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데이비드 리치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233540 '''{{{+1 아토믹 블론드}}}''' (2017)[br]''Atomic Blonde''}}}[br][[파일:아토믹 블론드 국내 메인.jpg|width=100%]] || || {{{#ffffff '''장르'''}}} ||[[액션]], [[스릴러]], [[첩보물|첩보]], [[느와르]]|| || {{{#ffffff '''원작'''}}} ||안소니 존스턴, 샘 하트 - 그래픽 노블 《가장 추운 도시》 || || {{{#ffffff '''감독'''}}} ||[[데이비드 리치]]|| || {{{#ffffff '''각본'''}}} ||커트 존스태드|| || {{{#ffffff '''제작'''}}} ||[[샤를리즈 테론]][br]베스 코노[br]A. J. 딕스[br]에릭 기터[br]피터 슈워린[br]켈리 맥코믹|| || {{{#ffffff '''출연'''}}} ||[[샤를리즈 테론]][br][[제임스 매커보이]][br][[존 굿맨]][br][[틸 슈바이거]][br][[에디 마산]][br][[소피아 부텔라]][br]롤랜드 묄러[br][[토비 존스]] 외|| || {{{#ffffff '''촬영'''}}} ||조나단 셀러|| || {{{#ffffff '''편집'''}}} ||엘리자벳 로날드스도티르|| || {{{#ffffff '''음악'''}}} ||[[타일러 베이츠]]|| || {{{#ffffff '''제작사'''}}} ||87일레븐 프로덕션[br]시에라 픽처스[br]덴버 앤 데일라 프로덕션[br]클로즈드 앤 먼데이 엔터테인먼트[br]TGIM 필름스 || || {{{#ffffff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MPA No.50176] [[포커스 피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씨네그루]](주)[[키다리이엔티]]|| || {{{#ffffff '''개봉일자'''}}}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2017년]] [[7월 28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17년]] [[8월 30일]]|| || {{{#ffffff '''상영 시간''' }}} ||115분 (1시간 55분)|| || {{{#ffffff '''제작비'''}}} ||3,000만 달러||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 ||$51,687,870 (최종)||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 ||$100,014,025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수''' }}} ||155,368명 (최종)|| || {{{#ffffff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각국 최고의 스파이가 베를린에 모였다!''' >'냉전시대 스파이 전쟁의 주무대가 된 베를린, MI6의 요원을 살해하고 핵폭탄급 정보를 담고 있는 전 세계 스파이 명단을 훔쳐 달아난 이중 스파이>'를 잡기 위해 MI6 최고의 요원 ‘로레인’이 급파된다. 각국의 스파이들은 명단을 차지하기 위해 혈안이 되고, 로레인 역시 동독과 서독을 오가며 미션을 수행한다. 하지만 생각지도 못한 음모로 인해 정체가 밝혀져 목숨까지 위협받게 되고, 마침내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하루 전날 결전의 밤을 '맞이하는데... >'누구도 믿을 수 없는 상황, 미션을 완수할 수 있을 것인가![* 출처: 네이버] 안소니 존스턴, 샘 하트의 [[그래픽 노블]]인 《가장 추운 도시》(The Coldest City)를 원작으로 한 [[스파이]] 영화. 영화 제목도 원작과 똑같았으나 제작 중에 현재의 제목으로 바뀌었다. [[1989년]]에 유행한 패션아이템이나 기물을 거의 집착적으로 고증해놨는데 작 중 [[KGB]] 간부 브레모비치가 박살내는 [[boombox|붐박스]]조차 그 당시 동서독의 스테디셀러였던 샤프 GF-5454를 그대로 고증해놨다. 다만 옥의 티로서 제임스 포크너가 연기한 C의 안경은 [[톰 포드]] 브랜드로서 톰포드 안경라인은 [[2000년대]]에 출시되었다. == 출연진 == * [[샤를리즈 테론]] - [[로레인 브로튼]] * [[제임스 매커보이]] - 데이비드 퍼시벌 * [[소피아 부텔라]] - 델핀 라살 * [[존 굿맨]] - 에밋 커츠펠드 * [[토비 존스]] - 에릭 그레이 * [[빌 스카스가드]] - 메르켈 * [[에디 마산]][* [[데드풀 2]]에서 에섹스 보육원 원장 역으로 출연했다. [[분노의 질주: 홉스 & 쇼]]에도 안드레이코 교수 역으로 출연함으로써 데이비드 리치 감독 영화에 세편이나 출연하였다.] - 스파이글래스 * 제임스 포크너[*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에서 [[매그니토]]에게 금니가 뽑히는 은행장 역을 맡았다.] - C * 롤란 묄레르 - 알렉산드르 브레모비치 * [[샘 하그레이브]][* 본작의 무술감독도 겸했다.] - 제임스 개스코인 * [[틸 슈바이거]] - 시계 제작자 * 바르바라 수코바 - 시체 검시관 == 예고편 == ||
[youtube(PzlP0Z9AlV8)]|| || 공식 예고편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tomic-blonde, critic=63, user=6.7)]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tomic_blonde_2017, tomato=79, popcorn=64)] [include(틀:평가/IMDb, code=tt2406566, user=6.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tomic-blonde, user=3.3)]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714564, user=6.43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1036, user=3.5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24895, user=7.2)]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386034, user=7.2)]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93v7e, user=3.3)]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071, light=86.36)]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44215, expert=6.43, audience=8.05, user=7.89)]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9831, expert=6.6, user=7.4)] [include(틀:평가/CGV, code=79834, egg=90)] == 흥행 == 북미 5,100만 달러, 전세계 1억 달러로 제작비의 3배 정도의 흥행을 기록했다. 대박은 아니지만 [[유니버설 픽처스]]가 아닌 스페셜티 디비전인 [[포커스 피처스]] 배급이라서 마케팅에 소극적이었고 마케팅비가 적었기 때문에 나름 중박 이상이라고 볼 수 있다.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3,122명 || 3,122명 || -위 || 25,706,000원 || 25,706,000원 || ||<|7> {{{#ffffff 1주차}}} ||2017-08-30. 1일차(수) || 27,662명 ||<|7> 137,481명 || 6위 || 163,448,800원 ||<|7> 1,038,118,092원 || ||2017-08-31. 2일차(목) || 17,058명 || 6위 || 123,091,300원 || ||2017-09-01. 3일차(금) || 18,384명 || 6위 || 151,734,559원 || ||2017-09-02. 4일차(토) || 25,640명 || 7위 || 214,988,333원 || ||2017-09-03. 5일차(일) || 22,783명 || 8위 || 191,408,800원 || ||2017-09-04. 6일차(월) || 11,574명 || 6위 || 85,333,600원 || ||2017-09-05. 7일차(화) || 11,258명 || 6위 || 82,406,700원 || ||<|7> {{{#ffffff 2주차}}} ||2017-09-06. 8일차(수) || 2,476명 ||<|7> 16,341명 || 11위 || 18,089,500원 ||<|7> 127,875,166원 || ||2017-09-07. 9일차(목) || 1,972명 || 14위 || 14,654,300원 || ||2017-09-08. 10일차(금) || 2,441명 || 12위 || 20,865,833원 || ||2017-09-09. 11일차(토) || 3,645명 || 13위 || 27,926,233원 || ||2017-09-10. 12일차(일) || 2,882명 || 15위 || 24,630,100원 || ||2017-09-11. 13일차(월) || 1,480명 || 13위 || 10,977,700원 || ||2017-09-12. 14일차(화) || 1,445명 || 13위 || 10,731,500원 || ||<|7> {{{#ffffff 3주차}}} ||2017-09-13. 15일차(수) || 1,107명 ||<|7> 1,393명 || 15위 || 7,919,900원 ||<|7> 10,494,900원 || ||2017-09-14. 16일차(목) || 17명 || 97위 || 132,000원 || ||2017-09-15. 17일차(금) || 46명 || 74위 || 423,500원 || ||2017-09-16. 18일차(토) || 85명 || 68위 || 848,500원 || ||2017-09-17. 19일차(일) || 53명 || 65위 || 505,000원 || ||2017-09-18. 20일차(월) || 46명 || 62위 || 355,500원 || ||2017-09-19. 21일차(화) || 39명 || 72위 || 310,500원 || ||<|7> {{{#ffffff 4주차}}} ||2017-09-20. 22일차(수) || 51명 ||<|7> 155명 || 65위 || 400,500원 ||<|7> 1,254,500원 || ||2017-09-21. 23일차(목) || 7명 || 115위 || 63,000원 || ||2017-09-22. 24일차(금) || 14명 || 108위 || 117,000원 || ||2017-09-23. 25일차(토) || 34명 || 101위 || 285,000원 || ||2017-09-24. 26일차(일) || 27명 || 98위 || 219,000원 || ||2017-09-25. 27일차(월) || 9명 || 92위 || 65,000원 || ||2017-09-26. 28일차(화) || 13명 || 99위 || 105,00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155,368명, 누적매출액 1,117,725,658원'''[* ~ 2017/09/26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일 경우 볼드체 칠해주시기 바랍니다. === [[북미]] === 첫 주말에 4위에 그쳤다. == 기타 == *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에 비해 폭력 묘사가 소프트하다. 잔혹함보다 사실적인 묘사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추격 및 액션 장면을 관람하는데 큰 무리는 없다. * 중후반부 샤를리즈 테론의 [[롱테이크]] 액션신이 호평받고 있다. 실제 촬영과 편집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지만 절묘한 편집과 촬영기법 덕분에 관객들은 전혀 눈치챌 수 없다. [[육탄전]], [[칼부림]]부터 총격전까지 이 영화가 추구하는 사실 액션의 진수를 보여준다. 특히 계단 액션신에서부터 계속 되는 액션은 숨쉬는 것도 잊어버릴 기세로 처절한 격투가 펼쳐진다. 총격전만큼이나 육탄전의 비중이 높다. 여타 스파이 액션영화에서 보여주는 깔끔하고 절제된 무술장면이 아니라 다들 주변에 손에 잡히는 것 아무거나 닥치는대로 휘둘러대고, 다쳐서 몸을 제대로 가누지도 못하면서도 어찌저찌 마구 싸우는 은근히 현실적인 개싸움이라는 게 특징. [[주인공]]이 일단 승리하긴 하지만 마찬가지로 여기저기 찢어지고 터져서 악으로 버티고 이겼다는 느낌이 물씬난다. 촬영 전에 테론은 2달간 스턴트 및 무술 지도를 빡세게 받았다. * 속편은 넷플릭스에서 제작될 예정이다.[[https://comicbook.com/movies/2020/04/09/atomic-blonde-2-netflix-charlize-theron/|#]] * 제작자 중 한명인 데이비드 길로드가 성폭행을 저질러 긴급체포 되었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0110200013872409ecba8d8b8_1/article.html?md=20201102000411_R|#]]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 그 전에도 몆번 성범죄를 저질른적이 있다며 피해자들이 폭로하고 있고 이에 경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미국의 첩보 영화]][[분류:냉전/창작물]][[분류:2017년 영화]][[분류:데이비드 리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