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체 법칙]] [include(틀:통계역학)] [include(틀:기체 법칙)] [목차] == 개요 == {{{+1 Legge di Avogadro / Avogadro [[法]][[則]]}}} [[아메데오 아보가드로]]가 만든 법칙. == 상세 == ||'''[math(\displaystyle V \propto n)]'''|| ||'''등온/등압 조건에서 동일한 수의 기체 분자들은 기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같은 부피를 차지한다.'''|| 다시 말해 같은 온도와 같은 압력에서 일정 부피 안에 들어 있는 입자 수는 기체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하다. 이때 [math(\rm0\,\degree\!C)], [math(\rm1\,atm)]에서 [[이상 기체]] [math(\rm22.4\,L)] 속에는 입자 1[[몰]]이 존재한다.[* 실제 기체의 경우 정확히 입자 1몰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상온 상압에서는 오차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아메데오 아보가드로]]는 이 아보가드로의 법칙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법칙의 존재를 가능케 한 [[분자설]] 역시 아보가드로의 공이다. 아보가드로는 이 논문에서 [[존 돌턴]]의 원자론에 입각하여 1808년에 발견된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기초로 하여 [[원자설]]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였고 그 결과 [[분자설]]을 내놓았으나 생전에는 인정받지 못했다. 아보가드로 법칙을 정의하기 위해선 분자의 수를 정확히 정의해야 한다. 이때 보통 사용하는 단위가 [[몰(단위)|몰]]이다. 어떤 요소입자가 [[아보가드로 수]]([math(6.022\,140\,76\times10^{23})]개)만큼 존재할 때, 이 양을 1몰이라고 한다.[* 2019년 국제단위계의 재정의에 따라 좀 더 엄밀하게는 '아보가드로 상수([math(N_{\rm A})])당 [math(6.022\,140\,76\times10^{23})]개가 [math(\rm1\,mol)]이다'로 정의된다. [[아보가드로 상수]]의 단위가 [math(\rm mol^{-1})], 즉 '[math(\rm1\,mol)]당 값'을 의미하기 때문.]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기체 반응 법칙]], 아보가드로 법칙을 전부 한데 묶어 일반화한 것이 [[이상 기체 법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