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네임 || '''青木 篤志''' [br] Atsushi Aoki [br] Strong Jūsō || || 본명 || 青木 篤志 || || 생년월일 || 1977년 9월 25일 || || 사망 || 2019년 6월 3일 || || 출신지 || [[일본]] [[도쿄도]] [[오타구]] || || 신장 || 170cm || || 체중 || 85kg || || 별명 || 王道の自衛官[* 왕도의 지휘관] [br] 青き閃光[* 푸른섬광] || || 주요 커리어 ||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2회 [br] [[글로벌 주니어 태그 리그|닛폰 TV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 리그]] 우승 (2010년) [br] [[글로벌 주니어 태그 리그|NTV G+ 컵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 리그]] 우승 (2011년) [br] VolcanoxSEM 태그팀 토너먼트 우승 (2008년) [br]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AJPW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4회 [br]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쉽|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 3회 [br] [[주니어 BATTLE OF GLORY]] 우승 (2016년)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주니어 하이퍼 태그 리그]] 우승 (2013년)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 우승 (2014년)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 우승 (2015년)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 우승 (2016년) [br] Hard Hit 그랩 링 토너먼트 우승 (2014년) [br] AAA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 || || [[피니쉬 무브]] || '''어설트 포인트''' [br] 오브젝트 [br] 트랩오버 [br] 팔 역십자 꺾기[* 腕ひしぎ逆十字固め] || || 테마곡 || '''Fight it Out''' [br] ホテル・カリフォルニア [br] My First Kiss || [목차] == 개요 == [[일본]]의 전 [[프로레슬러]]. == 커리어 == 고등학교 시절부터 아마추어 레슬링에서 활약한 아오키 아츠시는 육상자위대 시절인 1999년에는 전국 사회인 오픈레슬링 선수권 대회 69kg급에서 우승했고, 그 후로 전국 사회인 오픈 레슬링 선수권 대회 & 전일본 사회인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준우승까지 따냈다. === [[프로레슬링 NOAH]] === 기교파 타입의 프로레슬링이 대명사였던 아오키 아츠시는 2005년에 [[프로레슬링 NOAH]]에 입단하게 되면서 데뷔전에서 오타 요시노리와 같이 팀을 이뤄 [[미사와 미츠하루]] & [[타우에 아키라]]를 상대로 경기를 가지나 패한다. 2006년에 첫 싱글경기를 가지면서 키쿠치 츠요시와의 경기에서 패하고, 아오야기 마사시와 팀을 이뤄 오타 요시노리 & 모모타 미츠오와의 경기에서 첫 승리를 거둔다. 이후로는 태그팀 경기에서 승리해 나가다가 [[오가와 요시나리]]와도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데뷔시절 태그팀을 맺었던 같은 신인인 오타 요시노리와의 경기에서 싱글에서 첫 승리를 거둔다. 아직까지 신인이라는 위치에 있어서 지는 경기가 많이 속출했고, 서양에서 활동하는 유명외국인 선수들과도 경기를 가져보지만 패했다. 이러한 계속되는 패배에도 베테랑들과의 경기를 통해 계속 성장해 나가고 있던 아오키 아츠시는 ZERO1이나 [[드래곤 게이트]]에도 출연하면서 2007년을 시작으로 영국과 독일에 있는 단체들에도 출연해 유명한 선수들과도 경기를 가졌다. 2007년에 닛폰 TV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 리그에 [[록키 로메로]]와 팀을 이뤄 참가하지만 우승하진 못했고, [[ROH]]가 일본에서 벌어졌을때 [[맷 사이달]] & 리키 마빈과 팀을 이뤄 [[마루후지 나오미치]] & [[브리스코 브라더스]]와도 경기를 가지나 패했다. 11월에 모리셔스 컵 토너먼트에 참가해 오타 잇페이, 히라야나기 츠토무, 이토 아키히코를 각각 꺾고 [[타니구치 슈헤이]], [[이시모리 타이지]]와는 각각 무승부를 기록하며 총 8점을 획득했지만 토너먼트에서 한 경기도 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타니구치 슈헤이가 9점을 얻으며 우승하지 못했다. 2008년에 이토 아키히코와 같이 닛폰 TV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 리그에 참가하지만 낮은 득점으로 인해 이번에도 우승하지 못하지만 VolcanoxSEM 태그팀 토너먼트에 참가해서는 우승을 차지한다. 2009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처음으로 출연하면서 타니구치 슈헤이와 같이 [[오카다 카즈치카]] & [[고토 히로오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베스트 오브 더 수퍼 주니어 XVI에 참가하면서 준결승전에서 [[카네모토 코지]]와 맞붙지만 패하며 탈락된다. [[이부시 코타]]와 같이 닛폰 TV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 리그에 참가하면서 결승까지 진출하지만 또 우승에 실패한다. 아오키 아츠시의 "섬광 10번 승부"가 짜여졌고, [[아키야마 준]]과의 경기에서 패하다가 그 다음 상대인 [[데이비 리차즈]]와의 경기에서는 승리를 거두고, 이후로 [[KENTA]], [[브라이언 대니얼슨]], 오가와 요시나리, [[카즈 하야시]], [[카네마루 요시노부]], [[수신 선더 라이거(프로레슬러)|수신 선더 라이거]], 마루토 마사미치에게 패하며 1승 9패를 기록했다. 2010년에 [[시오자키 고]]와 같이 이시모리 타이지 & [[모리시마 타케시]]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AAA 월드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타이틀을 따냈다. 그러다가 [[AAA(프로레슬링)|AAA]]의 본거지인 멕시코에서 벌어진 페이탈 4 웨이 일리미네이션 매치에서 실버 케인 & 울티모 글레디에이터, [[제임스 스톰]] & [[로버트 루드]], 조 라이더 & 니코 엘 밀로나리오와의 경기에서 패해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켄타와 같이 닛폰 TV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 리그에 참가해 결승전에서 [[로데릭 스트롱]] & [[에디 에드워즈]]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토너먼트에서 우승하게 된다. 아직까지 NOAH에서 챔피언 벨트를 따내지 못한 아오키 아츠시는 마루후지 나오미치와 같이 [[타이거 마스크(프로레슬러)|4대 타이거 마스크]] & 카네모토 코지를 꺾고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그러나 2011년에 마루후지 나오미치의 부상으로 챔피언 벨트를 반납하게 된다. [[스즈키 코타로]]와 같이 켄타 & 카네마루 요시노부를 상대로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지만 패하며 챔피언 등극에 실패하고, 2011년에도 닛폰 TV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 리그에 참가하면서 이번엔 스즈키 코타로와 참가하지만 결승전에서 켄타 & 카네마루 요시노부에게 패하며 우승에 실패한다. NOAH & 신일본 프로레슬링 & [[전일본 프로레슬링]]이 합동으로 벌이는 무대에도 출전해 [[타이치(프로레슬러)|타이치]] & [[스즈키 미노루]]와 팀을 이뤄 [[후나키 마사카츠]] & [[사노 나오키|사노 타쿠마]] & 수신 선더 라이거를 상대하지만 패하고 이를 통해 전일본 프로레슬링과의 인연이 생기면서 전일본 프로레슬링 무대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아키야마 준과 팀을 이뤄 [[야마토 히로시]] & [[스와마]]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스즈키 코타로와 같이 계속해서 켄타 & 카네마루 요시노부에게 도전을 반복하며 챔피언 등극에 실패했지만 끝없는 도전끝에 승리를 거두며 통산 2회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다. 11월 29일에 한국을 방문하면서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WWA]] 흥행에 출전해 타니구치 슈헤이, 안재홍을 상대로 트리플 쓰렛 매치를 벌이지만 타니구치 슈헤이가 승리를 거두면서 패한다. NOAH에서 활동하면서 다른 단체에도 가끔씩 출연해 경기를 가지는 아오키 아츠시는 2012년에 [[수퍼 크레이지]] & 리키 마빈에게 패하며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내주고, 3월에 아키야마군에 가입을 한다. 스즈키 코타로와 같이 닛폰 TV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 리그에 참가하지만 전과 달리 낮은 점수로 준결승전에도 진출하지 못하고, [[콘도 슈지]]의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자리에도 도전했으나 패했다. 2012년부터 패하는 일이 반복되면서 미스터 크리스마스와의 경기에서 패한 것을 끝으로 NOAH를 퇴단한다. === [[전일본 프로레슬링]] === 2013년 1월에 열린 결의 집회에서 아오키 아츠시는 리더인 아키야마 준을 필두로 시오자키 고 & 스즈키 코타로 & 카네마루 요시노부와 같이 [[BURNING(스테이블)|Burning]]을 결성한다. 스즈키 코타로와 같이 카네모토 코지 & [[다나카 미노루]]를 꺾고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FA로 경기에 참가하다가 잠깐 NOAH에 1회성으로 출연해 스즈키 코타로와같이 혼다 타몬 & 시가 켄타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7월에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정식으로 소속된다. 11월에 시오자키 고 & 스즈키 코타로와 같이 Xceed를 결성한다. 2013년에 주니어 하이퍼 태그 리그에 스즈키 코타로와 함께 높은 점수로 우승을 하고 2014년에 [[울티모 드래곤]]의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자리에 도전하나 패했다. 스즈키 코타로와 같이 아키야마 준 & 카네마루 요시노부에게 패해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 벨트를 뺏기고, 2월에 Xceed를 탈퇴한다. Hard Hit에서 열린 그랩 링 토너먼트에 참가해 결승까지 진출하며 [[카츠무라 슈이치로]]롤 꺾고 우승하게 되고,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울티모 드래곤을 꺾고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를 따낸다. [[DDT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하기 시작하면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선 Evolution에 가입함과 동시에 해마다 주니어 태그 배틀 오브 글로리에서 [[사토 히카루(프로레슬러)|사토 히카루]]와 팀을 이뤄 3년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대일본 프로레슬링]]과 병행하며 활동을 시작하면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주니어 배틀 오브 글로리 2016에 출전해 결승전에서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자리를 두고 사토 히카루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우승과 동시에 통산 2회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다. 사토 히카루와 같이 양키 투 켄주 & [[미야모토 유코]]를 꺾고 통산 2회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오르고, 영국의 SWA에서 [[조 코피]] & [[마크 코피]]와 각각 경기를 가져 승리를 거둔다. [[후치 마사노부]] & [[오니타 아츠시]]와의 경기에서 패하며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잃고, 2017년에 챔피언 벨트를 탈환함과 동시에 통산 3회 챔피언이 된다. 11월부터 아오키 아츠시는 가면을 쓰고 다니면서 코스튬도 투숄더의 롱 타이츠로 변경했다. [[TAKA 미치노쿠]] & 블랙 타이거에게 패하며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 벨트를 잃고, 2017년에도 주니어 태그 배틀 오브 글로리에 참가하지만 우승하진 못하고, 2018년에 [[타지리]]를 꺾고 통산 3회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오른다. 2018년에 주니어 배틀 오브 글로리에 참가하지만 준결승전에는 진출하지 못하고, 주니어 태그 배틀 오브 글로리에는 전처럼 사토 히카루와 듀오를 이뤄 참가하지만 이번에도 우승하지 못했다. [[이와모토 코지]]에게 패하며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를 뺏긴 후 가면을 벗고 활동하게 된다. 오랜만에 NOAH에 1회성으로 출연해서 아키야마 준과 같이 [[스기우라 타카시]] & [[하라다 다이스케]]를 상대하지만 시간경과로 인한 무승부로 끝난다. 영국의 SWA에 이벤트성으로 출연해 마이키 윕래쉬와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2019년에 챔피언 카니발에 출전하지만 점수차로 결승전에 진출에 실패한다. 수퍼 파워 시리즈 2019에서 이와모토 코지를 꺾고 통산 4회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며 계속 활동을 이어나갔으나... === 사망 === 2019년 6월 3일에 도쿄 치요다구 기타노마루 공원 고속도로 주변의 측벽에 충돌한 오토바이 사고로 41세 나이에 사망했다. 챔피언 보유 기간은 2019년 11월 20일까지 인정되고, 아오키 아츠시가 사용한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는 아오키 아츠시의 가족에게 증여되면서,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는 2020년 1월 3일에 새로운 디자인으로 도입되었다. 2020년 8월 11일에 아오키의 추도 대회가 개최되어 은퇴한 아오키와 동기인 오타 잇페이가 한정 복귀하는 등, NOAH 소속 선수나 연고의 인물이 다수 참가했다.[* 프로레슬링 NOAH에서도 아오키 아츠시 추모식을 벌였다.] 8월 15일 아오키 아츠시의 추도 대회 「아오키 아츠시 메모리얼 AAforever」가 개최되었다. 이후에도 초상권 관리, 또는 아오키의 공헌을 기리는 의미도 포함해, 전일본 프로레슬링 로스터에 게재된 채로 되어 있다. == 기타 == * [[아키야마 준]] & [[오가와 요시나리]] & [[코바시 켄타]]에게서 트레이닝을 받았다. * 사망하기 이전까지는 전일본 프로레슬링 도장에서 젊은 선수 코치를 맡았었다. * [[다이너마이트 키드]]의 팬으로, 2007년 당시 경기복을 파란색 반바지에서 하늘색 롱 타이츠로 변경한 것도 이 때문이다. 아오키 아츠시 본인도 좋아하는 색깔은 파란색이다. * 중학교시절 동창으로는 종합격투가 와다 타쿠야 & 탤런트 [[야마자키 바닐라]]가 있고, 고등학교 후배로는 프로레슬러 이나바 마사토가 있다. * 자위대 시절 후배로는 [[오카바야시 유지]]가 있다.[* 오카바야시 유지와는 체육학교에서의 경기는 다르지만 서로 안면이 있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4차BURNING)]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jpw-logo.gif|width=20]] {{{#ed2121 '''역대 [[주니어 BATTLE OF GLORY|{{{#ed2121 주니어 BATTLE OF GLORY}}}]] 우승자'''}}} || || {{{#000000 '''2014, 2015'''}}} || {{{#000000 →}}} || {{{#000000 '''2016'''}}} || {{{#000000 →}}} || {{{#000000 '''2017'''}}} || || [[스즈키 코타로|{{{#000000 스즈키 코타로}}}]] || {{{#000000 →}}} || {{{#000000 '''아오키 아츠시'''}}} || {{{#000000 →}}} || [[이와모토 코지|{{{#000000 이와모토 코지}}}]] ||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77년 출생]][[분류:2019년 사망]][[분류:오타구 출신 인물]][[분류:2005년 데뷔]][[분류:오토바이 사고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