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여자프로농구)] ---- ||<-4> [[파일: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엠블럼.svg|width=220]] || ||<-4> {{{+1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4> {{{+1 '''ASAN WOORI BANK WOORI WON'''}}} || || '''정식 명칭''' ||<-3> 우리은행 우리WON 여자 프로 농구단 || || '''영문 명칭''' ||<-3> Woori Bank Wooti Won Women's Pro Basketball Club || || '''창단''' ||<-3> [[1958년]] || || '''구단명 변천''' ||<-3> 상업은행 여자 농구단 (1958~1998) [br] 한빛은행 한새 (1998~2001) [br] 춘천 한빛은행 한새 (2001~2002) [br] 춘천 우리은행 한새 (2002~2016) [br] 아산 우리은행 위비 (2016~2021) [br] '''{{{#0066b3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2021~ ) || || '''연고지 변천''' ||<-3> [[강원도]] [[춘천시]] (2001~2016) [br]'''[[충청남도]] [[아산시]]''' (2016~ ) || || '''운영 법인''' ||<-3> 주식회사한국상업은행[*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실업 구단으로서 한국상업은행이 직접 운영했다.] (1958~1998)[br]주식회사한빛은행[*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모기업 법인에서 직접 운영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는 그러한 형태의 구단을 '부서형 구단'으로 분류한다.] (1998~2002)[br]주식회사우리은행[*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모기업 법인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는 그러한 형태의 구단을 '부서형 구단'으로 분류한다.] (2002~ ) || || '''모기업''' ||<-3> [[우리은행|[[파일:우리은행 CI.svg|width=80]]]] || || '''구단주''' ||<-3> [[이원덕]] || || '''단장''' ||<-3> 전성찬 || || '''감독''' ||<-3> [[위성우]] || || '''주장''' ||<-3> [[김단비(1990)|김단비]] || || '''구단 사무국''' ||<-3>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소공로]] 51 ([[회현동1가]])[* 우리은행 본점] || || '''홈구장 변천''' ||<-3> [[춘천호반체육관]] (2002~2016 / 3,484석)[br]와동체육관(2011 / 1,106석)[* [[https://www.wkbl.or.kr/m/news/notice_view.asp?num=5064&page=53| ]]][br]'''[[아산이순신체육관]]''' (2016~ / 3,300석)''' || || '''클럽 하우스''' ||<-3> 우리은행 체육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돌곶이로]] 34길 12 ([[장위동]])] || || '''키트 스폰서''' ||<-3> [[스케쳐스|[[파일:스케쳐스 로고.svg|width=80]]]] || ||<|2> '''마스코트''' ||<-3> [[파일: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마스코트.svg|height=150]] || ||<-3> ''',,위나,,''' || || '''링크''' ||<-3> [[https://wooriwon.wooribank.com/basketball/main/main.php|[[파일: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엠블럼.svg|width=30]]]] | [[https://youtube.com/c/wooribank_k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우리은행[* 농구단 계정은 없으나 모기업인 우리은행이 기업 계정에 훈련이나 경기 영상을 가끔 게시한다.],, | [[https://www.facebook.com/wooriwonbasketbal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wooriwon_basketbal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4> {{{#ffffff '''우승 기록'''}}} || ||<-4> {{{#ffc81e ★★★★★★★★★★★★}}} [br] '''{{{+1 {{{#fff 최종 우승}}} }}}''' [br] {{{#fff (12회)}}} || ||<-4> '''{{{#010048 역대 우승 엠블럼}}}''' || || [[파일:external/s9.tinypic.com/2wqydrp_th.jpg|width=60]] || [[파일:external/oi68.tinypic.com/21i6c.jpg|width=60]] || [[파일:external/oi64.tinypic.com/2wfs494.jpg|width=60]] || [[파일:external/s9.tinypic.com/mv474m_th.jpg|width=60]] || || {{{#000000 '''2003 겨울'''}}} || '''2003 여름''' || '''2005 겨울''' || '''2006 겨울''' || || [[파일:external/oi65.tinypic.com/25qvg9t.jpg|width=60]] || [[파일:external/s9.tinypic.com/2ldvihd_th.jpg|width=60]] || [[파일:external/oi65.tinypic.com/xpomdu.jpg|width=60]] || [[파일:external/hansae.wooribank.com/emblem_08.jpg|width=60]] || || {{{#000000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 [[파일:external/oi63.tinypic.com/20pplbd.jpg|width=60]] || [[파일:우리은행 V10.jpg|width=60]] || [[파일:우리은행 V11.jpg|width=60]] || [[파일:https://wooriwon.wooribank.com/images/basketball/emblem_12.jpg|width=60]] || || {{{#000000 '''2016-17'''}}} || '''2017-18''' || '''2019-20''',,[* 챔피언 결정전 우승이 아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인해 시즌 자체를 조기에 종료했다. 그러나 [[한국여자농구연맹]]은 종료 시점에서 리그 1위였던 우리은행의 2019-20 시즌 우승을 [[http://naver.me/GUk3fekp|인정했다.]] 동일한 상황의 [[V-리그]] 남자부 및 여자부, [[한국프로농구]] 등 다른 국내 프로 스포츠 리그는 정규 리그 1위 구단의 우승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챔결 없이 우승한 건 공식으로 챔결을 폐지한 K리그를 빼면 KBO 리그의 [[삼성 라이온즈]]를 이은 2번째 사례이다.],, || '''2022-23''' || ||<-4> {{{#ffffff '''정규 리그 우승'''}}} [br] {{{#ffffff (14회)}}} || ||<-4> {{{#000000 '''1999 겨울, 2003 겨울, 2005 겨울 2005 여름, 2006 겨울,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9-20, 2020-21, 2022-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리금융그룹]] 산하 [[여자]] 프로 [[농구]]단. 현존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단 중 가장 많은 리그 우승[* 사실 11번째 우승은 코로나19로 인해 시즌을 중단하고 플레이오프를 비롯한 챔피언 결정전을 치르지 않고 우승을 인정했다. 그래서 코로나19로 시즌을 중단했지만 단순히 정규 리그 1위로만 인정한 일반적인 경우와 많이 다르다.]과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연고지는 [[한국여자농구연맹]]이 연고지 정책을 시행한 2001년 이래 [[강원도]] [[춘천시]]였고 춘천시 석사동의 [[춘천호반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2015-16 시즌 종료 후 [[충청남도]] [[아산시]]로 [[연고지 이전]]을 발표했다.[[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76&aid=0002910957|우리은행 15년만 연고지 이전, '아산 시대' 연다.]] 현재의 홈구장은 풍기동에 위치한 [[아산이순신체육관]]이다. 연습 체육관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돌곶이로34길 12(舊 장위2동 76-3)에 있다. 실업 시절 마스코트는 다람쥐였다. 1999년 구단명 변경 후에는 한새[* [[황새]]를 고유어로 표현한 것이었다.]였으나 연고 이전과 함께 구단명, 엠블럼 교체 작업을 거쳐 꿀벌[* [[우리은행]]의 모바일 은행인 위비의 광고에 나오는 꿀벌]로 변경했다.[[http://m.sports.khan.co.kr/view.html?med_id=skhan&artid=201603281108273&code=530301|#]] --한새 돌려줘-- --꿈도 희망도 없는 저 꿀벌인지 젤리인지는 뭐야..--[* 2015 - 2016 챔피언결정전 당시 응원석에 위비 마스코트의 작은 인형을 나누어준 적이 있었다. 물론 이 때는 마스코트가 교체될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2021년 9월 16일, 구단명을 '우리은행 우리WON 여자프로농구단'으로 재차 변경한다고 발표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basketball/article/065/0000220586|#]] 이번 변경은 우리은행 대표 브랜드인 'WON'을 활용하여 디지털 브랜드를 널리 알리고 팬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구단의 비전을 담아냈다고 한다. 엠블럼과 마스코트 또한 변경했다. 새롭게 공개한 엠블럼은 경쟁자의 도전을 막아내고 고객의 자산을 지켜주는 의미의 방패를 모티브로 삼았다. 새로운 마스코트 ‘위나’는 ‘We’와 ‘나’의 합성어로 ‘WOORI’와 ‘WON’의 공통상징인 ‘W’모양의 왕관을 활용하여 여자 농구 절대 강자를 표현했다.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역사)] == 비판 및 사건·사고 == === 2007년 박명수 감독 성추행 사건 === 박명수 감독은 2003년 우리은행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이끈 감독이다. 그리고 또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대한민국 여자농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또한 우리은행은 이 시기 무려 4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7년 4월... 박명수 감독이 미국 전지훈련 시절 소속 선수를 성폭행하며 박명수 감독은 WKBL에서 [[영구제명]] 조치가 떨어졌다. 그리고 구단은 2007-08 시즌 5위로 떨어지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이것은 그저 흑역사의 시작이다. === 2011년 김광은 감독 선수 폭행 사건 === 2011년 [[김광은]] 감독이 우리은행의 에이스 박혜진을 폭행한 사건이었다. 결국 우리은행은 사상 최악의 시즌을 달리게 되었고 박혜진도 데뷔 이후 가장 힘든 시즌을 달리게 되었다. 결국... 김광은 감독은 경질당했다. 그리고 조혜진이 감독대행으로 부임하였다. 성적은 7승 33패... 4연속 최하위를 달리게 되었다. 이 두 번의 사건이 우리은행을 나락에 빠진 사건이다. 그래도 그 이후 우리은행은 위성우 감독 전주원 코치를 만나 7번의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달성하였다. == 이모저모 == * 은행 간의 대리전 성격을 띠는 WKBL에서 항상 [[청주 KB 스타즈|국민은행]]을 압도했다는 점이 수뇌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는지, 모기업 우리은행으로부터 우승 포상금으로 5억이나 받았다.[* KB국민은행은 WKBL 출범 이후 __2018-19 시즌에 챔프전 첫 우승을 하였다.__ 정규리그 우승은 3번.] * [[2007년]] [[4월]] 감독이었던 [[박명수(농구)|박명수]][* 당연하지만 코미디언 혹은 방송인 [[박명수]]나 [[박명수(1987)|前 프로게이머 박명수]]와는 [[동명이인]]. 그 때문에 당시 포털사이트에 '[[박명수(농구)|박명수]] 구속'이란 검색어가 떴을 때 연예인 [[박명수]]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저 멀쩡합니다." 라고 짧게 해명했다.]는 [[천하의 개쌍놈]]이었다. 바로 소속 선수를 성폭행 미수 및 성추행을 한 것이다. 유죄 선고를 받아 결국 [[영구제명]]으로 퇴출했지만 구단 역사에서 가장 어두운 [[흑역사]] 중 하나였다. 그런 짓만 하지 않았어도 우승 4번을 이끈 명장으로 추앙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의 졸전을 빼놓아선 안 되지.~~ 결국 이 사건의 충격으로 우리은행은 [[위성우]] 감독이 오기 전까지 수년 간 암흑기를 맞게 된다. * 유독 구단 내 부조리가 크게 터지는 구단이다. 위의 [[박명수(농구)|박명수]] 건도 그렇고 2011-12 시즌에는 김광은 감독 역시 [[천하의 개쌍놈]] 짓을 했다. 이 사건의 피해자가 [[박혜진(농구선수)|박혜진]]이었고 같은 구단에 있었던 친언니 [[박언주]]가 폭로하여 알려졌다. 결국 시즌 중 김광은 감독은 자진 사임하고 코치로 있던 프랜차이즈 스타 [[조혜진]]을 감독 대행으로 선임했다. 하지만 조혜진 감독 대행 역시 두 번의 선수구타 사건을 수수방관 두둔했던 점이 있어 팬덤에서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후 박혜진은 [[위성우]] 감독이 부임한 후에도 계속 [[우리은행]]에서 뛰고 있지만, 친언니 박언주는 그 시즌이 끝나면 FA였는데, 시즌을 마친 후 결국 아무 구단으로부터 부름을 받지 못했다....[* 누가 보더라도 구단 측의 보복이다. 다른 구단들도 눈치채고 박언주 선수의 영입을 포기했다. 구단은 구단 내 사건을 묻는 선수를 선호하지, 터뜨리는 선수는 싫어한다.] 이후 박언주는 실업 구단 사천시청에서 2년 간 뛰다가 2013-14 시즌을 마친 후 그 때 맺지 못한 FA 계약을 맺고 복귀한다. * WKBL 구단 가운데 단 한 번도 연고지를 옮기지 않은 유일한 구단이'''었'''다. 단, 남춘천역이나 춘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가기에는 교통이 너무 나빠 택시에 의존하는데다 강원도의 혹한에 체육관이 얼어붙으면 답이 없다. 2011년 1월 27일 우리은행:삼성의 경기는 안산 와동체육관(신한은행의 옛 홈구장)으로 옮겨 진행했다.[* 당시 상대 삼성생명은 7년후 용인체육관이 정전되는 불상사를 겪었다.] 거기에 춘천은 관중동원력는 6개 구단 연고지 중 최악이었다. 참고로 팬들 사이에 유독 연고이전 루머가 많이 돌아다니는 구단이었다. 그러나 연고정착제 원년부터 춘천에 있었고, 시간이 오래 흘러가면서 팬들은 연고이전을 않을 것라고 생각했지만... 2016년 3월 28일에 아산으로 연고이전 발표를 했다. * 통합 시즌 출범 후(2007-08 시즌) 2011-12 시즌까지 '''단 한 번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었다. ~~이게 다 [[박명수(농구)|어떤 놈]] 때문이다~~ 그나마 2012-13 시즌 이후 2017-2018시즌까지 리그를 독주했던 것으로 위안을 삼을 수 있겠다. * [[위성우]] 감독 체제 하에서 벌어지는 것 중 하나는 우승하면 선수들이 정규 시즌,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하면 감독을 헹가레 친 후 넘어뜨려서 발로 밟는다는 것이다. 위성우 감독이 워낙 선수들을 혹독하게 훈련시키다보니 나온 애증의 표현이라고 한다. 그리고 2014-15 시즌에는 기어코 코치까지 밟았는데, 이쪽은 공약 때문이었다. * 같은 모기업 산하의 배구단 [[서울 우리카드 위비]]가 장충체육관 공사로 임시로 세 시즌 동안 사용하던 이순신체육관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 곳에 있는 세 시즌 동안 우리카드 한새는 4위-4위-7위라는 기록을 남기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으나, 아산 우리은행 위비는 아산에서의 첫 시즌인 2016-17 시즌에 곧바로 통합 우승을 따냈다. 2018-19 시즌은 동반 플옵 진출, ~~동반 탈락~~했다. * 선수단 버스로 [[https://youtu.be/1SUIdcWoKBw|프리미엄 고속버스]]를 운행하는 구단 중 하나다. [* 과거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도 프리미엄 고속버스로 이동했다.] * 2019-20 시즌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조기에 종료하면서 특이하게도 정규 시즌 우승을 기록했다. 당초 이 때문에 챔피언 결정전 우승이 아닌 관계로[* 같은 19-20 시즌에 우리금융 계열에서 운영하는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다른 배구단]]도 정규 리그 1위를 기록했지만 우승으로 인정 받지는 못했다.] V11으로 합산할지 여부가 미지수였으나 결국 V11으로 인정 받았다. * 아산시는 우리은행의 관계가 꽤 친밀하다. 2021년 시즌부터 우리금융그룹과 함께 같은 아산시 연고인 [[충남 아산 FC]]의 서브 스폰서로 선정했기 때문이다. * 크리스마스에 경기를 한 적이 없다고 한다. * 공식 영구 결번은 아니지만 2019-20 시즌 이후로 어느 선수에게도 [[임영희|11번]]을 주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11번을 사용했던 선수는 [[오승인]][* 2019-20 시즌 이후 20-21시즌 9번, 2021-22 시즌에는 21번, 2022-23 시즌부터는 다시 9번을 사용하고 있다.]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kBHsvdXgnTQ|해당 동영상을 참고하면 된다.]][* 해당 영상 중간에 김은선 선수가 3번을 택한 이유가 나온다. 참고로 김은선 선수는 고등학교까지 11번을 사용했다.] *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프로 스포츠단 중 최다 우승을 기록한 곳이다.[* 사실 11번째 우승은 코로나19로 인해 시즌을 중단하고 플레이오프를 비롯한 챔피언 결정전을 치르지 않고 우승을 인정했다. 그래서 코로나19로 시즌을 중단했지만 단순히 정규 리그 1위로만 인정한 일반적인 경우와 많이 다르다.] 2위는 11회 우승의 [[KIA 타이거즈]]고, 3위는 10회 우승의 [[T1/리그 오브 레전드|LoL T1]]이다. == 경력 == === 한국여자프로농구 === * 2003 우리금융그룹배 여자프로농구 겨울 리그 통합 우승 * 2003 우리금융그룹배 여자프로농구 여름 리그 챔피언 결정전 우승[* V5를 달성한 시점에서 보자면 유일하게 통합우승을 이루지 못한 시즌이었다. 03년 여름시즌 당시 경쟁자였던 삼성생명은 정규시즌 개막이후 15연승을 올린 막강한 전력이었고 우승 청부사 캐칭은 플레이오프부터 합류했다.] * 2005 KB스타배 여자프로농구 겨울 리그 통합 우승 * 2006 금호아시아나배 여자프로농구 겨울 리그 통합 우승 * 2012-13 KDB금융그룹배 여자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3-14 우리은행배 여자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4-15 KB국민은행 여자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5-16 KDB생명 여자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6-17 삼성생명 여자프로농구 통합 우승(정규리그 최고 승률 +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33승 2패, 94.28%)) * 2017-18 신한은행 여자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8-19 우리은행 여자프로농구 정규 리그 2위 * 2019-20 하나원큐 여자프로농구 최종 우승[*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 때문에 27경기를 치른 시점에서 시즌을 조기에 종결했다. 챔피언 결정전을 비롯한 플레이오프는 일절 치르지 않기로 했고 시즌 종료 시점의 순위를 최종 순위로 준용하게 됐다. 결국 2위 [[청주 KB 스타즈]]에 1.5경기 차이로 앞서면서 정규 리그 우승을 거머쥐었고 플레이오프 자체가 없는 시즌인데도 연맹은 우리은행을 최종 우승 구단으로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시즌을 중단했지만 단순히 정규 리그 1위로만 인정한 일반적인 여타 리그(남자 농구, 남녀 배구 등)의 경우와 많이 다르다.](최다 우승 타이 기록) * 2020 하나원큐 트리플잼 1차 대회 우승 * 2020-21 KB국민은행 LiiV M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우승 * 2022-23 신한은행 여자프로농구 통합 우승(프로 구단 최다 우승, 12회) === 기타 대회 성적 === * 2013년 우리은행 2013 아시아 W 챔피언십 우승 원래 이 대회에서는 일본 JX Eneos 구단의 우승이 점쳐졌으나[* 당시 JX Eneos는 오가 유코, 요시다 아사미, 도카시키 라무 등 일본 국가대표에서 주전을 맡고있던 선수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었다. 그리고 위 선수들이 포함된 일본국대가 한국국대의 위상을 위협하고 있던 시기였기에 이러한 예상이 많았다.] 예상을 깨고 우리은행이 우승을 가져갔다.[* 우리은행은 대회 전 있었던 2012-13 시즌에 통합 우승을 달성한 곳이기는 하나 아직 뭔가 강팀으로서의 면모가 부족했었고 더욱이 국대경험이 있던 선수가 별로 없었는데다가[* 비록 [[임영희]], 배혜윤, 김은혜 선수가 국대경험이 있었으나 임영희와 배혜윤 선수는 식스맨으로, 김은혜 선수는 04년 아테네 올림픽때 한 번 출전한 게 전부이고 활약도 미미해서 세 선수의 국대경험을 전력에 플러스 요인으로 보기 힘들다.] 센터진의 높이도 낮아 우리은행의 우승을 예상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 == 역대 성적 == ||­ || 우승 || ||­||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연도||순위/구단 수||포스트 시즌||경기 수||승||패||승률|| ||<-7> {{{#fff 춘천 한빛은행 한새}}} || ||1998여름||3/5|| 3위 ||8||4||4||0.500|| ||1999겨울||'''{{{#red,#ff0000 1}}}'''/6|| 준우승 ||5||4||1||0.800|| ||1999여름||6/8|| 6위 ||15||5||10||0.333|| ||2000겨울||3/5|| 3위 ||8||4||4||0.500|| ||2000여름||5/6|| 5위 ||20||9||11||0.450|| ||2001겨울||4/6|| 준우승 ||10||5||5||0.500|| ||2001여름||3/6|| 3위 ||25||13||12||0.520|| ||2002겨울||5/6|| 5위 ||25||10||15||0.400|| ||<-7> {{{#fff 춘천 우리은행 한새}}} || ||2002여름||3/6|| 3위 ||15||9||6||0.600|| ||2003겨울||'''{{{#red,#ff0000 1}}}'''/6|| '''{{{#000000 V1 }}}''' ||20||14||6||0.700|| ||2003여름||3/6|| '''{{{#000000 V2 }}}''' ||20||12||8||0.600|| ||2004겨울||4/6|| 4위 ||20||10||10||0.500|| ||2005겨울||'''{{{#red,#ff0000 1}}}'''/6|| '''{{{#000000 V3 }}}''' ||20||13||7||0.650|| ||2005여름||'''{{{#red,#ff0000 1}}}'''/6|| 준우승 ||20||15||5||0.750|| ||2006겨울||'''{{{#red,#ff0000 1}}}'''/6|| '''{{{#000000 V4 }}}''' ||20||15||5||0.750|| ||2006여름||3/6|| 3위 ||15||8||7||0.533|| ||2007겨울||2/6|| 3위 ||20||14||6||0.700|| ||07-08||5/6|| 5위 ||35||11||24||0.314|| ||08-09||'''{{{#blue,#0000ff 6}}}'''/6|| 6위 ||40||7||33||0.175|| ||09-10||'''{{{#blue,#0000ff 6}}}'''/6|| 6위 ||40||9||31||0.225|| ||10-11||'''{{{#blue,#0000ff 6}}}'''/6|| 6위 ||35||5||30||0.143|| ||11-12||'''{{{#blue,#0000ff 6}}}'''/6|| 6위 ||40||7||33||0.175|| ||12-13||'''{{{#red,#ff0000 1}}}'''/6|| '''{{{#000000 V5 }}}''' ||35||24||11||0.686|| ||13-14||'''{{{#red,#ff0000 1}}}'''/6|| '''{{{#000000 V6 }}}''' ||35||25||10||0.714|| ||14-15||'''{{{#red,#ff0000 1}}}'''/6|| '''{{{#000000 V7 }}}''' ||35||28||7||0.800|| ||15-16||'''{{{#red,#ff0000 1}}}'''/6|| '''{{{#000000 V8 }}}''' ||35||28||7||0.800|| ||<-7> {{{#fff 아산 우리은행 위비}}} || ||16-17||'''{{{#red,#ff0000 1}}}'''/6|| '''{{{#000000 V9 }}}''' ||35||33||2||0.943|| ||17-18||'''{{{#red,#ff0000 1}}}'''/6|| '''{{{#000000 V10 }}}''' ||35||29||6||0.829|| ||18-19||2/6|| 3위 ||35||27||8||0.771|| ||19-20||'''{{{#red,#ff0000 1}}}'''/6|| '''{{{#000000 V11}}}'''[*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플레이오프 및 챔피언 결정전을 진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 여타 리그와 다르게 정규 리그 중단 시점의 순위를 최종 순위로 결정한 후 1위 우리은행에게 우승 구단 자격을 부여했다.] ||27||21||6||0.778|| ||20-21||'''{{{#red,#ff0000 1}}}'''/6|| 3위 ||30||22||8||0.733|| ||<-7> {{{#fff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21-22||'''{{{#red,#ff0000 }}}'''2/6|| 준우승 ||30||21||9||0.700|| ||22-23||'''{{{#red,#ff0000 1}}}'''/6|| '''{{{#000000 V12}}}''' ||30||25||5||0.833|| * 처절한 암흑기를 겪었다가 위성우 감독을 만나 4시즌 연속 최하위에서 6시즌 연속 우승이라는 위업을 쌓았다. 또한 아산에 자리잡은 이래 매 시즌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고 있다. == 역대 감독 == [include(틀: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감독)] == 현재 선수단 == [include(틀: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선수단)] == 역대 선수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선수단 역사)] == 응원단 == ||<-2> {{{#fff '''2023-24 시즌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응원단'''}}} || || {{{#fff 응원단장}}} || [[한재권]] || || {{{#fff 장내 아나운서}}} || [[유재환(1985)|유재환]] || || {{{#fff 치어리더}}} || [[이나경(치어리더)|이나경]], [[서현숙(치어리더)|서현숙]], [[이다영(치어리더)|이다영]], [[정희정]], [[고가빈]], [[안혜지(치어리더)|안혜지]][br][[박하정]], [[문혜진]], [[박소현(치어리더)|박소현]], 정다혜 || == 역대 엠블럼 & 마스코트 == ||
[[파일:우리은행 한새 로고.svg|height=150]] ||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height=150]] || [[파일: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엠블럼.svg|height=150]] || ||<:> [[파일:우리은행 한새 마스코트.svg|height=150]] ||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마스코트.svg|height=150]] || [[파일: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마스코트.svg|height=150]] || || '''{{{#ffffff 우리은행 한새 }}}''' || '''{{{#ffffff 우리은행 위비 }}}''' || '''{{{#ffffff 우리은행 우리WON }}}''' || * 구단명이 바뀜에 따라 로고와 마스코트가 변경되었다. (한새 - 위비 - 우리WON,,(위나),,) == 둘러보기 == [include(틀:우리금융그룹)] [include(틀:우리금융그룹 스포츠단)] [include(틀:충청남도/스포츠)] [[분류:아산 우리은행 우리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