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자생물학&생화학)] [목차] == 개요 == amylase. [[효소]]의 일종[* -ase라는 접미사는 '자르다(cut)'를 의미한다.]이다. == 표기 == 굉장히 다양하게 부르는데, 교과서의 표기가 계속해서 바뀌었기에 세대마다 다르게 부른다. [[네이버 사전|네이버 국어사전]]에 등록된 것만 보면 다음과 같다. (규범 표기는 굵게 표시) * '''아밀레이스''' * '''아밀라아제''' * 아밀라제 현재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영어식 발음인 아밀레이스로 표기되어 있다.[* 엄밀하게는 영국식 영어나 미국식 영어와 일치하지 않는다. "애"로 발음되는 a를 "아"로 바꾸고, myl은 영국식 발음인 애밀레이즈(/æmɪleɪz/)에서 따오고, ase는 미국식 발음인 애멀레이스(/æməleɪs/)에서 따온 표기법이다.] '''아밀라아제'''는 독일어식 표현이다.([[https://youtu.be/nzHs19A4_98|독일어 발음 듣기]]) 이 두가지 표기에 대해서 학술용어를 과학계의 대세에 따라 영어식으로 바꾸려고 하는 [[대한화학회]]와 '''최초 발견자, 발명자의 명명법 우선론'''을 따르는 생물협회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04/2016030401788.html|대립중이다]].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아밀라아제와 아밀레이스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아밀라제는 우리말샘에 수록되었으나 규범표기는 아니다. == 상세 == 이름대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 다시 말해서 [[녹말]]을 [[말토스]]로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두 종류의 물질에 작용하는 몇 안되는 다대일 대응하는 효소다. '''[[탄수화물]] 대사의 첫 주자.''' 한국의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아밀레이스는 녹말을 엿당(말토스)과 [[덱스트린]]으로 분해한다'''고 되어 있으니 이참에 외워두면 여러 모로 유용할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덱스트린은 교육과정에는 특별히 언급을 하지 않고 입 안의 소화효소에 의해 녹말이 분해된 산물이라는 정도로만 기록되어 있는데, 이렇게 적힌 이유가 덱스트린은 녹말이 분해되면서 말토스가 생성될 때 생성되는 여러가지의 중간산물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분해물인 녹말보다는 작고 생성물인 말토스보다는 큰 분자량의 총칭인 셈이다. [[염소(원소)|염소]]와 [[칼슘]] [[이온(화학)|이온]]이 들어가 있는 효소로, [[편도결석]]의 재료가 되기도 한다. [[사람]]은 [[유인원]] 중에서 특이하게 침샘에서 아밀레이스가 분비 된다. 이것은 탄수화물이 많이 포함된 구근식물을 섭취하면서 생긴 능력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사람의 경우 [[타액]]과 [[췌장]]액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효소이며, 타액에 있는 아밀레이스를 '''프티알린''', 췌장액에 있는 아밀레이스를 '''아밀롭신'''이라고 칭한다.[* 두 군데서 분비되는 이유는 녹말의 주성분인 아밀로스 및 아밀로펙틴이 분자 단위가 '''너무 길어서''' 한 번에 분해되지 않기 때문.] 사람의 경우 5개의 유전자에 의해 효소 단백질이 인코딩되고 췌장 아밀레이스 (pancreatic amylase) 유전자 2개 (AMY2A, AMY2B), 침샘 아밀레이스 (salivary amylase) 유전자 3개 (AMYIA, AMYIB, AMYIC) 가 존재한다. 이러한 여러 형태의 효소가 동일한 물질에 대해 작용을 하는 것을 isoenzyme 이라 부르는데, 이 효소 단백질은 혈액과 오줌에서도 발견이 되기 때문에 급성 췌장염 등 췌장 질환 진단 등에 사용된다. 수용성 탄수화물에는 침샘 아밀레이스(프티알린)의 분해 능력이 더 좋고, 비수용성 탄수화물에는 췌장 아밀레이스(아밀롭신)의 분해 능력이 더 좋다. α, β, γ형의 세 종류가 있다. α-아밀레이스는 일반적인 동물 및 식물에서 쓰이며, β-아밀레이스는 고등식물 및 [[균류]]에 존재한다. 이 셋을 통틀어서 ''''다이아스테이스''''라고도 칭하는데, [[무즙 파동]]을 일으킨 그 원흉이다[* 무에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4px-Salivary_alpha-amylase_1SMD.png]] α-아밀레이스의 렌더링 이미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xfr_b_amylase.png]] β-아밀레이스 과일이 숙성되거나 곡물이 발아할 때 합성되기 때문에 [[맥주]]와 같은 곡물 [[양조주]]나 [[식혜]], [[조청]], [[엿]] 따위를 만들 때 녹말을 분해하기 위한 용도로 [[보리]]의 싹인 [[엿기름]]이 이용된다. [[분류: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