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CJ 엔투스 프로스트)] [include(틀: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역대 시즌)] ||<-5> '''[[CJ 엔투스 프로스트|{{{#white Azubu Frost 역대 시즌}}}]]''' || || [[MiG 프로스트/2011 시즌|팀명 변경[br]2011 시즌]] || → || {{{#4396D5 '''2012 시즌'''}}} || → || [[CJ 엔투스 프로스트/2013 시즌|구단 인수 및 팀명 변경[br]2013 시즌]] || [목차] == [[LOL 인비테이셔널]] == MiG Frost의 원조인 MiG의 팀명으로 출전한 롤 인비테이셔널에서는 매라신의 등장을 알리며 결승에서 CLG를 꺾고 '''방송대회 첫 우승'''을 달성한다. ==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 MiG Frost로 참가한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에서는 참가 전까지 리그 최고의 팀으로 평가 받았다. 당시 최고의 탑솔러로 평가받던 [[장건웅|웅]]과 신(神) [[홍민기(프로게이머)|매라]], 애니비아 장인 [[정민성(e스포츠)|빠별]], 전자 두뇌 [[이현우(게임 해설가)|클템]], 그리고 오더를 담당하던 [[최윤섭|로코도코]]가 뭉쳐 있었기에 특색이 강했다. 게다가 4강 5세트에서는 드라마틱한 경기까지 보여주며 우승을 점치는 이들이 많았다. 그러나 결승전에서 상대적으로 2군으로 평가받던 MiG Blaze에게 0:3으로 덜미를 잡히며 고개를 숙이며 준우승을 해버리고 만다. ==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 이때의 결과 때문인지 리빌딩을 단행, 최윤섭이 빠지고 장건웅이 원딜로, 그리고 새로운 탑솔러인 [[박상면(프로게이머)|샤이]]을 영입했다.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16강에서 아마추어 팀 RoMg에게 대패할 정도로 불안한 출발을 하였지만 홍민기의 신들린 블리츠크랭크 로켓 손을 통해 2승 1패로 8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또다시 형제 팀인 블레이즈와 맞붙었는데, 모두의 예상을 뒤엎는 혈전 끝에 프로스트가 블레이즈를 3:2로 제압하며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결승에서 CLG.EU를 상대로 패패승승승 [[역스윕]]을 달성하며 정말로 고대하던 '''롤챔스 우승을 차지했다.''' 덤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2 월드 챔피언십|시즌 2 롤드컵]] 직행 티켓을 확보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 ||<-2> '''{{{#fff Azubu Fros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zubu Frost season2 worlds.jpg|width=100%]]}}} || || '''{{{#ffffff 감독}}}''' ||[[강현종|강현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96D5; font-size: .9em" {{{#ffffff OnAir}}}}}}]] || || '''{{{#ffffff 코치}}}''' ||[[손대영|손대영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4396D5;font-size:.9em" {{{#fff Kezman}}}}}}]]|| ||<-2> '''{{{#479FE3 로스터}}}'''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5]][br]'''{{{#ffffff TOP}}}'''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상면|박상면[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96d5; font-size: 1.0em" {{{#ffffff Shy}}}}}}]]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br]'''{{{#ffffff JGL}}}'''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br] {{{#!wiki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96d5; font-size: 1.0em" {{{#ffffff CloudTemplar}}}}}}]]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br]'''{{{#fff MID}}}'''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정민성(e스포츠)|정민성[br] {{{#!wiki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96d5; font-size: 1.0em" {{{#ffffff RapidStar}}}}}}]]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br]'''{{{#ffffff BOT}}}''' ||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장건웅|장건웅[br] {{{#!wiki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96D5; font-size: 1.0em" {{{#ffffff Woong}}}}}}]]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br]'''{{{#ffffff SPT}}}'''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홍민기(프로게이머)|홍민기[br] {{{#!wiki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96D5; font-size: 1.0em" {{{#ffffff MadLife}}}}}}]] || 시즌 2 롤드컵에서도 예선 3승, 8강 2:0, 4강 2:1로 승승장구했지만 결승에서 TPA 조합의 핵심인 오리아나와 문도를 계속 풀어주는 실수를 범하면서 1:3으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여담으로 이 당시 한국어 욕설 보이스가 송출된 해프닝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Azubu Frost 욕설 송출 사건]] 문서 참조. == 팀별 둘러보기 == [include(틀:LCK 2012 시즌/팀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J 엔투스 프로스트, version=353)] [[분류: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