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케비의 세일러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ffffff, .5px 0 #ffffff, 0 .5px #ffffff, -.5px 0 #ffffff, -.5px -.5px #ffffff, .5px -.5px #ffffff, .5px .5px #ffffff, -.5px .5px #ffffff, 0 0 5px #ffffff, 0 0 5px #ffffff" '''{{{+1 아케비의 세일러복}}}''' (2022)[br]明日ちゃんのセーラー服[br]Akebi's Sailor Unifor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케비의_세일러복_키비주얼.jpg|width=100%]]}}} || ||<-2> {{{#221814,#221814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221814,#221814 장르}}}''' ||[[학원물|학원]], [[일상물|일상]] || || '''{{{#221814,#221814 원작}}}''' ||[[히로(만화가)|히로]] || || '''{{{#221814,#221814 감독}}}''' ||[[쿠로키 미유키]] || || '''{{{#221814,#221814 시리즈 구성}}}''' ||<|2>야마자키 리노(山崎莉乃) || || '''{{{#221814,#221814 각본}}}''' || || '''{{{#221814,#221814 캐릭터 디자인}}}''' ||[[코노 메구미]] || || '''{{{#221814,#221814 서브 캐릭터 디자인}}}''' ||[[카와카미 타이시]][br][[안노 마사토]] || || '''{{{#221814,#221814 총 작화감독}}}''' ||[[코노 메구미]][br][[카와카미 타이시]][br][[안노 마사토]] || || '''{{{#221814,#221814 미술 감독}}}''' ||우스이 히사요(薄井久代)[br]모리야스 야스나오(守安靖尚) || || '''{{{#221814,#221814 미술 설정}}}''' ||시오자와 요시노리(塩澤良憲) || || '''{{{#221814,#221814 색채 설계}}}''' ||요코타 아스카(横田明日香) || || '''{{{#221814,#221814 촬영 감독}}}''' ||카와시타 유키(川下裕樹) || || '''{{{#221814,#221814 3D 디렉터}}}''' ||[[미야하라 요헤이]] || || '''{{{#221814,#221814 캐릭터 리터치}}}''' ||캡슐(カプセル) || || '''{{{#221814,#221814 편집}}}''' ||사이토 아카리(齋藤朱里) || || '''{{{#221814,#221814 음향 감독}}}''' ||하마노 타카토시(濱野高年) || || '''{{{#221814,#221814 음악}}}''' ||우타타네 카나(うたたね歌菜) || || '''{{{#221814,#221814 음악 제작}}}''' ||[[애니플렉스]] || || '''{{{#221814,#221814 제작총괄}}}''' ||시미즈 아키라(清水 暁) || || '''{{{#221814,#221814 프로듀서}}}''' ||이시카와 타츠야(石川達也)[br]이시야마 타카히로(石山貴大)[br]마츠이 유코(松井優子) || || '''{{{#221814,#221814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쿠시마 유이치]] || || '''{{{#221814,#221814 애니메이션 제작}}}''' ||[[CloverWorks]] || || '''{{{#221814,#221814 제작}}}''' ||'''{{{#221814,#221814 {{{#e5908d,#e5908d 아케비}}}의 {{{#e5908d,#e5908d 세일러}}}복}}}''' [[제작위원회]] || || '''{{{#221814,#221814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2년 1월|2022. 01. 09.]] ~ 2022. 03. 27. || || '''{{{#221814,#221814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일) 00:30[* 7화 한정 00:32에 방영.][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br](일) 02:00^^LIVE^^[br](일) 22:30^^TV^^[* 1화는 22:00에 방영.] || || '''{{{#221814,#221814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592|▶]][br][[Laftel]] [[https://laftel.net/item/40682|▶]][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81410|▶]] || || '''{{{#221814,#221814 편당 러닝타임}}}''' ||24분 || || '''{{{#221814,#221814 화수}}}''' ||12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2 {{{#ffffff (주제, 선정성)}}}}}} || || '''{{{#221814,#221814 관련 사이트}}}''' ||[[https://akebi-chan.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kebi_chan)] | [[https://instagram.com/akebichan_no_inst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nz2BN0Kst4i1w_xGkyRd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 [[아케비의 세일러복]]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쿠로키 미유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2년 1월|2022년 1월]]. == 공개 정보 ==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2sUk9wGn5VE, width=100%)]}}} || || '''컨셉 무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2kTPtVWORs,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X1NO_8Ycuk, width=100%)]}}} || || '''PV 제2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wXqfbQEm3jA, width=100%)]}}} || || '''애니플러스 PV'''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아케비의세일러복_애니티저비주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아케비의세일러복_애니키비주얼1탄.jpg|width=100%]]}}} || || '''{{{#221814,#221814 티저 비주얼}}}''' || '''{{{#221814,#221814 키 비주얼 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아케비의세일러복_애니키비주얼2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아케비의세일러복_애니키비주얼3탄.jpg|width=100%]]}}} || || '''{{{#221814,#221814 키 비주얼 2탄}}}''' || '''{{{#221814,#221814 키 비주얼 3탄}}}''' || == 줄거리 == >무대는, 시골의 명문 여학교 사립 로우바이 학원. >어떤 계기로 이 학원의 세일러복을 입는 것이 '꿈'이었던 소녀, [[아케비 코미치]]. >소원을 이루어 설렘과 함께 입학식 당일을 맞이했지만... > >'저는 세일러복을 입을래요' > >굳게 결심하고, 꿈의 중학교 생활이 시작된다♪ >반 친구들, 급식, 부활동... >모든 게 '처음'인 매일에 코미치는 최선을 다해 즐긴다. >소녀들의, 반짝반짝 빛나는 청춘 일기. > >'친구가 많이 생길까?'. >---- >'' [[https://www.aniplustv.com/|애니플러스]]'' == [[아케비의 세일러복/등장인물|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케비의 세일러복/등장인물)] ||
'''{{{#221814,#221814 {{{#!html 등장인물}}}}}}''' || '''{{{#221814,#221814 {{{#!html 성우}}}}}}''' || || '''[[아케비 코미치]]''' || [[무라카미 마나츠]] || || '''[[키자키 에리카]]''' || [[아마미야 소라]] || || '''[[우사기하라 토우코]]''' || [[키토 아카리]] || || '''[[코죠 토모노]]''' || [[와카야마 시온]] || || '''타니가와 케이''' || [[세키네 아키라]] || || '''와시오 히토미''' || [[이시가미 시즈카]] || || '''미나가미 리리''' || [[이시카와 유이]] || || '''히라이와 호타루''' || [[아사쿠라 모모]] || || '''시죠 리오나''' || [[타도코로 아즈사]] || || '''카미모쿠 네코''' || [[이토 미쿠]] || || '''타츠모리 아이''' || [[이세 마리야]] || || '''토게구치 아유미''' || [[미카미 시오리]] || || '''헤비모리 오시즈''' || [[칸베 미츠호]] || || '''나와시로 야스코''' || [[혼도 카에데]] || || '''토가노 마이''' || [[시라이시 하루카]] || || '''오오쿠마 미노루''' || [[코하라 코노미]] || || '''아케비 유와''' || [[하나자와 카나]] || || '''아케비 카오''' || [[쿠노 미사키]] || || '''아케비 사토''' || [[미카미 사토시]] || || '''후쿠모토 미키''' || [[사이토 슈카]] || == [[아케비의 세일러복#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케비의 세일러복, 앵커=설정)] == 음악 == === 주제가 === ==== O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OP}}}}}}[br]{{{#221814,#221814 {{{#!html はじまりのセツナ}}}}}}[br]{{{#221814,#221814 {{{#!html 시작의 찰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doKKoHQmTI, width=100%)]}}} || ||<-2> '''{{{#221814,#221814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OsipW4YPxs, width=100%)]}}} || ||<-2> '''{{{#221814,#221814 Lyric Video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UXPY-tqpTA, width=100%)]}}} || ||<-2> '''{{{#221814,#221814 Full ver.}}}''' || || '''노래''' || 로우바이 학원 중등부 1학년 3반(蠟梅学園中等部1年3組) || || '''작사''' ||<|3> [[스기야마 카츠히코]]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쿠로키 미유키]] || || '''연출''' || || '''작화감독''' || [[코노 메구미]][br][[카와카미 타이시]] || || '''원화''' ||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 [[니시고리 아츠시]], [[야마구치 사토시]], [[츠지 마사토시]], [[나카무라 쇼코]] 등 || }}}}}}}}} || ||<-2> {{{#!folding 가사 ▼ ||
'''時間が止まれば 良いのになって思うよ''' || || 지칸가 토마레바 이이노니 낫테 오모우요 || ||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 || '''まだ何も知らない同士なのに''' || || 마다 나니모 시라나이 도오시나노니 || || 아직 아무것도 모르는 사이인데 || || '''どうしてなの? もう君のことが好き''' || || 도오시테나노 모오 키미노 코토가 스키 || || 어째서일까? 벌써 네가 좋아 || || '''はじまりのセツナ''' || || 하지마리노 세츠나 || || 시작의 찰나 || || '''見慣れてない景色がキラリ光った''' || || 미나레테나이 케시키가 키라리 히캇타 || || 익숙하지 않은 풍경이 반짝하고 빛났어 || || '''君が名前を呼んでくれたからだよ''' || || 키미가 나마에오 욘데쿠레타카라다요 || || 네가 이름을 불러줬기 때문이야 || || '''クラスメートじゃなく 友達になりたい''' || || 쿠라스메에토자 나쿠 토모다치니 나리타이 || || 그냥 반 친구가 아닌 친한 친구가 되고 싶어 || || '''君に思っていたの 密かにずっと''' || || 키미니 오못테이타노 히소카니 즛토 || || 널 생각하고 있었어 남몰래 계속 || || '''もっと知りたい もっと知って欲しい''' || || 못토 시리타이 못토 싯테 호시이 || || 좀 더 알고 싶어 좀 더 알아줬으면 좋겠어 || || '''話さえぎるチャイム 夕日に染まる君''' || || 하나시 사에기루 차이무 유우히니 소마루 키미 || || 대화를 가로막는 종소리 저녁놀에 물드는 너 || || '''バイバイって言いたくない''' || || 바이바이테 이이타쿠 나이 || || 바이바이라고 말하고 싶지 않아 || || '''時間が止まれば 良いのになって思うよ''' || || 지칸가 토마레바 이이노니 낫테 오모우요 || ||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 || '''まだ何も知らない同士なのに''' || || 마다 나니모 시라나이 도오시나노니 || || 아직 아무것도 모르는 사이인데 || || '''どうしてなの? もう君のことが好き''' || || 도오시테나노 모오 키미노 코토가 스키 || || 어째서일까? 벌써 네가 좋아 || || '''はじまりのセツナ''' || || 하지마리노 세츠나 || || 시작의 찰나 || || '''大きく手を振る 君がとても綺麗で''' || || 오오키쿠 테오 후루 키미가 토테모 키레에데 || || 크게 손을 흔드는 네가 너무 아름다워서 || || '''振り返すことも忘れそうだよ''' || || 부리카에스 코토모 와스레소오다요 || || 화답하는 것도 잊어버릴 것 같아 || || '''どうしてなの? もう君のことが好き''' || || 도오시테나노 모오 키미노 코토가 스키 || || 어째서일까? 이젠 네가 좋아 || || '''きらめきのセツナ''' || || 키라메키노 세츠나 || || 반짝임의 찰나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roubai-gakuen-chuutoubu-ichinen-sangumi/hajimari-no-setsuna/|[[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8d0a3c,#8d0a3c LYRICAL NONSENSE}}}]]''' || }}} || ====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ED}}}}}}[br]{{{#221814,#221814 {{{#!html Bat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GfqZi1e1jY, width=100%)]}}} || ||<-2> '''{{{#221814,#221814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B-cLiYsRwY, width=100%)]}}} || ||<-2> '''{{{#221814,#221814 Full ver.}}}''' || || '''노래''' || [[아케비 코미치]](CV.[[무라카미 마나츠]]) || || '''작사''' ||<|3> 나카노 료타(中野領太)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3> [[나카무라 쇼코]] || || '''연출''' || || '''1인 원화''' || }}}}}}}}} || ||<-2> {{{#!folding 가사 ▼ ||
'''冒険みたいに帰り道を''' || || 보오켄미타이니 카에리미치오 || || 모험처럼 돌아가는 길을 || || '''君となら ほら なんでも 楽しめるから''' || || 키미토나라 호라 난데모 타노시메루카라 || || 너와 함께라면 이렇게 뭐든지 즐길 수 있으니까 || || '''気ままに決めて 気楽に歩こう''' || || 키마마니 키메테 키라쿠니 아루코오 || || 마음 가는 대로 정하고 편하게 걸어가 보자 || || '''いつか つながる 帰る場所''' || || 이츠카 츠나가루 카에루 바쇼 || || 언젠가 이어질 돌아갈 장소 || || '''ああ こだまする言葉''' || || 아아 코다마스루 코토바 || || 아아 메아리치는 말 || || '''ああ 風に流されて''' || || 아아 카제니 나가사레테 || || 아아 바람 타고 흘러가서 || || '''ああ 鳥も歌うから''' || || 아아 토리모 우타우카라 || || 아아 새들도 노래하니까 || || '''集まる 仲間のうた''' || || 아츠마루 나카마노 우타 || || 모여드는 동료의 노래 || || '''夕暮れの空 飛行機雲''' || || 유우구레노 소라 히코오키 쿠모 || || 해 질 녘의 하늘 비행기 구름 || || '''私たちの笑い声''' || || 와타시타치노 와라이고에 || || 우리의 웃음소리 || || '''絵を描くみたいに 毎日に 色重ねて''' || || 에오 에가쿠미타이니 마이니치니 이로오 카사네테 || ||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매일매일에 색을 칠해서 || || '''思い出はきっと 今が一番 輝いてるから''' || || 오모이데와 킷토 이마가 이치반 카가야이테이루카라 || || 추억은 분명히 지금 제일 빛나고 있으니까 || || '''大切にそっと 抱き締めて 眠りにつく''' || || 타이세츠니 솟토 다키시메테 네무리니 츠쿠 || || 소중하게 살며시 품에 안고 잠들고 있어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komichi-akebi/baton/|[[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8d0a3c,#8d0a3c LYRICAL NONSENSE}}}]]''' || }}} || 엔딩은 교복이 바뀌기 이전의 로우바이 학원의 모습을 그렸다고 한다. ==== 4화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4화 ED}}}}}}[br]{{{#221814,#221814 {{{#!html 風にまかせて}}}}}}[br]{{{#221814,#221814 {{{#!html 바람에 맡기고}}}}}}'''}}}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_gCFBosc6Go, width=100%)]}}} || ||<-2> '''{{{#221814,#221814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JBaBY4uUvY, width=100%)]}}} || ||<-2> '''{{{#221814,#221814 Full ver.}}}''' || || '''노래''' || [[아케비 코미치]](CV.[[무라카미 마나츠]]) || || '''작사''' ||<|2> shirosagi || || '''작곡''' || || '''편곡''' || 타카하시 코이치로(高橋浩一郎)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4> [[아사카 카즈유키]] || || '''연출''' || || '''작화''' || || '''채색''' || }}}}}}}}} || ||<-2> {{{#!folding 가사 ▼ ||
'''桜舞う裏道を抜けて''' || || 사쿠라 마우 우라미치오 누케테 || || 벚꽃 흩날리는 뒷길을 빠져나와서 || || '''入り組んだ登り坂を越えたら''' || || 이리쿤다 노보리자카오 코에타라 || || 복잡하게 얽힌 오르막길을 넘으면 || || '''見たことない世界広がって''' || || 미타 코토 나이 세카이 히로갓테 || || 본 적 없는 세계가 펼쳐지고 || || '''始まりを告げるストーリー''' || || 하지마리오 츠게루 스토오리이 || || 시작을 알리는 스토리 || || '''いつも RUN & RUN, JUMP & JUMP!''' || || 이츠모 RUN & RUN, JUMP & JUMP! || || 언제나 RUN & RUN, JUMP & JUMP! || || '''楽しいコト探そう''' || || 타노시이 코토 사가소오 || || 즐거운 일을 찾아보자 || || '''爽快 燦々夢を照らせば''' || || 소오카이 산산 유메오 테라세바 || || 상쾌 찬란한 꿈을 비추면 || || '''想いが眩しく輝いてさ''' || || 오모이가 마부시쿠 카가야이테사 || || 마음이 눈부시게 빛나니까 || || '''口笛乗せて響いてくメロディ''' || || 쿠치부에 노세테 히비이테쿠 메로디 || || 휘파람 타고 울려 퍼지는 멜로디 || || '''My way 散々凹んだ時も''' || || My way 산잔 헤콘다 토키모 || || My way 한참 기죽어 있을 때도 || || '''繋いだ手がほら高鳴ってさ''' || || 츠나이다 테가 호라 타카낫테사 || || 맞잡은 손이 이렇게 가슴 뛰게 하니까 || || '''明日は来るから''' || || 아스와 쿠루카라 || || 내일은 올 테니까 || || '''風にまかせて歩いてゆこう''' || || 카제니 마카세테 아루이테유코오 || || 바람에 맡기고 걸어 나가자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komichi-akebi/kaze-ni-makasete/|[[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8d0a3c,#8d0a3c LYRICAL NONSENSE}}}]]''' || }}} || 원작의 줄넘기 에피소드를 4화의 ED로 만들었다. [[아사카 카즈유키]]가 연출과 작화와 채색을 혼자 했으며, 일본 줄넘기 협회로부터 참고 영상을 받아 와서 만들었다고 한다. === 삽입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2, 10화 삽입곡}}}}}}[br]{{{#221814,#221814 {{{#!html he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SBcyywHgOc, width=100%)]}}} || ||<-2> '''{{{#221814,#221814 Full ver.}}}''' || || '''노래''' || 후쿠모토 미키(CV.[[사이토 슈카]]) || || '''작사''' ||<|3> 스기야마 카츠히코(杉山勝彦) || || '''작곡'''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ねぇ見て ほら 空が綺麗''' || || 네에미테 호라 소라가 키레이 || || 저기 봐 봐 하늘이 예뻐 || || '''君は思うと同時に話す''' || || 키미와 오모우토 도오지니 하나스 || || 너는 생각하는 동시에 말했어 || || '''素直 ㅊできないな''' || || 스나오 마네시타쿠테모 데키나이나 || || 솔직히 따라하고 싶어도 못 하겠네 || || '''だって好きと 伝えたくて''' || || 닷테 스키토 츠타에타쿠테 || || 왜냐면 좋아한다고 전하고 싶어서 || || '''連れ出したのに言えないままだ''' || || 츠레다시타노니 이에나이 마마다 || || 데리고 나왔는데 말하지 못한 채야 || || '''はしゃぐ背中 放課後の遊歩道''' || || 하샤구 세나카 호오카고노 유우호도오 || || 들썩이는 뒤쪽 방과후의 산책길 || || '''振り向いた瞬間 おどける 天真爛漫''' || || 후리무이타 슌칸 오도케루 텐신란만 || || 뒤돌아보는 순간 익살스런 천진난만 || || '''風船のように用意した台詞は フワリ空へ飛んだ''' || || 후우센노요오니 요오이시타 세리후와 후와리 소라에 톤다 || || 풍선처럼 준비해둔 대사는 두둥실 하늘로 날아갔어 || || '''叫んでも叫んでも 足りないくらい好き''' || || 사켄데모 사켄데모 타리나이쿠라이 스키 || || 소리쳐도 소리쳐도 모자랄 정도로 좋아 || || '''けがれを知らない君 どうかそのままでいて''' || || 케가레오 시라나이 키미 도오카 소노 마마데 이테 || || 더러움을 모르는 너 부디 그대로 있어 줘 || || '''夢のない世界に ヒュルリ吹いたそよ風''' || || 유메노 나이 세카이니 휴루리 후이타 소요카제 || || 꿈 없는 세상에 휘휘 불었던 산들바람 || || '''揺れ動くスカートの裾が綺麗だと思った''' || || 유레우고쿠 스카아토노 스소가 키레이다토 오못타 || || 흔들리는 치맛자락이 예쁘다고 생각했어 || || '''セルフィー撮ろう って 寄り添う君''' || || 세루휘이 토로오테 요리소우 키미 || || 셀피 찍자 하고 다가붙는 너 || || '''肩が触れて高鳴る鼓動''' || || 카타가 후레테 타카나루 코도오 || || 어깨가 닿아 크게 울리는 고동 || || '''君は全然 動揺しないんだね''' || || 키미와 젠젠 도오요오시나인다네 || || 너는 전혀 동요하지 않는구나 || || '''友達のひとり 出逢ってずっとのカテゴリー''' || || 토모다치노 히토리 데앗테 즛토노 카테고리이 || || 친구 중 한명 만나고 줄곧 이 카테고리 || || '''ちっとも変ってないことがショックでもう行こうかと拗ねた''' || || 칫토모 카왓테나이 코토가 쇼쿠데 모오이코오카토 스네타 || || 조금도 변하지 않은 게 쇼크여서 "이제 갈까" 하고 토라졌어 || || '''走っても走っても どうしても届かない''' || || 하싯테모 하싯테모 도오시테모 토도카나이 || || 달려도 달려도 아무리 해도 닿지 않아 || || '''近くて遠い君 どうかこっちを向いて''' || || 치카쿠테 토오이 키미 도오카 콧치오 무이테 || || 가깝고도 먼 너 부디 이쪽을 봐 줘 || || '''どうしようもないこと どうにかしようとして''' || || 도오 시요오모 나이 코토 도오니카 시요오토 시테 || || 어쩔 수 없는 걸 어떻게든 하려고 하다가 || || '''痛んだ胸の奥 切なさの意味を知った''' || || 이탄다 무네노 오쿠 세츠나사노 이미오 싯타 || || 아픈 가슴속 애틋함의 의미를 알았어 || || '''セーラー服 さらっと着て 君は今無敵だよ''' || || 세에라아후쿠 사랏토 키테 키미와 이마 무테키다요 || || 세일러복 깨끗이 입고 넌 지금 무적이야 || || '''たとえ世界中探しても それ以上 似合うドレスはないんだ''' || || 타토에 세카이추우 사가시테모 소레이조오 니아우 도레스와 나인다 || || 설령 온 세상을 찾아도 그 이상 어울리는 드레스는 없어 || || '''輝いてる''' || || 카가야이테루 || || 빛나고 있어 || || '''叫んでも叫んでも 足りないくらい好き''' || || 사켄데모 사켄데모 타리나이쿠라이 스키 || || 소리쳐도 소리쳐도 모자랄 정도로 좋아 || || '''けがれを知らない君 どうかそのままでいて''' || || 케가레오 시라나이 키미 도오카 소노 마마데 이테 || || 더러움을 모르는 너 부디 그대로 있어줘 || || '''夢のない世界に ヒュルリ吹いたそよ風''' || || 유메노 나이 세카이니 휴루리 후이타 소요카제 || || 꿈 없는 세상에 휘휘 불었던 산들바람 || || '''揺れ動くスカートの裾が綺麗だと思った''' || || 유레우고쿠 스카아토노 스소가 키레이다토 오못타 || || 흔들리는 치맛자락이 예쁘다고 생각했어 || || '''痛んだ胸の奥 切なさの意味を知った''' || || 이탄다 무네노 오쿠 세츠나사노 이미오 싯타 || || 아픈 가슴속 애틋함의 의미를 알았어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miki-fukumoto/hem/|[[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8d0a3c,#8d0a3c LYRICAL NONSENSE}}}]]'''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2화 삽입곡}}}}}}[br]{{{#221814,#221814 {{{#!html Delus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2SIDB_jjOc, width=100%)]}}} || ||<-2> '''{{{#221814,#221814 Full ver.}}}''' || || '''노래''' || 후쿠모토 미키(CV.[[사이토 슈카]]) || || '''작사''' ||<|3> 시라토 유스케(白戸佑輔) || || '''작곡'''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お腹が空いたときに食べたいものを''' || || 오나카가 스이타 토키니 타베타이 모노오 || || 배가 고플 때 먹고 싶은 것을 || || '''抗わずに素直にイメージしちゃうように''' || || 아라가와즈니 스나오니 이메에지시차우요오니 || || 거스르지 않고 솔직하게 상상하는 것 처럼 || || '''あなたの声もあなたの笑顔も食べものじゃない''' || || 아나타노 코에모 아나타노 에가오모 타베모노자 나이 || || 너의 목소리도 너의 미소도 먹을 것이 아니야 || || '''でも浮かんでくるの''' || || 데모 우칸데쿠루노 || || 하지만 떠오르는걸 || || '''恋モノに興味なかった''' || || 코이모노니 쿄오미나캇타 || || 사랑에 흥미 없었어 || || '''こたつより早い冬のドラマに''' || || 코타츠요리 하야이 후유노 도라마니 || || 코타츠보다 이른 겨울 드라마에 || || '''ふっとシンパシー 外を眺めてる''' || || 훗토 신파시이 소토오 나가메테루 || || 문득 동정심이 들어 밖을 내다보고 있어 || || '''イメージ lovin リップ (think you only)''' || || 이메에지 lovin 릿푸 (think you only) || || 상상 lovin 립 (think you only) || || '''あなたを部屋で (lookin on you)''' || || 아나타오 헤야데 (lookin on you) || || 너를 방에서 (lookin on you) || || '''一人妄想しちゃうんだ''' || || 히토리 모오소오시차운다 || || 혼자 망상해 버린다구 || || '''曖昧 lovin リップ (favorite lip)''' || || 아이마이 lovin 릿푸 (favorite lip) || || 애매 lovin 립 (favorite lip) || || '''人気のメロディ (say you love me)''' || || 닌키노 메로디 (say you love me) || || 인기 있는 멜로디 (say you love me) || || '''切なくフワフワ響くよ''' || || 세츠나쿠 후와후와 히비쿠요 || || 애달프게 둥둥 울려 || || '''部屋の端っこで今そわそわしてる''' || || 헤야노 하시코데 이마 소와소와 시테루 || || 방 가장자리에서 지금 안절부절못하고 있어 || || '''時計の針は少しだけとまどうけれど''' || || 토케에노 하리와 스코시다케 토마도우케레도 || || 시곗바늘은 조금 멈칫하지만 || || '''「会いにいきたい会いにいきたい!」''' || || 아이니 이키타이 아이니 이키타이 || || 「만나러 가고 싶어 만나러 가고 싶어!」 || || '''迷った気持ち確信にかわってく''' || || 마욧타 키모치 카쿠신니 카왓테쿠 || || 망설였던 마음 확신으로 변해가 || || '''どんな癖も自分らしさで勝負したいよ 私は私''' || || 돈나 쿠세모 지분라시사데 쇼오부시타이요 와타시와 와타시 || || 어떤 버릇도 나다움으로 승부하고 싶어 나는 나 || || '''約束なんてないけど 止まれないよ''' || || 야쿠소쿠난테 나이케도 토마레나이요 || || 약속같은건 없지만 멈출 수 없어 || || '''オレンジ lovin リップ (think you only)''' || || 오렌지 lovin 릿푸 (think you only) || || 오렌지 lovin 립 (think you only) || || '''お気に入りだった (lookin on you)''' || || 오키니이리닷타 (lookin on you) || || 즐겨찾기였어 (lookin on you) || || '''カラーで唇を彩る''' || || 카라아데 쿠치비루오 이로도루 || || 컬러로 입술을 물들여 || || '''曖昧 lovin リップ (favorite lip)''' || || 아이마이 lovin 릿푸 (favorite lip) || || 애매 lovin 립 (favorite lip) || || '''自信の無さも (say you love me)''' || || 지신노 나사모 (say you love me) || || 자신감 없음도 (say you love me) || || '''綺麗にフワフワきえたよ''' || || 키레에니 후와후와 키에타요 || || 깨끗하게 보송보송 사라졌어 || || '''隠したままの気持ち''' || || 카쿠시타 마마노 키모치 || || 숨긴 채의 마음 || || '''それで後悔したくないの''' || || 소레데 코오카이시타쿠 나이노 || || 그걸로 후회하고 싶지 않아 || || '''食べたいものと同じ''' || || 타베타이 모노토 오나지 || || 먹고 싶은 거랑 똑같아 || || '''抗えない気持ち''' || || 아라가에나이 키모치 || || 거스를 수 없는 감정 || || '''イメージ lovin リップ''' || || 이메에지 lovin 릿푸 || || 상상 lovin' 립 || || '''あなたを部屋で''' || || 아나타오 헤야데 || || 너를 방에서 || || '''一人妄想しちゃうんだ''' || || 히토리 모오소오시차운다 || || 혼자 망상해 버린다구 || || '''曖昧 lovin リップ (favorite lip)''' || || 아이마이 lovin 릿푸 (favorite lip) || || 애매 lovin 립 (favorite lip) || || '''人気のメロディ (say you love me)''' || || 닌키노 메로디 (say you love me) || || 인기 있는 멜로디 (say you love me) || || '''切なくフワフワ響くよ''' || || 세츠나쿠 후와후와 히비쿠요 || || 애달프게 둥둥 울려 || || '''今すぐ会いたい''' || || 이마 스구 아이타이 || || 지금 당장 만나고 싶어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miki-fukumoto/delusion/|[[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8d0a3c,#8d0a3c LYRICAL NONSENSE}}}]]'''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3화 삽입곡}}}}}}[br]{{{#221814,#221814 {{{#!html Illumin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kWpG5yrZMI, width=100%)]}}} || ||<-2> '''{{{#221814,#221814 Full ver.}}}''' || || '''노래''' || 후쿠모토 미키(CV.[[사이토 슈카]]) || || '''작사''' || 쿠리하라 사토루(栗原 暁) || || '''작곡''' || 쿠리하라 사토루(栗原 暁)[br]쿠보타 신고(久保田真悟) || || '''편곡''' || 쿠보타 신고(久保田真悟) || ||<-2> {{{#!folding 가사 ▼ ||
'''サンライズ&ムーンライズ''' || || 산라이즈 & 무운라이즈 || || 선라이즈 & 문라이즈 || || '''キミを照らす''' || || 키미오 테라스 || || 너를 비추는 || || '''混じり合う情熱で踊れ''' || || 마지리아우 조오네츠데 오도레 || || 어우러지는 정열로 춤을 춰 || || '''サンシャイン&ムーンライト''' || || 산샤인 & 무운라이토 || || 선샤인 & 문라이트 || || '''未来を照らす''' || || 미라이오 테라스 || || 미래를 비추는 || || '''二人の世界はイルミネーション''' || || 후타리노 세카이와 이루미네에숀 || || 두 사람의 세계는 일루미네이션 || || '''Lets Dive into the future 光の先へ''' || || Lets Dive into the future 히카리노 사키에 || || Lets Dive into the future 빛의 끝으로 || || '''(迷わずに Take it high)''' || || (마요와즈니 Take it high) || || (망설이지 말고 Take it high) || || '''Dive into the future まだ見ぬ景色を''' || || Dive into the future 마다 미누 케시키오 || || Dive into the future 아직 못 본 경치를 || || '''(どこまでも Fly to high)''' || || (도코마데모 Fly to high) || || (어디까지라도 Fly to high) || || '''誰もが羨むほどコンシャスな Body Line''' || || 다레모가 우라야무호도 콘샤스나 Body Line || || 누구나 부러워할 만큼 컨셔스한 Body Line || || '''Toxicに揺れるハイスペックなビーナスライン''' || || Toxic니 유레루 하이스펫쿠나 비이나스라인 || || Toxic하게 흔들리는 하이스펙한 비너스 라인 || || '''シックでカラフルでハイセンス''' || || 싯쿠데 카라후루데 하이센스 || || 시크하고 컬러풀하며 하이센스 || || '''冷静ときどき子供のような笑顔任せて''' || || 레에세에토키도키 코도모노요오나 에가오 마카세테 || || 냉정 때때로 아이같은 미소를 맡겨줘 || || '''Hey Foxyでスパイシーなガール ''' || || Hey Foxy데 스파이시이나 가아루 || || Hey Foxy에 스파이시한 걸 || || '''クールでパッションガール''' || || 쿠우루데 팟숀가아루 || || 쿨하고 패션걸 || || '''よそ見してたらお仕置きよ覚悟しなさい''' || || 요소미시테타라 오시오키요 카쿠고시나사이 || || 한눈 팔면 처벌이야 각오해 || || '''Hey FancyでShowyなガール''' || || Hey Fancy데 Showy나 가아루 || || Hey Fancy하고 Showy한 걸 || || '''ポジティブでパッションガール''' || || 포지티부데 팟숀가아루 || || 긍정적이고 패션걸 || || '''愛だけに愛が止まらない''' || || 아이다케니 아이가 토마라나이 || || 사랑에만 사랑이 멈추지 않아 || || '''サンライズ&ムーンライズ''' || || 산라이즈 & 무운라이즈 || || 선라이즈 & 문라이즈 || || '''キミを照らす''' || || 키미오 테라스 || || 너를 비추는 || || '''混じり合う情熱で踊れ''' || || 마지리아우 조오네츠데 오도레 || || 어우러지는 정열로 춤을 춰 || || '''サンシャイン&ムーンライト''' || || 산샤인 & 무운라이토 || || 선샤인 & 문라이트 || || '''未来を照らす''' || || 미라이오 테라스 || || 미래를 비추는 || || '''二人の世界はイルミネーション''' || || 후타리노 세카이와 이루미네에숀 || || 두 사람의 세계는 일루미네이션 || || '''Lets Dive into the future 光の先へ''' || || Lets Dive into the future 히카리노 사키에 || || Lets Dive into the future 빛의 끝으로 || || '''(迷わずに Take it high)''' || || (마요와즈니 Take it high) || || (망설이지 말고 Take it high) || || '''Dive into the future まだ見ぬ景色を''' || || Dive into the future 마다 미누 케시키오 || || Dive into the future 아직 못 본 경치를 || || '''(どこまでも Fly to high)''' || || (도코마데모 Fly to high) || || (어디까지라도 Fly to high) || || '''難攻不落なステージ 攻略はKeep your face''' || || 난코오후라쿠나 스테에지 코오랴쿠와 Keep your face || || 난공불락 스테이지 공략은 Keep your face || || '''レッスンでアドバンテージ 努力は裏切らない''' || || 렛슨데 아도반테에지 도료쿠와 우라기라나이 || || 레슨에서 어드밴티지 노력은 배신하지 않아 || || '''朝からFeel like dancin''' || || 아사카라 Feel like dancin || || 아침부터 Feel like dancin || || '''情熱ときどき大人の仕草も任せて''' || || 조오네츠 토키도키 오토나노 시구사모 마카세테 || || 정열 때때로 어른의 몸짓도 맡겨줘 || || '''Hey 私だけのStyle''' || || Hey 와타시다케노 Style || || Hey 나만의 Style || || '''振り向かずにTry''' || || 후리무카즈니 Try || || 뒤돌아보지 않고 Try || || '''夢だけは夢じゃ終われない''' || || 유메다케와 유메자 오와레나이 || || 꿈만은 꿈으로 끝날 수 없어 || || '''サンライズ&ムーンライズ''' || || 산라이즈 & 무운라이즈 || || 선라이즈 & 문라이즈 || || '''キミを包む''' || || 키미오 츠츠무 || || 너를 감싸는 || || '''響きあう鼓動で歌え''' || || 히비키아우 코도오데 우타에 || || 울려퍼지는 고동으로 노래해 || || '''サンシャイン&ムーンライト''' || || 산샤인 & 무운라이토 || || 선샤인 & 문라이트 || || '''奇跡が待つ''' || || 키세키가 마츠 || || 기적이 기다려 || || '''高まる想いはイルミネーション''' || || 타카마루 오모이와 이루미네에숀 || || 높아지는 마음은 일루미네이션 || || '''Everybody make me shine''' || || Everybody make me shine || || Everybody make me shine || || '''誰も知らない私''' || || 다레모 시라나이 와타시 || || 아무도 모르는 나 || || '''君だけに見せてあげるよ''' || || 키미다케니 미세테아게루요 || || 너에게만 보여줄게 || || '''サンライズ&ムーンライズ''' || || 산라이즈 & 무운라이즈 || || 선라이즈 & 문라이즈 || || '''キミを照らす''' || || 키미오 테라스 || || 너를 비추는 || || '''混じり合う情熱で踊れ''' || || 마지리아우 조오네츠데 오도레 || || 어우러지는 정열로 춤을 춰 || || '''サンシャイン&ムーンライト''' || || 산샤인 & 무운라이토 || || 선샤인 & 문라이트 || || '''未来を照らす''' || || 미라이오 테라스 || || 미래를 비추는 || || '''二人の世界はイルミネーション''' || || 후타리노 세카이와 이루미네에숀 || || 두 사람의 세계는 일루미네이션 || || '''Lets Dive into the future 光の先へ''' || || Lets Dive into the future 히카리노 사키에 || || Lets Dive into the future 빛의 끝으로 || || '''(迷わずに Take it high)''' || || (마요와즈니 Take it high) || || (망설이지 말고 Take it high) || || '''Dive into the future まだ見ぬ景色を''' || || Dive into the future 마다 미누 케시키오 || || Dive into the future 아직 못 본 경치를 || || '''(どこまでも Fly to high)''' || || (도코마데모 Fly to high) || || (어디까지라도 Fly to high) || || '''Dive into the future 光の先へ''' || || Dive into the future 히카리노 사키에 || || Dive into the future 빛의 끝으로 || || '''(迷わずに Take it high)''' || || (마요와즈니 Take it high) || || (망설이지 말고 Take it high) || || '''Dive into the future まだ見ぬ景色を''' || || Dive into the future 마다 미누 케시키오 || || Dive into the future 아직 못 본 경치를 || || '''(どこまでも Fly to high)''' || || (도코마데모 Fly to high) || || (어디까지라도 Fly to high) || || '''Lets dive!!''' || || Lets dive!! || || Lets dive!!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miki-fukumoto/illumination/|[[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8d0a3c,#8d0a3c LYRICAL NONSENSE}}}]]'''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7화 삽입곡}}}}}}[br]{{{#221814,#221814 {{{#!html チェリー}}}}}}[br]{{{#221814,#221814 {{{#!html 체리}}}}}}'''}}}[* 1996년에 발매된 [[스핏츠]]의 동명곡 커버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221814,#221814 Full ver.}}}''' || || '''노래''' || 헤비모리 오시즈(CV.[[칸베 미츠호]]) || || '''작사''' ||<|2> [[쿠사노 마사무네]] || || '''작곡'''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12화 삽입곡}}}}}}[br]{{{#221814,#221814 {{{#!html hem -After Party vers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Q6-2HqugIM, width=100%)]}}} || ||<-2> '''{{{#221814,#221814 Full ver.}}}''' || || '''아티스트''' || 우타타네 카나(うたたね歌菜) || OST [[https://twitter.com/Utatanekana/status/1507675283553353731|달려나가는 코미치]][* 원제: 駆け出す小路]를 연주한 작곡가 [[https://twitter.com/utatanekana|우타타네 카나]]가 담당했다.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야마자키 리노(山崎莉乃) ||
'''{{{#221814,#221814 {{{#!html 회차}}}}}}''' || '''{{{#221814,#221814 {{{#!html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221814,#221814 {{{#!html 콘티}}}}}}''' || '''{{{#221814,#221814 {{{#!html 연출}}}}}}''' || '''{{{#221814,#221814 {{{#!html 작화감독}}}}}}''' || '''{{{#221814,#221814 {{{#!html 총작화감독}}}}}}''' || '''{{{#221814,#221814 {{{#!html 방영일}}}}}}''' || || {{{-2 제1화}}} || {{{-2 あこがれのセーラー服[br]동경해 온 세일러복}}} || {{{-2 [[쿠로키 미유키]]}}} || {{{-2 쿠로키 미유키[br]츠즈키 하루카[br](都築 遥)}}} || {{{-2 [[코노 메구미]][br][[카와카미 타이시]]}}} ||<|2> {{{-2 코노 메구미}}} || {{{-2 日/韓^^LIVE,TV^^:[br]2022.01.09.}}} || || {{{-2 제2화}}} || {{{-2 また明日[br]내일 봐}}} ||<-2> {{{-2 [[카토 마코토]]}}} || {{{-2 [[안노 마사토]]}}} || {{{-2 日/韓^^LIVE,TV^^:[br]2022.01.16.}}} || || {{{-2 제3화}}} || {{{-2 部活はもう決めた?[br]동아리는 이미 정했어?}}} || {{{-2 [[나카무라 쇼코]]}}} || {{{-2 [[하라다 타카히로]]}}} || {{{-2 [[야에가시 요헤이]][br]나가사와 쇼코[br](長澤翔子)}}} ||<|4> {{{-2 코노 메구미[br]카와카미 타이시}}} || {{{-2 日/韓^^LIVE,TV^^:[br]2022.01.23.}}} || || {{{-2 제4화}}} || {{{-2 私のイメージ?[br]내 이미지?}}} || {{{-2 쿠로키 미유키}}} || {{{-2 츠즈키 하루카}}} || {{{-2 [[츠지 마사토시]]}}} || {{{-2 日/韓^^LIVE,TV^^:[br]2022.01.30.}}} || || {{{-2 제5화}}} || {{{-2 いっぱい知りたいなって[br]많이 알고 싶어서}}} || {{{-2 [[야세 유키]]}}} || {{{-2 마츠모토 요시히사[br](まつもとよしひさ)}}} || {{{-2 아리마 료타[br](有間涼太)[br]시미즈 히로유키[br](清水博幸)[br]박지승[br]YAN CHANG}}} || {{{-2 日/韓^^LIVE,TV^^:[br]2022.02.06.}}} || || {{{-2 제6화}}} || {{{-2 明日、お休みじゃないですか[br]내일, 휴일이잖아요}}} ||<-2> {{{-2 키쿠치 타카유키[br](菊池貴行)}}} || {{{-2 스에다 아키히로[br](末田晃大)[br]이이다 타케시[br](飯田剛士)}}} || {{{-2 日/韓^^LIVE,TV^^:[br]2022.02.13.}}} || || {{{-2 제7화}}} || {{{-2 聴かせてください[br]들려주세요}}} ||<-2> {{{-2 [[Moaang]]}}} || {{{-2 카와카미 타이시}}} || {{{-2 -}}} || {{{-2 日/韓^^LIVE,TV^^:[br]2022.02.20.}}} || || {{{-2 제8화}}} || {{{-2 次は勝ちたい[br]다음엔 이기고 싶어}}} || {{{-2 [[나가이 타츠유키]]}}} || {{{-2 야마모토 요스케[br](山本陽介)}}} || {{{-2 [[야마구치 사토시]][br]코이즈미 하츠에[br](小泉初栄)[br]코마츠 아사미[br](小松麻美)}}} ||<|2> {{{-2 안노 마사토[br]코노 메구미}}} || {{{-2 日/韓^^LIVE,TV^^:[br]2022.02.27.}}} || || {{{-2 제9화}}} || {{{-2 せ~のっ![br]하나 둘!}}} || {{{-2 [[마스나리 코지]]}}} || {{{-2 카미야 노조무[br](神谷望夢)}}} || {{{-2 스즈키 마사히코[br](鈴木政彦)[br]카미타케 유야[br](上武優也)[br]신구 유스케[br](新宮祐介)[br]MengSu Tsai[br](蔡 孟書)[br]타카하시 미즈키[br](髙橋瑞紀)}}} || {{{-2 日/韓^^LIVE,TV^^:[br]2022.03.06.}}} || || {{{-2 제10화}}} || {{{-2 ファイト! ファイト![br]파이팅! 파이팅!}}} || {{{-2 [[이레이 에리]]}}} || {{{-2 츠즈키 하루카}}} || {{{-2 타나카 유스케[br](田中裕介)[br]이이다 타케시[br]야에가시 요헤이}}} || {{{-2 코노 메구미[br]안노 마사토[br]카와카미 타이시}}} || {{{-2 日/韓^^LIVE,TV^^:[br]2022.03.13.}}} || || {{{-2 제11화}}} || {{{-2 同じ時間みんなと[br]같은 시간...모두와...}}} || {{{-2 [[미우라 타카히로]]}}} || {{{-2 [[우시지마 신이치로]]}}} || {{{-2 츠지 마사토시[br]스에다 아키히로}}} || {{{-2 코노 메구미[br]카와카미 타이시}}} || {{{-2 日/韓^^LIVE,TV^^:[br]2022.03.20.}}} || || {{{-2 제12화}}} || {{{-2 ひとりじゃないんだ[br]혼자가 아닌 거야}}} ||<-2> {{{-2 쿠로키 미유키[br]츠즈키 하루카}}} || {{{-2 야마구치 사토시[br]코마츠 아사미[br]오카다 히로나[br](岡田洋奈)[br]오카다 나오키[br](岡田直樹)}}} || {{{-2 코노 메구미[br]카와카미 타이시[br]안노 마사토}}} || {{{-2 日/韓^^LIVE,TV^^:[br]2022.03.27.}}} || ==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 감독 [[쿠로키 미유키]], 제작 프로듀서 [[후쿠시마 유이치]]의 인맥으로 실력 있는 애니메이터들이 에피소드마다 골고루 포진된 작품이다. 콘티, 연출, 작화감독에 대해서는 회차 목록 문단을 참고. ||
'''{{{#221814,#221814 {{{#!html 회차}}}}}}''' || '''{{{#221814,#221814 {{{#!html 원화}}}}}}''' || '''{{{#221814,#221814 {{{#!html 비고}}}}}}''' || || {{{-3 1화}}} || {{{-3 [[아오키 슌스케]], 미치시타 코타(道下康太), [[카와카미 타이시]], [[미노시마 아야카]], 츠즈키 하루카(都築 遥), 스즈키 후토시(鈴木 大), 우에무라 준(植村 淳), 나카지 케이코(中路景子)^^제2원화^^, [[우에다 하나코]]^^제2원화^^, 스에타 아키히로(末田晃大)^^제2원화^^ 등}}} ||<|4> {{{-3 [[CloverWorks]]}}} || || {{{-3 2화}}} || {{{-3 [[안노 마사토]], 나카리(なかり), 신카이 료스케(新海良佑), 츠즈키 하루카 등}}} || || {{{-3 3화}}} || {{{-3 스에타 아키히로, [[스기타 슈]], 나카지 케이코, 히구치 나오코(引口奈緒子), 아베 아유미(阿部愛由美), 우에무라 준, 니시지마 슈헤이(西島翔平), 이모토 카즈아키(井元一彰),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 감독^^ 등}}} || || {{{-3 4화}}} || {{{-3 스에타 아키히로, [[츠지 마사토시]], 츠즈키 하루카^^제2원화 겸임^^, 미치시타 코타, [[우에다 하나코]],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 나카지 케이코^^제2원화^^ 등}}} || || {{{-3 5화}}} || {{{-3 DACPER, 모로토미 나오야(諸冨直也), 혜인(ヘイン), 이동훈( Lee Donghoon), [[사쿠(애니메이터)|사쿠]], 라이즈칭(頼志青), [[코모토 유세이]], 타마키 노리히코(玉置典彦), h.s 등}}} || {{{-3 마카리아[* 마카리아는 한국인 [[WEB계 애니메이터]]에게 일본 일을 알선해주던 회사로 한때 실력자들이 모여서 작화로 명성이 있었으나 이 작품 이후로 대부분 퇴사해서 이 작품이 마지막 전성기가 되었다.][br](マカリア)}}} || || {{{-3 6화}}} || {{{-3 쿠라타 아야코(倉田綾子),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 감독^^, 나카지 케이코^^제2원화^^ 등}}} ||<|3> {{{-3 CloverWorks}}} || || {{{-3 7화}}} || {{{-3 [[MYOUN]]^^원화 150컷(전체의 약 절반.)^^, [[Maring Song]], [[케로리라]], [[KAWAHAGI]], [[치나(애니메이터)|치나]], [[니시마키 하야토|스고로쿠]], [[사쿠(애니메이터)|사쿠]], 소엔 유스케(宗圓祐輔), [[오노데라 렌]], [[요네모리 유키]], [[BONO(애니메이터)|BONO]]^^제2원화^^, [[카모카멘]]^^일러스트 협력^^ 등}}} || || {{{-3 8화}}} || {{{-3 나카지 케이코, 미치시타 코타, 우메시타 마나미(梅下麻奈未), [[미와 카즈히로]],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 감독^^ 등}}} || || {{{-3 9화}}} || {{{-3 호리오 코(堀尾 鉱), Hachi, 긴상(銀さん), [[마츠타케 토쿠유키]], 야츠 미야코(谷津美弥子) 등}}} || {{{-3 [[WIT STUDIO]][br]([[오오타니 쇼]] 팀)}}} || || {{{-3 10화}}} || {{{-3 [[우에다 하나코]], 히구치 나오코, 타나카 유스케(田中裕介),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 우에무라 준, [[와타나베 사토미]], 라루루(らるる), 츠즈키 하루카, 먕(ミャン), [[미야지마 나오키]], 이동훈,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 감독^^ 등}}} ||<|3> {{{-3 CloverWorks}}} || || {{{-3 11화}}} || {{{-3 한민기(ハン ミンギ), 스에타 아키히로^^제2원화 겸임^^, 스즈키 후토시, [[하야시 이사오]],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 감독^^ 등}}} || || {{{-3 12화}}} || {{{-3 나카지 케이코, [[우에다 하나코]], [[미야지마 나오키]], [[하야시 이사오]], [[아카이 토시후미]], [[후지타 하루카]], 라루루(らるる), 우에무라 준(植村 淳),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 류위위안(劉淯源), 스즈키 히로시(鈴木 大), [[아사카 카즈유키]],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 감독^^, [[스케가와 히로히코]]^^제2원화^^, Mahmoud^^제2원화^^ 등}}} || == 평가 == === 방영 전 === 컨셉 무비가 공개되었을 때 작화의 그림체가 원작과 다소 차이가 있으며 특히 눈 쪽이 이상하다는 이유로 원작 팬이 많은 일본과 한국을 중심으로 작화가 이질감이 든다는 평이 나왔다. 컨셉 무비는 본 작품의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애니메이터 [[코노 메구미]]가 그렸으며 [[https://twitter.com/2940san/status/1375283091451768833|#]] 예전부터 코노 메구미는 움직임 묘사 능력은 매우 뛰어난 애니메이터였으나 눈 작화는 특징이 강한 편이었는데 이번에 그 점이 더욱이 두드러졌다. [[https://twitter.com/Bloodyredstar/status/1375514208951967744|코노 메구미의 원래 그림체]] 그러나 코노 메구미가 유명한 서양에서는[* 코노 메구미는 [[포터 로빈슨]]이 좋아할 정도로 서양에서 인기가 많다.] 캐릭터의 움직임을 보고 호평을 하고 있으며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원더 에그 프라이어리티]]에 서양 애니메이터 모집 및 콘티 번역으로 참가했던 Blou란 사람은 이 작품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애니메이터가 많다는 트윗을 올렸다. [[https://twitter.com/Bloodyredstar/status/1375519164455129095|#]]] 이러한 점들을 미루어 보아 본 작품은 원작 특유의 아리땁고도 요염하며 감각적인 그림체를 원하는 팬들을 온전히 만족시키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나 움직임은 뛰어난 애니메이션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 많았다. 또한 감독인 [[쿠로키 미유키]]는 영상미로 호평받는 [[Occultic;Nine/애니메이션|Occultic;Nine]]와 [[Fate/Grand Order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의 부감독을 맡았던 사람이고 또 본작의 프로듀서 [[후쿠시마 유이치]]도 업계 인맥이 많은 사람이므로 이러한 측면의 작화는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후지타 하루카]], [[츠지 마사토시]]와 같은 [[교토 애니메이션]] 출신 애니메이터도 참가한다. 하청사로 교토 애니메이션이 참가하지 않으므로 퇴사한 사람들을 [[후쿠시마 유이치]] 프로듀서가 스카우트한 것으로 보인다. 정식 PV가 공개되자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주인공 아케비의 외양이 컨셉 무비에서보다 비교적 원작에 더욱 가깝도록 미려하게 디자인되었으며 자연스럽고도 역동적인 인물의 움직임과 함께 부드럽고도 서정적인 마티에르의 작화를 선보여 컨셉 무비에서의 불안감을 불식하고 기대감을 불러일으켰다. 또 하나의 기대감이 있었던 부분은 성우 캐스팅인데, 주인공 아케비를 맡은 성우 [[무라카미 마나츠]]는 본작 캐스팅 시 신인급 성우임에도 불구하고 아케비의 밝고 명랑한 분위기를 잘 살려 본 작품에서의 본격적인 연기가 기대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아케비 외에도 연기력이 보장되는 인기 성우 [[아마미야 소라]]와 [[키토 아카리]], 그리고 2020년대부터 주목을 받고 있는 신진 실력파 성우 [[와카야마 시온]] 등등 주조연 가릴 것 없이 전반적으로 뛰어난 성우들로 캐스팅되어 의외면서도 한편으로는 기대감이 높아졌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었다. 각본의 야마자키 리노(山崎莉乃)는 각본가가 본업이 아니라 [[제작진행]]이었으나 [[달링 인 더 프랑키스]] 때 잠깐 각본을 썼는데 그때 같이 일했던 [[쿠로키 미유키]] 감독이 넌 각본에 재능이 있다며 각본으로 기용했다고 한다. 야마자키 리노는 시리즈 구성 각본을 하는 것은 이 작품이 처음이며 모든 화의 각본을 썼다. === 방영 후 === 한마디로 정리하면 [[원작초월]]. 눈도 즐겁고 귀도 즐거운 일상물이라는 평을 받았을 정도로 좋은 반응을 이끌었다. 제작 프로듀서 [[후쿠시마 유이치]]의 인맥으로 감독 [[쿠로키 미유키]]를 포함해 각 화 연출가들도 [[카토 마코토]], [[나카무라 쇼코]], [[야세 유키]], [[마스나리 코지]], [[나가이 타츠유키]], [[미우라 타카히로]] 등 감독급 실력자들과 [[Moaang]], [[이레이 에리]], 키쿠치 타카유키(菊池貴行) 등 신예 연출가들로 구성되어 괄목할 만한 연출 퀄리티를 보여주며, 높은 작화 퀄리티로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선보이며 크게 주목을 받았다. 원작의 화풍을 반영하면서도 일상 속 연기 작화를 위한 역동성을 강조한 디자인으로 캐릭터 디자인을 재창조하여 동세를 부드럽고 풍부하게 하여 작화 퀄리티를 높이는 방식을 사용했다. 더군다나 중간중간 정적인 부분에서는 음악과 함께 원작의 수채화 같은 그림을 띄워 감성적인 느낌을 더했고,[* [[후쿠시마 유이치]] 프로듀서 말로는 [[WIT STUDIO]]에서 쓰는 메이크업 기법을 도입했다고 한다.] [[촬영]] 구도도 원작에서의 시점을 바탕으로 하되 보다 감각적이고 광역적으로 활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증대했다.[* [[https://twitter.com/Kawasi_Y/status/1482383880464527362|#촬영 처리 전 후]]를 통해 촬영 감독 카와시타 유키(川下裕樹)의 노련미를 엿볼 수가 있다.] 또한 원작의 스토리라인 및 세부적인 에피소드들의 내용 일부를 각색하여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듦과 동시에 원작에는 잘 등장하지 않는 다른 조연에게도 등장 비중을 비교적 늘렸고,[* 가령 애니메이션 3화 초반 달리기 측정 장면은 원작에서 일체 등장하지 않는 토가노 - 토게구치의 대화와 나와시로 - 와시오의 대화가 추가되었으며, 달리기 준비 구령은 헤비모리가 하는 것으로 나왔다. 또한 원작에서는 아케비만 토우코가 생활하는 만월관 기숙사로 놀러갔지만 애니메이션 4화에서는 아케비와 타니가와가 토우코와 함께 만월관으로 놀러갔다. 아울러 토우코가 다른 친구들에게 과자를 주는 장면은 원작에선 나와시로만 등장해 가볍게 지나갔지만, 애니메이션에선 토게구치까지 등장했다.] 몇몇 에피소드에서는 원작에서 볼 수 없는 오리지널 스토리를 구축해 다양한 인물들을 부각했다.[* 애니메이션 5화와 7화 같은 경우. 원작 출연 빈도가 현저히 낮은 오오쿠마, 헤비모리, 그리고 토가노의 비중이 주연인 [[아케비 코미치]] 못지않을 정도로 대폭 늘었다.] 메인 스토리 또한 처음 방영할 때는 일견 [[옴니버스]] 애니메이션처럼 보였고 아무 내용도 없이 여중생만 구경하는 흔한 일상물 애니메이션이라는 비판이 있었으나 사실 내용은 하나하나 이어지고 있었고 천천히 복선을 축적시키다 마지막화에서 한 방에 터뜨려 호평을 받고 있다. 또 다른 구성적 차이점으로는, 원작에서는 시골 중학생 소녀들의 해맑은 일상을 중점적으로 표방했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자아 및 사회적으로 미성숙한 개체가 [[아케비 코미치]]라는 인물을 통해 내면적으로 한 단계 발전하고 자의식을 구체화한다는 메타포까지 부여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단순한 [[일상물]]을 넘어서 '좋은 친구 하나가 다른 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준다'라는, 소위 대인적 접촉을 통해 실현되는 [[성장물]]로 확장해서 보다 깊이 있는 플롯을 선사했다. 주조연 가릴 것 없이 성우들의 연기도 모두 호평을 받았다. 주인공 아케비 코미치를 맡은 성우 [[무라카미 마나츠]]는 주연 경험이 적은 신인급 성우임에도 불구하고 코미치 그 자체였다는 의견이 많았을 정도로 높은 원작 재현율의 연기를 선보였다. 뿐만 아니라 [[키자키 에리카]], [[우사기하라 토우코]]를 각각 맡은 성우 [[아마미야 소라]]와 [[키토 아카리]]는 캐릭터의 특성을 맛깔나게 살린 노련한 연기를 보여주어 다시금 이들이 실력 좋은 성우들이라는 점을 일깨웠다. 그 외 1학년 3반 학생들을 연기한 나머지 성우들도 저마다의 캐릭터성을 확실히 살려 눈부신 연기를 뽐냈다. 다만 캐릭터 디자인, 특히 신체 비례적 측면으로서의 디자인에 관해서는 호불호가 갈렸다. 부정적인 쪽에서는 원작에 비해 캐릭터들의 눈, 특히나 주인공 [[아케비 코미치]]의 눈이 유독 큰 것도 모자라 눈이 얼굴에서 차지하는 면적에 비해 신체 비율은 6등신인 등 전체적으로 신체 비례가 불균형하다는 반응을 내비쳤고, 반면 긍정적인 쪽에서는 애니메이션에서의 캐릭터 디자인은 원작에서도 눈이 큰 인물들의 조형적인 개성을 더욱더 부각하는 효과를 주는 [[데포르메]]의 일환이며 덕분에 오히려 인물들의 디테일한 시선 처리나 감정선 등을 확연히 알 수 있게 한다는 반응을 내비쳤다. 그러나 부정적인 쪽이든 긍정적인 쪽이든 흑백인 원작 인물들에게 색깔이 더해져 캐릭터 디자인으로부터 풍기는 색감과 마티에르만큼은 훨씬 감미롭고 수려해졌다는 의견을 표했다. 사실 원작부터도 엄청나게 잘 그리다가 뜬금없이 눈을 거의 망둥어처럼 과도하게 크게 그리는 부분이 분명 있었다. 원작자 [[히로(만화가)|히로]]는 1화를 본방송 시청 후, 녹화본으로 1번 더 보고 제작진들에게 '감사합니다...'라는 트윗을 올려 만족스러운 반응을 드러냈다.[[https://twitter.com/siiteiebahiro/status/1479856770172743681|#]] [[우메하라 쇼타]] 프로듀서는 2화를 보면서 "퀄리티가 다른 차원으로 가버렸다.", "당신이 최강이다 [[후쿠시마 유이치|후쿠시마 프로듀서]]."라고 극찬했다. [[https://twitter.com/kafunsyokougun/status/1482380725865177093|#]] 작화로 유명한 편으로는 [[카토 마코토]] 연출, [[안노 마사토]] 작화감독의 2화, 한국인 애니메이터 [[Moaang]]이 연출하고 [[MYOUN]]이 150컷 원화를 그리고 [[WEB계 애니메이터]]가 다수 참가한 7화, [[미우라 타카히로]]가 콘티를 그리고 [[우시지마 신이치로]]가 연출한 11화, [[후쿠시마 유이치]] 사단이 총동원되고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가 댄스 작화를 한 12화가 있다. 10화의 [[야에가시 요헤이]]가 원화와 작감으로 참여한 테니스 장면도 유명하다. 테니스 경험자인 스태프에게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https://twitter.com/yaehei/status/1502675791548624901?t=PSZefj0A553k_RAEiDmQLg&s=19|#]] 애니메이터 [[엔도 마사아키(애니메이터)|엔도 마사아키]]가 대단한 작화라고 칭찬했다. [[https://twitter.com/T35endou/status/1502776843828543488|#]] 콘티를 그린 [[이레이 에리]]는 이 에피소드에서 연출과 작화도 하고 싶었는데 소속 회사가 막았다고 불평을 털어놓기도 했다.[[https://twitter.com/pinuett/status/1502842703377166339|#]], [[https://twitter.com/pinuett/status/1502849057689014277|#]] 애니메이션 감독 [[이토 료타]]가 호평했다.[[https://twitter.com/rato_00/status/1483092515482107908|#]]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가 '생명감이 넘치는 역작' 이라고 극찬했다. [[https://twitter.com/akizuki1234/status/1507865566039580675|#]] 이 사람은 미소녀 일상물 애니메이션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아서 이런 애니메이션을 호평하는 건 1, 2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하다.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는 7화, 8화, 9화가 대단하다고 호평했다. 다른 편도 모두 좋아한다고 한다.[[https://twitter.com/animesama/status/1526867521613492224|#]] 이렇게 업계인과 시청자들의 평가는 좋은 애니이지만 한국에서는 방영 내내 큰 화제를 끌지 못했다. 특히 한국은 연출이나 작화 위주의 애니메이션보다 스토리가 좋은 작품을 선호하는데 방영 초기 스토리가 없는 애니메이션으로 알려져 하차한 사람들이 많다. 사실 천천히 스토리와 드라마가 이어지고 있긴 했고 스토리 또한 좋은 작품인데 이게 대단히 느렸고 제대로 윤곽이 밝혀지는 게 후반부라서 그 사실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이 나오기 전부터 한국에서는 원작 만화를 두고 "작가가 지하실에 소녀를 가둬두고 관찰하면서 그리는 변태 만화." 라는 이상한 [[밈]]이 유행했고 한국 정식 방송사인 [[애니플러스]]가 관람등급을 19금으로 지정하는 희대의 무리수를 두면서 '변태 애니메이션'이라는 프레임이 씌어 작품의 이미지가 크게 손상된 것도 한 몫 했다. 때문에 이 작품은 일본, 서양, 중국 등 세계적으로는 높은 인기와 평가를 얻었지만 한국에서는 인기를 끌지 못했다. == 영상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9f0f4, #ffd6e7); text-align: center" '''{{{#221814,#221814 {{{#!html 출연진 캐릭터 소개 코멘트}}}}}}'''}}}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JALq4lfCH_g,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G2n9UOw_e_Q, width=100%)]}}} || || '''{{{#221814,#221814 [[아케비 코미치]] 役[br][[무라카미 마나츠]]}}}''' || '''{{{#221814,#221814 [[키자키 에리카]] 役[br][[아마미야 소라]]}}}'''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8960v8z2yq0,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2mjvutvijIQ, width=100%)]}}} || || '''{{{#221814,#221814 [[우사기하라 토우코]] 役[br][[키토 아카리]]}}}''' || '''{{{#221814,#221814 [[코죠 토모노]] 役[br][[와카야마 시온]]}}}'''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V1e6CXD9vNo,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TAki6lb8Y_o, width=100%)]}}} || || '''{{{#221814,#221814 타니가와 케이 役[br][[세키네 아키라]]}}}''' || '''{{{#221814,#221814 와시오 히토미 役[br][[이시가미 시즈카]]}}}'''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Zo39nBI_akI,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jytbofaCx9w, width=100%)]}}} || || '''{{{#221814,#221814 미나카미 리리 役[br][[이시카와 유이]]}}}''' || '''{{{#221814,#221814 히라이와 호타루 役[br][[아사쿠라 모모]]}}}'''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XtaTWL87Vsc,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h_3BLVO_ABg, width=100%)]}}} || || '''{{{#221814,#221814 시죠 리오나 役[br][[타도코로 아즈사]]}}}''' || '''{{{#221814,#221814 카미모쿠 네코 役[br][[이토 미쿠]]}}}'''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TJwmkDIKFn0,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kX1ldBD-iOI, width=100%)]}}} || || '''{{{#221814,#221814 타츠모리 아이 役[br][[이세 마리야]]}}}''' || '''{{{#221814,#221814 토게구치 아유미 役[br][[미카미 시오리]]}}}'''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Fj_DxtHIV_0,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jvnqmCsUgGs, width=100%)]}}} || || '''{{{#221814,#221814 헤비모리 오시즈 役[br][[칸베 미츠호]]}}}''' || '''{{{#221814,#221814 나와시로 야스코 役[br][[혼도 카에데]]}}}'''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HUKrO2_ht9A,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hsjKAqpt1iA, width=100%)]}}} || || '''{{{#221814,#221814 토가노 마이 役[br][[시라이시 하루카]]}}}''' || '''{{{#221814,#221814 오오쿠마 미노루 役[br][[코하라 코노미]]}}}''' || }}}}}} || == [[애니플러스]]의 등급 판정 논란 == [[애니플러스]]에서 '''[[청소년 관람불가|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을 때려버렸고, 이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작품 내용적으로 딱히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이라 할 만한 내용도 없는데 19세 이상 시청가로 분류된 것이 황당하고 과하다는 의견이 많다. 일각에서는 [[성적 페티시즘|교복 성 상품화 문제]] 때문에 청불 판정을 내린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는데 말이 되지 않는다. 세계의 어느 애니메이션 리뷰 사이트를 봐도, 평론가의 반응을 봐도 이 작품을 음란하게 바라보는 시선은 극소수다. 애초에 이 애니메이션은 감독 [[쿠로키 미유키]]도 여성이고 각본가 야마자키 리노(山崎莉乃)도 여성이고 총 작화감독 [[코노 메구미]]를 비롯해 참가 애니메이터 상당 수가 여성이라 성상품화 이야기가 나오는 게 넌센스다. 아예 처음부터 대놓고 성인물로 낙인찍음으로써 불건전한 이미지를 더더욱 고착화시키는 등 되려 역효과만 낼 뿐이다. 연출 의도를 보지 않고 목욕이나 노출 장면이 좀 있다고 19금 판정을 먹인다면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의 대다수도 19금이 되어야 할 것이다. 애초에 페티시 연출 들먹이면서 19금 판정에 대한 정당화를 시도하는 것 자체부터가 '''[[음란마귀|작품을 전혀 순수한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았다는 것]]을 자인하는 꼴이다.''' [[중국]]에서도 일부 장면 검열로 심의를 통과해 전연령 서비스 중이므로 '''주요 국가 중 이 작품이 19세 이상 시청가 판정을 받은 건 대한민국뿐이다.''' 사실 애니플러스가 이미 오래 전부터 작품들의 심의 등급과 관련해서 [[애니플러스/비판/심의|워낙 불명예스러운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라 이번에도 제 버릇 개 못 준다고 '''애니플러스가 애니플러스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기타 == * 미국에서는 [[퍼니메이션]]에 의해 방영되며, 한국과는 달리 일미 동시방영뿐만 아니라 영어더빙도 되어 방영된다. [[https://mobile.twitter.com/Funimation/status/1486730813634801669|#]] * 본작의 캐릭터들이 부른 주제곡들이 일본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스트리밍으로 발매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에 모든 서비스 중인 사이트에도 발매가 되지 않았는데, 발매사인 [[애니플렉스]](소니 뮤직)는 2021년에 앨범 스트리밍을 제대로 시작하면서 ost 앨범은 먼저 개별곡 구매로만 들을 수 있게 멜론 등 한국 사이트에 발매하고 6개월 뒤에 전세계 사이트에 스트리밍으로 발매하고 op,ed,캐릭터 송 등은 스트리밍으로 바로 발매했는데 이번에는 애초에 스트리밍 발매 자체가 국가적으로 풀리지 않는 경우라서 그러지 않았다. 비슷한 날짜에 발매된 같은 애니플렉스의 애니메이션 [[도쿄 24구(애니메이션)|도쿄 24]]구의 ED인 255,255,255은 발매가 되었지만 곡구매로만 들을 수 있다. 이후 2022년 3월 27일 주제가가 각 스트리밍 사이트에 전부 공개됨과 동시에 한국에서도 공개되었다. [[https://music.bugs.co.kr/album/17468924?wl_ref=list_tr_11_search|벅스 앨범정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케비의 세일러복, version=215, paragraph=5.1)] [[분류:아케비의 세일러복]][[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Clover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