오전 11시 29분(현지시간)에 STS-135 미션을 위해 마지막 비행을 시작, 2011년 7월 21일 오전 5시 56분(현지시간) 성공적으로 귀환하고 퇴역 == 퇴역 이후 ==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 방문객 시설에서 실내 전시중이다. 작은 이벤트를 겸한 전시이므로 의외로 시간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입장권에 포함된 발사장과 [[새턴 V]] 전시장(!!)까지의 버스 투어 까지 겸하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 되므로 시간 계산을 잘 해야 한다. 우주덕이 아닌 일반인이라도 큰 감동을 느낄 수 있으니 꼭 보길 권한다. 인터넷에 수많은 스포일러가 있으니 지나친 검색은 하지 말고 관람 하길 추천. == 기타 == * 우주왕복선 중에는 최초로 글래스 콕핏을 사용한 미션을 수행했다. 2001년 STS-101 미션이었다. 이후 다른 우주왕복선들도 글래스 콕핏으로 개조되었다. * [[ISS]]의 건설 미션들을 담당했던 셔틀 중 하나였다. STS-118부터는 우주왕복선이 ISS의 전력을 끌어다 쓸 수 있었는데 유일하게 아틀란티스만은 이 장치가 없어서 계속 3개의 연료전지에 의존해야했다. 그로 인해서 14일만 임무수행이 가능했었다. 해당 장치를 쓰는 나머지 [[엔데버 우주왕복선|두]][[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대]]는 22여 일 정도 미션 수행이 가능했다. 이 우주왕복선은 원래 54일이라는 최단 재사용 기간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2020년, [[팰컨 9]]이 51일만에 재사용되며, 이 기록은 깨졌다 == 갤러리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Atlantis_taking_off_on_STS-27.jpg]] || || STS-27의 발사 장면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Atlantis_on_Shuttle_Carrier_Aircraft.jpg]] || || 1998년, 우주 왕복선 [[보잉 747|수송기]]에 실려 비행 중인 아틀란티스 ||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우주왕복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