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파리 생제르맹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020 0%, #DD0000 20%, #DD0000 80%, #DD0020)" {{{#ffffff '''아슈라프 하키미의 수상 이력'''}}}}}} || || {{{#!wiki style="" {{{#009874 {{{#!folding ▼ {{{#!wiki style="" {{{#000000,#e5e5e5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19 CAF 올해의 팀|[[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e927; font-size: 0.9em" [[틀:2019 CAF 올해의 팀|{{{#5d0425 '''2019 CAF 올해의 팀'''}}}]]}}} || [[틀:2019-20 VDV 올해의 팀|[[파일:VDV로고.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aaa; font-size: 0.9em;" [[틀:2019-20 VDV 올해의 팀|{{{#ffffff '''2019-20 VDV 11'''}}}]]}}} || [[ESM 올해의 팀|[[파일:European_Sports_Media_logo.png|height=3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8d6; font-size: 0.9em" [[틀:2020-21 ESM 올해의 팀|{{{#ffffff '''2020-21 ESM 올해의 팀'''}}}]]}}} || [[틀: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베스트 팀|[[파일:Africa_Cup_of_Nation_official_logo.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베스트 팀|{{{#ffffff '''2021 CAN 베스트 팀'''}}}]]}}} || || [[틀:2020-21 세리에 A 올해의 팀|[[파일:AIC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890; font-size: 0.9em;" [[틀:2020-21 세리에 A 올해의 팀|{{{#ffffff '''2020-21 세리에 A 올해의 팀'''}}}]]}}} || [[틀:2022 FIFA FIFPro World11|[[파일:attachment/FIFPro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D1C35; font-size: 0.9em" [[틀:2022 FIFA FIFPro World11|{{{#ffffff '''2022 FIFA FIFPro 11'''}}}]]}}} || [[틀:2022-23 UNFP 올해의 팀|[[파일:1200px-Logo_UNFP.svg.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91C3D; font-size: 0.9em" [[틀:2022-23 UNFP 올해의 팀|{{{#ffffff '''2022-23 UNFP 올해의 팀'''}}}]]}}} || || }}}}}}}}}}}}}}}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kimi_23-24.jpg|width=100%]]}}}|| ||<-4> '''파리 생제르맹 FC No. 2''' || ||<-4> '''{{{+1 아슈라프 하키미}}}[br]أشرف حكيمي | Achraf Hakimi''' || ||<-2> '''본명''' ||<-2>아슈라프 하키미 무흐[br]أشرف حكيمي موح[br]Achraf Hakimi Mouh || ||<-2><|2> '''출생''' ||<-2>[[1998년]] [[11월 4일]] ([age(1998-11-04)]세) || ||<-2>[[스페인]] [[마드리드]] || ||<-2>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모로코)]'''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2> '''신체'''[* [[https://en.psg.fr/teams/first-team/squad/achraf-hakimi|파리 생제르맹 FC 공식 프로필]]] ||<-2>[[키(신체)|키]] 181cm / [[체중]] 73kg || ||<-2> '''포지션''' ||<-2>'''[[풀백(축구)|라이트백]]''', [[윙백]] || ||<-2> '''주발''' ||<-2>오른발 || ||<-2><|2> '''등번호'''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모로코 대표팀]] ||<|2> '''{{{+1 2}}}''' || ||[[파리 생제르맹 FC]] || ||<|2> '''소속''' || '''유스''' ||<-2>CD 콜로니아 오피헤비 (2005~2006) [br] [[레알 마드리드 CF]] (2006~2016) || || '''프로''' ||<-2>[[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2016~2017) [br] [[레알 마드리드 CF]] (2017~2020) [br]→ {{{-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8~2020 / ^^임대^^)'''}}} [br]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나치오날레]] (2020~2021)''' [br] '''[[파리 생제르맹 FC]] (2021~ )''' || ||<-2> '''국가대표''' ||<-2>67경기 8골[* 2023년 11월 22일 기준]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모로코]] / 2017~ )^^ || ||<-2> '''후원사''' ||<-2>[[아디다스]] || ||<-2> '''SNS''' ||<-2>[[https://www.instagram.com/achrafhakim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chrafhakimi, 크기=28)] | [[http://www.facebook.com/AchrafHakimi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8]]]]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역대 등번호'''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모로코 대표팀]] - '''2번'''[br][[레알 마드리드 CF]] - 32번, 19번[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5번[br][[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나치오날레]] - 2번[br][[파리 생제르맹 FC]] - '''2번'''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로코]] 국적의 [[파리 생제르맹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풀백(축구)|라이트백]]. == [[아슈라프 하키미/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슈라프 하키미/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2017년 10월 10일 제3국에서 열린 한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모로코 대표로 교체 출전해 팀의 3-1 승리에 공헌을 했다. 이 경기에서 본인의 주 포지션인 오른쪽 풀백이 아니라 왼쪽 풀백으로 경기에 임했다. 참고로 이 경기는 경기 스코어는 3-1이지만 근래 들어 한국 대표팀이 최악의 경기력을 보인 경기로 유명하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모로코의 주전 왼쪽 풀백으로 조별리그 3경기를 모두 뛰었다.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별리그 최종전 가봉과의 경기에서 그림같은 프리킥으로 동점골을 넣었고 이어 16강전 말라위전에서 또 다시 프리킥으로 결승골을 넣으며 팀의 8강 진출에도 공을 세웠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FIFA 월드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로코스페인2.jpg|width=100%]]}}}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 본선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조별리그 내내 좋은 경기력을 보여줘 모로코의 공격과 수비를 책임졌으며 3차전 캐나다전에서 [[유세프 엔네시리]]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면서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7경기 모로코 0 : 0 스페인 (PSO 3 : 0)|16강 스페인전]]에서도 공수에서 활발한 모습을 보여줬고, 승부차기에서는 4번 키커로 나와 [[파넨카(페널티킥)|파넨카]]로 팀의 8강행을 결정짓는 골을 만들어냈다.[* 이때 PK골을 넣고는 [[세르히오 라모스]]와 자주하던 펭귄 세레머니를 하고 기뻐했다.]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사이드백으로 기용되어 그야말로 상대를 틀어막는 질식수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8강 포르투갈전의 모습은 그야말로 우측면의 지배자. 팀은 '''아프리카 국가 최초 월드컵 4강 진출'''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4강 상대는 소속 팀 동료이자절친 [[킬리안 음바페]]가 이끌고 있는 프랑스. 역시나 4강전에서도 선발 출전했으나 팀은 0:2로 석패하며 3위 결정전으로 갔고 크로아티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도 1:2로 패배했다. 그래도 모로코의 주전 라이트백으로서 대회 내내 맹활약을 해준 끝에 팀은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의 대한민국 이후로 유럽, 남미 대륙이 아닌 국가가 20년 만에 4강에 진출하는 큰 족적을 남겼다. == 플레이 스타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tvti_sWcEs)]}}} || 양 풀백과 윙백이 모두 가능하다. 소속팀에서는 주로 오른쪽으로 나서지만 상황에 따라서 왼쪽으로도 나오고, 국가대표에서는 왼쪽으로 주로 나선다. 그 외에 도르트문트 시절에는 윙어로 나서기도 했다. 빠른 선수들이 많은 소속 팀에서도 최상위권에 들 정도로 엄청나게 빠른 스피드과 우월한 민첩성을 가졌다. 19-20 시즌 기준으로 '''36.49km/h'''의 최고 속력을 기록하며 이전까지 분데스리가 최고 속력이었던 35.06km/h[* [[킹슬리 코망]]의 기록]을 갱신했다.[* 이 기록은 같은 시즌에 [[알폰소 데이비스]]가 36.5km/h를 기록하여 1위 자리를 탈환했다.] 가끔은 특유의 유연한 신체능력을 활용해 측면 수비수들과의 1대1 경합을 시도해 제쳐내기도 한다. 이러한 폭발적인 스피드와 강인한 체력, 좋은 오버래핑 능력과 날카로운 컷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피치를 넓게 보고 상대의 측면을 빠르게 파고들어 크로스 각을 열거나, 반대쪽에서 공격이 진행될 때 공이 투입되는 시점에 맞추어서 직접 박스 안까지 뛰어들어 득점을 노리는 윙포워드 같은 플레이를 보여준다. 거기에 킥도 상당히 날카롭고 왼발 슈팅 능력도 갖춰서 득점력 역시 좋은 편이다.[* 오른쪽 윙백으로 많이 나서지만 마치 인버티드 윙어들처럼 중앙으로 파고들어 왼발로 슈팅을 때리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어느 정도냐면 본격적으로 포텐이 터진 첫 시즌인 19/20 시즌 리그 챔스 컵대회를 포함해서 9골 10도움이라는 웬만한 탑급 윙어 수준의 공격포인트를 쌓을 정도. 다만 준수한 공격력에 비해 수비력은 불안하다는 것이 약점. 과감한 오버래핑과 침투를 즐기는 선수인지라 역습 시 뒷공간을 쉽게 내주는 편이다. 상대가 파고들 때 이상한 위치선정으로 박스 주변의 측면 공간을 쉽게 열어주거나, 오프사이드 트랩을 파괴하는 등 수비력에서는 안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나마 빠른 주력과 적극적인 압박으로 상대의 크로스를 막거나 상대 윙어에게 뒤쳐져도 악착같이 쫓아가서 파울로 끊어내기도 하는 등 예전에 비해서는 수비적으로 많이 좋아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많은 부족함이 있는 편이다. 현대축구에서 공격과 수비는 분리할 수 없는 하나의 주체이기에 하키미가 공격적인 재능을 높이 평가받음에도 풀백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이유가 플레이스타일에서 드러난다. 그래서 양풀백과 윙백, 측면 미드필더까지 가능하지만 3백에서 윙백으로 나올 때처럼 수비적으로 부담을 적게 가지는 경우 가장 좋은 경기력과 기량을 보인다. 도르트문트 임대 시절 4백에서도 괜찮은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나, 3백의 오른쪽 윙백으로 출전할 때 가장 경기력이 좋았고, 지난 시즌 3백에서 오른쪽 윙백으로 출전하기 시작하면서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라이트백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다만 어마어마하게 빠르고 민첩하기 때문에 가려지는 부분이지만[* 윙백이다보니 후방에서부터 속도를 붙여 침투하기 때문에 상대 수비수가 더 막기 힘든 것도 있다.] 테크닉과 기본적인 볼 터치 자체는 평범한 편이다. 상당히 날카로운 편인 땅볼 크로스에 비해 로빙 크로스는 기복도 있는 편이고 전반적인 정확도가 살짝 아쉽다. 숏패스 역시 바로 앞의 동료에게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등 다소 경직된 볼처리 또한 하키미가 고쳐야 할 점으로 지적받지만 월드클래스 풀백 및 윙어로 꼽히고 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레알 마드리드 CF]] (2017~2020) * [[UEFA 챔피언스 리그]]: 2017-18 * [[UEFA 슈퍼컵]]: 2017 * [[FIFA 클럽 월드컵]]: 2017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8~2020) * [[DFL-슈퍼컵]]: 2019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20~2021) * [[세리에 A]]: 2020-21 * [[파리 생제르맹 FC]] (2021~ ) * [[리그 1]]: 2021-22, 2022-23 * [[트로페 데 샹피옹]]: 2022 === 개인 수상 === * [[FIFA FIFPro 월드 XI]]: 2022 * [[UEFA 챔피언스 리그]] Breakthrough XI: 2019 * [[VDV 11]]: 2019-20 * [[분데스리가]] 올해의 팀: 2019-20 * 분데스리가 이달의 루키: 2018년 9월 · 11월, 2019년 12월 * [[세리에 A 올해의 팀]]: 2020-21 * [[UNFP 올해의 팀|UNFP 리그 1 올해의 팀]]: 2022-23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토너먼트의 팀: 2021 * CAF 올해의 영플레이어: 2018, 2019 * CAF 올해의 팀: 2019 * [[ESM 올해의 팀]]: 2020-21 * IFFHS 올타임 모나코 드림팀: 2022 * IFFHS 월드팀: 2021, 2022 * IFFHS CAF팀: 2020, 2021, 2022 * 글로브 사커 어워즈 올해의 최우수 신인 아랍 선수: 2019 * 최우수 해외 모로코 선수: 2020-21, 2021-22 === 수훈 === * Order of the Throne: 2022 == 사건 사고 == ##일반 문서 편집지침상 '사건사고' 보다 '사건 사고' 서술을 우선합니다. 해당 주석의 정당한 사유 없는 삭제 또는 수정 및 문단명의 정당한 사유 없는 변경을 삼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3월 3일. 성폭행 혐의로 기소됐다.[[https://m.yna.co.kr/view/AKR20230304002400081?section=international/all|#]] 2월 25일 파리 외곽 불로뉴 빌랑쿠르에 있는 자택에서 소셜미디어(SNS)로 알게 된 여성(24)을 성폭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하키미는 지난 1월부터 연락하고 지낸 이 여성이 집에 오도록 돈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여성은 그다음 날 하키미를 경찰에 고소했다. 하키미가 이혼소송을 준비 중에 위자료를 덜 주기 위해 자신의 돈을 거의 전부 엄마 명의로 해놨다는 사실이 들통났다. 외국에서는 그의 부인이 골드 디거이고 하키미가 시그마 메일이라며 칭송하거나, 세상에서 가장 돈이 없는 축구선수라며 온갖 드립을 만들어 내는 중. == 여담 == * 스페인 태생으로 아버지는 노점상, 어머니는 가정부 일을하며 하키미를 키웠다고 한다. [[https://twitter.com/MaekJuBot/status/1601492968095232003|모로코 8강 진출 이후 어머니와 기쁨을 나누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 FIFA의 유소년 영입 관련 조사에 휘말린 적이 있던 선수다. * 굽 있는 신발을 자주 신는다. * [[파일:FB_IMG_1584281227235.jpg]]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자가격리]] 권고를 받자, 집에서 새벽 [[리그 오브 레전드|롤]] 5인큐를 돌린 것이 알려졌다. [[티보 쿠르투아]], [[세르히오 레길론]], [[보르하 이글레시아스]], 프로게이머 이바이[* [[제라르 피케]]와 함께 스페인 프로게임단 [[KOI(프로게임단)|KOI]]의 공동 설립자이자 소유주이다.]와 같이 한 것으로 보인다. 닉네임은 ahakimi5인듯 [[파일:prayforfloyd.jpg]] * 도르트문트 시절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하키미도 골 세리머니로 안에 입은 티셔츠에 [[조지 플로이드 사망 항의 시위|Justice for George Floyd]]라는 글귀를 새겨넣어 그를 추모하고 있다. * 레알, 돌문, 인테르, PSG 등 빅클럽에서만 뛰었다. 아직 유일하게 PL에서 뛴 경험만 없다. === WAGs === 12살 많은 스페인의 배우 [[히바 아부크]]와 교제하다가 2020년 2월에 장남 아민 하키미가 태어나고 나서 혼인신고를 했다. 아부크는 1986년생이며 리비아 출신 아버지와 튀니지 출신 어머니를 가진 삼중국적자이다. 그리고 2년 뒤, 차남이 태어났다. 2023년 3월, 하술할 하키미의 성폭행 혐의에 충격을 받아 아부크가 이혼을 준비 중이라는 기사가 보도됐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4800460|#]] 성폭행 혐의는 일단 하키미의 주장대로 꽃뱀인 것으로 일단락되었지만, 이미 신뢰를 잃은 부부는 결국 이혼하였다. 애초에 부부가 자라온 이슬람권 환경에서 간통은 용납되기 어렵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파리 생제르맹 FC)] [include(틀: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FIFA 월드컵))] [각주] [[분류:1998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마드리드 출신 인물]][[분류:모로코의 축구선수]][[분류:수비수]][[분류:라이트백]][[분류: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CF/은퇴, 이적]][[분류: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은퇴, 이적]][[분류: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은퇴, 이적]][[분류:파리 생제르맹 FC/현역]][[분류:모로코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모로코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참가 선수]][[분류: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참가 선수]][[분류:모로코의 무슬림]][[분류:모로코계 스페인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리그 오브 레전드/게이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