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사보이아 공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a0000, #cd0000 20%, #cd0000 80%, #9a0000)" '''{{{#fff 아메데오 8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사보이아 백작)] ---- [include(틀:역대 가톨릭 대립교황)]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a0000, #cd0000 20%, #cd0000 80%, #9a0000)" '''[[사보이아 공국|{{{#fff 사보이아 공작}}}]][br]{{{+1 아메데오 8세}}}[br]Amedeo VIII, Duca di Savoi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medeo_VIII_di_Savoia.jpg|width=100%]]}}} || ||<|2> '''출생''' ||[[1383년]] [[9월 4일]] || ||[[사보이아 백국]] [[샹베리]] || ||<|2> '''사망''' ||[[1451년]] [[1월 7일]] (향년 67세) || ||[[사보이아 공국]] 토농레뱅 리파유 성 || || '''묘소''' ||토리노 대성당[* 정확히는 토리노 대성당의 일부인 [[토리노의 수의|수의]] 예배당(Cappella della Sindone)이라는 곳으로 관광객은 토리노 왕궁 유료 입장을 통해서만 둘러볼 수 있다.] || ||<|6> '''재위기간''' ||[[사보이아 백국]]의 백작 || ||[[1391년]] [[11월 1일]] ~ [[1416년]] [[2월 20일]] || ||[[사보이아 공국]]의 공작 || ||[[1416년]] [[2월 20일]] ~ [[1440년]] [[1월 6일]] || ||[[대립교황|가톨릭 대립교황]] || ||[[1439년]] [[11월 5일]] ~ [[1449년]] [[4월 7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아메데오 7세]][br]어머니 베리의 본 || || '''배우자''' ||부르고뉴의 마리 || || '''자녀''' ||마르게리타, 안토니오, 안토니오, 마리아[* [[밀라노 공국|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결혼.], 아메데오, [[루도비코(사보이아)|루도비코]], 보나, 필리포, 마르게리타[* [[팔츠 선제후국|팔츠]] [[선제후]] [[필리프 1세(팔츠)|필리프]]의 어머니.] || || '''가문''' ||[[사보이아 가문]] || || '''종교''' ||[[로마 가톨릭]] ||}}}}}}}}}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보이아 공국]]의 초대 [[공작(작위)|공작]]. 1439~1449년 사이에는 [[대립교황]] 펠릭스 5세(Antipapa Felix V)이기도 했다. == 생애 == [[사보이아 가문]]은 대대로 [[사부아]]와 [[발레다오스타]]에서 [[백작]]을 지내왔고 [[토리노]]도 상속받아 [[피에몬테]]까지 아우르며 [[프랑스 왕국|프랑스]]와 [[이탈리아 반도]]에 걸친 독립국의 군주였다. 본인은 [[니차]]를 정복한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7세]]와 베리의 본느의 유일한 아들로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8세였으나, 1416년 [[독일왕]] [[지기스문트]]로부터 [[공작(작위)|공작]]으로 승격되면서 사보이아 공작 아메데오 8세가 되었다. 1418년 사보이아 가문의 마지막 방계인 피에몬테의 루도비코[* [[토리노 대학교]]를 설립한 인물로 아메데오 8세의 매부이다.]가 사망하자 사보이아 가문의 유일한 남자 계승자로서 가문의 모든 영토를 통합하였다. 1424년 피에몬테 공(Principe di Piemonte)위를 창설하여 향후 사보이아 가문의 후계자에게 수여하도록 만들었다. 아메데오 8세는 당연히 평신도였으나, 1422년 아내 부르고뉴의 마리(Marie de Bourgogne 1386~1422)가 사망하자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았다. 1431년 후계자였던 3남 아메데오마저 사망하자 행정 업무는 4남 [[루도비코(사보이아)|루도비코]]에게 위임하고 본인은 외교 업무만 맡은 채 종교생활에 몰입하였으며 [[기사수도회]]를 설립했다. 바젤 공의회가 자신을 교황으로 추대하자 오랜 고민 끝에 1439년 11월 5일, 펠릭스 5세라는 이름으로 교황직을 받아들이고[* 성직자는 아니었지만, 원칙상으론 [[가톨릭]] 세례성사와 견진성사를 받은 남성 누구에게나 교황으로 선출될 자격이 있다.] 성직자로 서품되었으며 이듬해 사보이아 공국을 루도비코에게 물려주고 퇴위했다. 그러나 본인의 영지였던 [[사보이아 공국]]을 포함한 일부에서만 교황으로 인정받았을 뿐, [[가톨릭]]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는 인정받지 못하였다. 정치적으로나 현실에서나 점점 위협이 다가오자, 1449년에 [[프랑스 국왕]] [[샤를 7세]]의 중재를 받아 교황 [[니콜라오 5세]]와 협상하여 스스로 퇴위하였다. 그 대신 니콜라오 5세는 펠릭스 5세를 주교급 [[추기경]], 사보이아 공국과 인근 지방의 교황 대리/특사로 임명하였다. 1451년에 67세 나이로 사망하였다. 펠릭스 5세는 가톨릭 교회 역사에 등장한 "마지막" 대립교황이다. 그 이후로도 엄격하게는 대립교황이라고 분류해야 할 인물들이 없지 않았으나, 워낙에 듣보잡이라 대립교황은 고사하고 논의의 대상조차 되지 못했다. 신자 수가 백 명 남짓한 '자칭 가톨릭 교단'에서 자칭 교황을 선출한 정도라, 실제 가톨릭 신자들이 어느 쪽이 정통인지 고민할 이유가 없으므로 무시한다. 역사에 기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 대립교황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펠릭스 5세가 마지막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립교황, version=55)] [[분류:1383년 출생]][[분류:1451년 사망]][[분류:사보이아 공작]][[분류:사보이아 백작]][[분류:대립교황]][[분류:이탈리아의 추기경]][[분류:사보이아 가문]][[분류:샹베리 출신 인물]][[분류:토리노 대성당 안장자]][[분류:이탈리아의 가톨릭 신자]][[분류:프랑스계 이탈리아인]][[분류:퇴위한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