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 [include(틀:대한민국의 방송)]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Arirang TV 로고.svg|height=40]] ||<(> {{{#ed1846 '''{{{+1 [[파일:Arirang TV 로고.svg|height=85]]}}}'''[br]{{{-2 Arirang TV}}}}}} ||}}} || ||<-3> {{{#fff '''The World on Arirang'''}}} || ||<-2> {{{#fff '''설립'''}}} ||[[1996년]] [[4월 10일]] || ||<|2> {{{#fff '''개국'''}}} || [[텔레비전|{{{#fff '''TV''' }}}]] ||[[1997년]] [[2월 3일]] || || [[라디오|{{{#fff '''라디오'''}}}]] ||[[2003년]] [[9월 1일]] || ||<-2>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51 ([[서초동]] 1467-80) || ||<|2> {{{#fff '''채널'''}}} || [[텔레비전|{{{#fff '''TV''' }}}]] ||아리랑국제방송 || || [[라디오|{{{#fff '''라디오'''}}}]] ||[[아리랑 라디오]] || ||<|2> {{{#fff '''링크'''}}} || {{{#fff '''홈'''}}} ||[[http://www.arirang.com|공식 홈페이지]] || || {{{#fff '''실시간 시청'''}}} ||[[http://www.arirang.com/player/OnAir_TV.asp?sys_lang=Eng|실시간 방송]] [[http://www.youtube.com/user/arirang|유튜브 채널]] [[http://www.twitch.tv/arirangtv|트위치 채널]] || ||<-2> {{{#fff '''대표자'''}}} ||주동원 || ||<-2> {{{#fff '''위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아리랑국제방송)]}}} || [[파일:아리랑건물.jpg]]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사옥. [목차] == 개요 == [[외국어]]([[영어]])로 [[한국 문화]] 홍보를 주로 하는 국제방송교류재단 소속 종합편성 채널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방송 관련 국제교류 재단이자 국제방송국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한국의 시사, 문화, 역사를 TV, 라디오, 인터넷 생방송으로 내보내고 있다. 방송국명인 아리랑국제방송은 민요 [[아리랑]]에서 따왔으며, 개국 당시 고정 채널 넘버는 50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51 ([[서초동]]) [[국립국악원]] 건너편에 있다. 3개의 채널이 24시간 동안 주 언어인 영어로 방송하고 있으며 한국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그리고 인니어의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다언어 자막 서비스). 현재 전 세계 103개국 약 1억 3,800만의 가구를 확보한 아리랑국제방송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많은 시청자와 소통하고 있다. 방송 채널의 목적 자체가 해외에 [[대한민국]] 및 국내 문화를 알리기 위해서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한국어]]가 나오는 부분이 있지만 거의 모든 방송이 기본적으로 [[영어]]로 나온다. 주 시청자층은 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다. == 역사 == 1996년 2월 공보처는 [[김영삼]]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해외위성방송 '코리아채널' 개국을 추진토록 했고, 4월에는 [[민법]] 제32조에 따라 '국제방송교류재단'이 세워진 후 1997년 2월 3일 국내 최초의 해외위성방송 채널 '아리랑 TV'를 개국했다. 1998년 10월 [[문화체육관광부|문화관광부]]로부터 해외홍보방송 운영주체로 지정받고 12월에는 '영상물수출지원센터'를 열었으며, 1999년 아시아/태평양 권역에 첫 해외방송을 개시했다. 2000년에 통번역센터를 세우고 2001년 자회사 '아리랑TV미디어'를 세운 후, [[미국]] 에코스타 디시 네트워크와 재전송 계약을 맺었다. 2002년 [[KT스카이라이프]]에도 국내 채널공급을 개시하고 2003년 제주FM 채널을 개국했으며, 2004년 방송권역을 전 세계로 확대하며 [[아랍 연맹]] 22개국 및 주변국가에 [[아랍어]] 위성방송을 개시했다. 2005년 6월에는 로고를 기존의 명조체에서 현재 쓰이는 비스듬한 유선형 서체 로고로 바꾼 후 9월부터 위성 DMB 방송을 개시했고, 동년도 부산 APEC 정상회의 주관방송사로 선정됐으며 12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방송까지 개시했다. 2006년 서유럽권 대상 아스트라 위성채널과 재전송 계약을 맺고 인터넷 라디오 플레이어 '아리랑 캐스트'를 통해 인터넷 음성방송을 개시했고, 2008년에는 국내 최초로 다언어 서비스(7개 국어)를 개시했다. 200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부터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개시하고 myLGtv 및 QOOK TV를 통해 [[IPTV]] 방송을 개시했으며, 2015년 UN 채널을 런칭하고 2016년 국내 최초로 영국 SKY 등 위성방송 플랫폼에 진입했다. 2017년 최대 위성라디오 시리우스 XM에도 진입했다. == 주요 사업 == * 국가 이미지 제고 및 국제 사회의 이해 증진을 위한 해외 위성방송 사업 * 주한외국인의 한국이해증진 및 내국인의 세계화 의식 제고를 위한 국내 방송사업 * 방송영상물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 사업 * 해외매체를 통한 우리 방송물의 방송 지원 사업 * 해외방송사와의 국제교류협력 사업 * 정부 및 공공기관 해외광고 대행사업 등 광고사업 == 역대 경영진 == * 이사장(비상임): 1997년 조직개편으로 비상임직이 됐으나 2010년경 폐지. * 이찬용 (1996~1997) * 성낙승 (1997~1998)[* 이후 [[불교방송]] 사장 역임.] * 양윤길 (1998~2000) * 정순일[* 전 KBS 보도본부장.] (2000~2002) * 김명식 (2002~2003) * 윤태희[* 세계은행 출신. 전 알타캡 및 타임스미디어 회장, 한국외국어대학원 학장.] (2003~2007) * 김학천[* 동아방송 PD 출신. 전 한국교육방송공사 사장,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2007~2010) * 사장: 1997년 조직개편으로 신설. * 이찬용 (1997~1998) * 황규환 (1998~2001) * [[김충일]] (2001~2003)[* 前 미주 [[동아일보]] 편집국장, 정치인 출신.] * 구삼열 (2003~2006) * 김명중 직무대행 (2006) * 장명호 (2006~2008) * 정국록 (2008~2011)[* 前 [[MBC]] 기자 및 [[진주MBC]] 사장] * [[손지애]] (2011~2014) * [[정성근]] (2014)[* 前 [[SBS]] 기자, [[SBS 나이트라인]] 앵커, 논설위원, 정치인 출신.] * 송종길 직무대행 (2014/2016) * ~~[[방석호]] (2014~2016)~~ - [[취소선]]이 쳐진 이유는 사건사고 항목 참조. * 문재완 (2016~2017) * 김상훈 직무대행 (2017~2018) * 이승열 (2018~2021)[* 前 SBS 기자, 前 SBS 보도제작국장.] * 주동원 (2021~ )[* 1978년 [[TBC 동양방송]] 기자로 입사한 이래 1980년 언론통폐합 후 [[KBS]]를 거쳐 1991년 SBS, 1995년 [[YTN]] 등지를 거쳤고, YTN에서는 경제부장, 문화부장, 편집부국장, 데이터정보실장, 대기자, 해설위원실장 등을 거치며 YTN 라디오 뉴스전망대 및 YTN 생생경제의 진행도 맡았다.] * 부사장: 2004년에 신설했으나, 2006년 조직개편으로 폐지. * 김명중 (2004~2006) * 경영본부장: 2001~2006년까진 '사업본부장', 2006~2008년까진 '마케팅경영본부장'이었다. * 조영호 (1997~1998) * 강웅희 (1998~2001) * 문청 (2001~2002) * 이재준 (2002~2003) * 김일수 (2003~2006) * 김철현 (2006~2008) * 이염 (2008~2012) * 김명진 (2012~2015) * 이재학 (2015~2019) * 김대균 (2019~2022) * 김중식 (2022~) * 방송본부장: 2003년부터 3년 동안 TV 및 라디오방송본부로 분리된 바 있었다. * 임동훈 (1997~2000)[* 이후 한국교육방송공사 초대 부사장으로 영전.] * 이연헌 (2000~2003)[* 전 MBC 제작본부장.] * 김승종 (2003~2006, TV)[* 이후 KBS 감사 역임.] * 배동순 (2003~2006, 라디오) * 윤건호 (2006~2008) * 이성완 (2008~2011) * 심원필 (2011~2014) * 김기춘 (2015~2018)[*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동명이인이며, KBS 기자 출신으로 부산방송총국장까지 지냈다.] * 임태성 (2018~2021) * 송요훈 (2021~)[* MBC 기자 출신.] == 슬로건 == * Korea World Network (1997년 12월 3일 ~ 2005년) * Korea's Global TV (2005년 ~ 2012년) * Korea for the World, The World for Korea (2005년 ~ 2008년) * Korea's Multilingual TV (2007년 ~ 2008년) * Asia's Heartbeat (2012년 ~ 2016년) * The World On arirang (2016년 ~ 2020년) == 수신 방법 == 아리랑국제방송은 세 개의 채널(World, UN, Korea)로 운영하고 있으며, 총 8기의 위성중계기를 사용하여 전 세계 103개국의 1억 3,800만 시청 가구에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알리는 메신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 프로그램 == === TV === 해외를 방문했을 때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한국 채널이다. 특히, 한국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들이 외국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채널이다. 국제방송으로서 국내외 뉴스 뿐만 아니라 산업, 경제, 공공외교 등 시사, 정보, 교양 프로그램 및 한국에 관련된 다큐멘터리도 방영한다. 연예(K-POP) 관련 방송으로 3개 프로가 있다. 한국 문화 홍보를 위주로 하는 방송국인 만큼 2010년대부터 [[한류]]에 관련된 (특히 해외 K팝 팬들을 위한) 프로들이 많이 편성되고 있다. 지난 방송은 모두 [[https://www.youtube.com/user/arirang|유튜브 채널]]에서 시청 가능하다. 영어인데다가 스스로 지난 방송을 제공해주니 해외 팬으로선 가뭄에 단비인 셈. 그 외에 2001~2006년까지 독일 [[도이체 벨레]] 및 영국 [[BBC]] World 프로그램을 블록편성한 바 있었다. ==== 연예·오락 ==== * [[Quiz Champion]] : 1997년 10월부터 11월까지 4주간 시범적으로 방영했으나, 시청자들의 반응이 좋아서 1998년 1월에 정규 편성된 후 2006년 1월까지 무려 8년간 장수한 고등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 이 프로의 엄청난 인기 덕택에 전 세계 아리랑TV의 시청자가 늘어났을 정도였다. * [[Quiz Show The contenders]] : 2002년 3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방영된 일반인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 * Super Kids :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방영된 초등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으로 어린이 시청자들의 인기가 상당했다. * [[After School Club]] [[http://www.arirang.co.kr/Tv2/Tv_PlusHomepage_Full.asp?PROG_CODE=TVCR0688&MENU_CODE=101717|공식 홈페이지]] : K-pop [[아이돌]] 위주 토크쇼로 [[양덕후|해외팬들]]에게서 인기를 끌고 있다. 반응이 꽤 좋았는지 원래 1주 1회 하던 방송을 2014년부터 1주 2회로 늘렸으며,[* 2015년 3월에 다시 1주 1회로 바뀌었다.] [[에릭남]]을 비롯 [[김병관(에이스)|김병관]], [[제이미(가수)|제이미]], [[재윤(TO1)|재윤]], [[곽아론]], [[앨런(CRAVITY)|앨런]], [[태영(CRAVITY)|태영]] 등이 MC 자리를 거쳤다. 이들은 영어가 되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 MC들이 게스트들에게 한국어로 질문을 건네고 이를 영어로 통역하며, 2015년 쯤부턴 번역작가가 게스트의 말을 영어자막으로 실시간으로 쳐주기도 한다. 영어를 할 줄 아는 게스트가 오면 100% 영어 진행. 해외 팬들과 구글 행아웃으로 실시간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한다. * Quiz Whiz Junior : 2016년에 방영된 Super Kids 후속의 초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 * [[Simply K-Pop]] [[http://www.arirang.com/Tv2/Tv_Home.asp?PROG_CODE=TVCR0636&MENU_CODE=101505|공식 홈페이지]] : 음악방송으로 [[뮤직뱅크]]나 [[인기가요]] 같은 지상파 음방들과는 달리 100% 녹화 방송이다. 인지도가 높은 그룹들보다는 지상파에 나오지 못하는 중견 아이돌 그룹이나 신인들 위주로 편성되는 편이었으나, 2014년 이후부턴 네임드 그룹도 나오는 편이다. * I'm Live - 아임라이브 [[https://youtube.com/channel/UC82dHUwrlcpa34I2PmyMYQA|공식 홈페이지]] : 국내 실력파 뮤지션의 라이브로 진행되는 미니 콘서트 프로그램 '아임라이브'. 무대를 360VR로 볼 수 있다. * Club KOM - 클럽닷컴 [[https://www.youtube.com/channel/UCZ0siBhI0HQRk77LGzSt6GQ|공식 홈페이지]] : 한국 전통음악인 국악을 매개체로 다양한 퓨전 음악을 들려주는 21세기 아티스트들의 색다른 무대가 펼쳐진다! * Travel Track - 트래블 트랙 [[http://www.arirang.com/Tv2/Tv_PlusHomepage_Full.asp?PROG_CODE=TVCR0919&MENU_CODE=102992|공식 홈페이지]] / [[https://www.youtube.com/c/BeMyKorea/|유튜브]] : 한국의 숨겨진 여행지에서 펼쳐지는 솔직담백한 자유 여행! ==== 교양 ==== * Catchy Korea * Korea World Class * 1Day 1Fim K-Cine Flex * See What I See: 2019~2021년까지 총 3시즌을 방영했다. * WOW~ Lucky Box * World Tour in Korea * Gangnam Insider's Picks * Unboxing K-Life * Exploring K-Literature * Arirang Prime * Arirang Special * FDI Focus * Documentary A * Forest in DMZ * Korea Travelogue * Premium Collection * K-stage "PAN" * Travel Note ==== 보도/시사 ==== * Arirang News [[http://www.arirang.com/News/News_Index.asp|공식 홈페이지]] : 주로 한국의 뉴스를 영어로 방영하고 있다. 북한 관련 뉴스를 영문으로 방영하기에 CNN이나 France24와 같은 외국 국제방송사에서 인용하는 경우도 많다. * SMEs on the rise [[http://www.arirang.com/Tv2/Tv_Home.asp?PROG_CODE=TVCR0882&MENU_CODE=102803|공식 홈페이지]] * WHAT is * News Makers * SMARTBIZ Accelerators * Diplomat Talks [[http://www.arirang.com/Tv2/Tv_Home.asp?PROG_CODE=TVCR0889&MENU_CODE=102833|공식 홈페이지]] : 주한 외국인 대사나 외교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에 대한 관점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이슈에 대해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 * Peace & Prosperity * Biztech Korea * The Point * Peace Insight * K-BIZ * Global Insight * In Focus: 2012년까지 방영했던 시사토론 프로그램. === [[뉴스]] === [youtube(ZtF9yDpvfuY, width=640, height=380)] == 유튜브 채널 == * [[https://www.youtube.com/c/ArirangCoKrTV|Arirang TV]] * [[https://www.youtube.com/user/arirangnews|Arirang News]] * [[https://www.youtube.com/c/NEWSCENTER_ARIRANGTV|Arirang New Center]] * [[https://www.youtube.com/user/arirangworld|Arirang K-POP]] * [[https://www.youtube.com/c/KPOP0516|@KPOP]] * [[https://www.youtube.com/user/arirangkorean|Arirang Culture]] * [[https://www.youtube.com/user/arirangtoday|Arirang Issue (Current Affairs)]] * [[https://www.youtube.com/channel/UCIUsUrQAejecClmK5uVdC3w|Arirang Food & Travel]] == [[아리랑 라디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리랑 라디오)] == 관계사 == * 아리랑국제방송미디어 [[분류:Arirang TV]] [include(틀:포크됨2, title=아리랑국제방송, d=2022-07-11 16:5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