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애신각라재진.jpg]] || ||<-3> '''{{{#fecd21 청나라 초대 상부상서}}}''' || ||<-2> '''{{{#fecd21 정체}}}''' ||愛新覺羅 載振 || ||<-2> '''{{{#fecd21 간체}}}''' ||爱新觉罗 载振 || ||<-2> '''{{{#fecd21 한국식 독음}}}''' ||[[애신각라 재진]] || ||<-2> '''{{{#fecd21 영문}}}''' ||Aisin-Gioro Zaizhen || ||<-2> '''{{{#fecd21 자}}}''' ||육주(育周) || ||<-2><|2> '''{{{#fecd21 출생}}}''' ||[[1876년]] [[3월 31일]] || ||청나라 직예성 북경 || ||<-2><|2> '''{{{#fecd21 사망}}}''' ||[[1947년]] [[12월 31일]] (향년 71세) || ||[[중화민국/국민정부|중화민국]] 상하이 || ||<-2> '''{{{#fecd21 국적}}}''' ||[[청나라]] [[파일:청나라 국기.svg|width=28]] [br] → [[중화민국/북양정부|중화민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width=28]] [br] → [[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width=28]] || ||<-2> '''{{{#fecd21 학력}}}''' ||가정교육 || ||<-2> '''{{{#fecd21 직업}}}''' ||외교관, 정치가 || [목차] == 개요 == 청나라의 황족. [[아이신기오로 이쾅]]의 아들로 만주 친귀 중에 두각을 나타냈으나 양취희 사건으로 몰락하였다. 흔히 이름만 불러 재진이라고 한다. == 생애 == 만주족 양황기 출신으로 경친왕 이쾅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건륭제]]의 4세손이다. 1894년 2등 진국장군(二等鎭國將軍)에 습봉(襲封)되면서 관직을 시작했다. [[광서제]] 연간에 관직 생활을 시작한 만주족의 젊은 친귀들 중에 두각을 나타냈다. 이후 내정행주(內廷行走), 두등전사대신(頭等專使大臣) 등을 지냈다. 1902년,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의 즉위식에 참석했으며 그길에 프랑스, 스페인, 미국, 일본 등을 두루 방문했다. 1903년 일본에서 열린 제5회 권업박람회를 참관하고 일본의 [[입헌군주제]]를 극찬하면서 일본의 본질은 시정촌제(市町村制)의 실시에 있다면서 중국이 우선적으로 지방자치와 헌정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점진적인 개혁을 지지하였다. 이후 신정에 참여하여 상부 설립을 청하여 초대 상부상서에 임명되었다. 1907년, 아버지 이쾅이 군기대신에 임명되자 농공상부대신에 임명되었다. 이때 [[위안스카이]]의 심복 [[돤즈구이]]에게 많은 뇌물을 받은 양취희 사건을 일으켰다가 훗날 섭정왕이 되는 [[순친왕]] 재풍의 조사를 받았고 위안스카이의 개입으로 혐의없으로 결론이 났으나 5월 17일, 사직을 청하였다. [[서태후]]가 사직을 윤허하면서 물러났다. 이후 아버지와 함께 위안스카이와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의 오십번째 생일 때 그를 예방하고 형으로 모시는 등 아첨하여 어사 강춘림의 탄핵을 받았다. 광서제 말년에 위안스카이가 짜이전을 황대로 추대한다는 풍문이 돌았으나 서태후가 믿지 않아 공론화되진 않았다. [[선통제]] 즉위 후 정치적으로 재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풍문이 돌았으나 명예직에 불과한 어전대신, 외교사절단 단장 등을 지냈다. 1911년, 필덕원 고문대신에 임명되었으며 [[조지 5세]]의 대관식에도 대표로 참석했다. 동삼성 시찰 중 몽골 왕공들에게 과거엔 나라가 망하면 그저 주인이 바뀌었으나 이젠 나라가 망하면 노비로 전락한다면서 청실을 지지해줄 것을 호소하였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자 상하이로 피신했다가 베이징으로 돌아왔다. 아버지 이쾅이 사망한 후 대총통 [[리위안훙]]으로부터 경친왕 작위를 세습받는 것을 허락받았으나 이후 아편에 취하여 남은 재산을 가지고 무위도식하는 삶을 살았다. 1924년 [[북경정변]]이 발생하자 겁을 먹고 상하이의 영국 조계지로 피신하여 상공업 투자에 종사하였다. 이후 상하이에서 지내다가 1947년 12월 31일에 사망했다. 조여림(曹汝霖)·주작주(朱作舟) 등은 그가 격변기 속에서도 조국을 떠나지 않은 것을 고려하여 [[사시#s-2|사시]](私諡)를 '貞'이라 하였고, 그 위패에 '경정친왕 재진'이라고 썼다. == 참고문헌 == * 원세개 평전, 허우이제, 지호. * 젊은 만주친귀 집단의 정치적 지향과 좌절, 1900~1911, 윤욱, 동양사학연구 118호, 동양사학회. * 청말 황족의 관직 임용양상과 입사경로, 송미령, 명청사연구 50호, 명청사학회. [[분류:청나라의 황족]][[분류:청나라의 정치인]][[분류:1876년 출생]][[분류:1947년 사망]][[분류:베이징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