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피츠버그 파이리츠/로스터)] ---- ||
'''아롤디스 채프먼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CHC_2016_WSChampion.png|height=70]][[파일:텍사스 레인저스 2023 월드 시리즈 우승 엠블럼.sv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16년 월드 시리즈|{{{#cc3433 2016}}}]]''' || '''[[2023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3}}}]]''' || ---- ||<-4>
[[파일:201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1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14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15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19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2년|{{{#ffffff 2012}}}]]'''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3년|{{{#ffffff 2013}}}]]'''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4년|{{{#ffffff 2014}}}]]'''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5년|{{{#ffffff 2015}}}]]'''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8년|{{{#ffffff 2018}}}]]'''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9년|{{{#ffffff 2019}}}]]'''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ffffff 2021}}}]]'''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9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마리아노 리베라 상}}}''' || || [[에드윈 디아즈]][br]([[시애틀 매리너스]]) || → || '''아롤디스 채프먼[br]([[뉴욕 양키스]])''' || → || [[리암 헨드릭스]][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include(틀:2019 All-MLB 세컨드 팀)] ---- [include(틀:기네스 등재 기록, TitleEn=Fastest baseball pitch (male), TitleKr=가장 빠른 투구 (남자), Link=http://www.guinnessworldrecords.com/world-records/fastest-baseball-pitch-(male), Who=아롤디스 채프먼, What=105.1MPH(169.14km/h), Where=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 펫코 파크, When_Y=2010년, When_MD=9월 24일)]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4번}}}''' || || [[홀버트 카브레라]][br](2008) || {{{+1 →}}} || '''아롤디스 채프먼[br](2010~2015)''' || {{{+1 →}}} || 케일럽 코담[br](2016) || ||<-5> '''{{{#fff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54번}}}''' || || [[조 에스파다]][br](2015) || {{{+1 →}}} || '''{{{#132448 아롤디스 채프먼[br](2016)}}}''' || {{{+1 →}}} || [[리처드 블라이어]][br](2016) || ||<-5> '''{{{#ffffff [[시카고 컵스|{{{#ffffff 시카고 컵스}}}]] 등번호 54번}}}''' || || 닐 라미레즈[br](2014~2016) || {{{+1 →}}} || '''아롤디스 채프먼[br](2016)''' || {{{+1 →}}} || [[저스틴 핸콕]][br](2018) || ||<-5> '''{{{#fff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54번}}}''' || || [[리처드 블라이어]][br](2016) || {{{+1 →}}} || '''{{{#132448 아롤디스 채프먼[br](2017~2022)}}}''' || {{{+1 →}}} || [[콜튼 브루어]][br](2023) || ||<-5> '''{{{#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54번}}}''' || || [[어빈 산타나]][br](2021) || {{{+1 →}}} || '''{{{#000000 아롤디스 채프먼[br](2023)}}}''' || {{{+1 →}}} || [[테일러 헌]][br](2023)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5번}}}''' || || [[맷 무어]][br](2022) || {{{+1 →}}} || '''아롤디스 채프먼[br](2023)''' || {{{+1 →}}} || 결번 || ||<-5> '''{{{#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45번}}}''' || || [[맥스 크라닉]][br](2021~2022) || {{{+1 →}}} || '''아롤디스 채프먼[br](2024~)'''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이리츠아롤디스.jpg|width=100%]]}}} || ||<-2> '''피츠버그 파이리츠 No.45''' || ||<-2> '''{{{+2 아롤디스 채프먼}}}[br]Aroldis Chapman''' || || '''본명''' ||알베르틴 아롤디스 채프먼 데 라 크루스[br]Albertín Aroldis Chapman de la Cruz || ||<|2> '''출생''' ||[[1988년]] [[2월 28일]] ([age(1988-02-28)]세) || ||올긴 주 올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쿠바)]|[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016년 4월 29일,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 || '''신체''' ||193cm | 106kg || || '''포지션''' ||'''[[중간 계투]]'''||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0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신시내티 레즈|CIN]]) || || '''소속팀''' ||'''[[신시내티 레즈]] (2010~2015)''' [br] [[뉴욕 양키스]] (2016) [br] '''[[시카고 컵스]] (2016)''' [br] '''[[뉴욕 양키스]] (2017~2022)''' [br] '''[[캔자스시티 로열스]] (2023)''' [br][[텍사스 레인저스]] (2023)[br][[피츠버그 파이리츠]] (2024~) || || '''계약''' ||1yr / $10,500,000 || || '''연봉''' ||2024 / $10,500,000 || || '''등장곡'''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Rage Against The Machine]] - Wake Up || || '''기록''' ||Hit '''106 MPH''' in relief appearance[[https://youtu.be/Qem3mypA2JI|#]][* 야구 역사상 최고 구속] || || '''SNS''' ||[[https://twitter.com/AChapman_105|[[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_thecubanmissile5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피츠버그 파이리츠]]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8> '''아롤디스 채프먼의 선수 경력''' || ||<-8> '''통합 선수 경력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 || ||<-8>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3.1|'''{{{#ffffff 2010년}}}''']] ||<-2>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3.2|'''{{{#ffffff 2011년}}}''']] ||<-2>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3.3|'''{{{#ffffff 2012년}}}''']] ||<-2>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3.4|'''{{{#ffffff 2013년}}}''']]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3.5|'''{{{#ffffff 2014년}}}''']] ||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3.6|'''{{{#ffffff 2015년}}}''']]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4.1|'''{{{#ffffff {{{-2 16 NYY}}}}}}''']]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5.1|'''{{{#cc3433 {{{-2 16 CHC}}}}}}''']] ||<-2>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6.1|'''{{{#ffffff 2017년}}}''']] ||<-2>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6.2|'''{{{#ffffff 2018년}}}''']]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6.3|'''{{{#ffffff 2019년}}}''']] ||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6.4|'''{{{#ffffff 2020년}}}''']] ||<-2>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6.5|'''{{{#ffffff 2021년}}}''']] ||<-2>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6.6|'''{{{#ffffff 2022년}}}''']]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7.1|'''{{{#ffffff {{{-2 23 KC}}}}}}''']]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8.1|'''{{{#ffffff {{{-2 23 TEX}}}}}}''']]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9.1|'''{{{#fdb827 2024년}}}''']] || ||<-8>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png|width=50]] || ||<-4>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2.1|'''{{{#1e3267 2007년}}}''']] ||<-4>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s-2.2|'''{{{#1e3267 2009년}}}''']]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oldisFastBall.gif|width=100%]]}}} || || '''주무기인 104mph[* 약 167km.] 포심 패스트볼''' || 역사상 가장 빠른 공[* 공식 기준 105.8mph(170.26km/h). 비공식 기준 106mph(약 170.59km/h).][* [[https://baseballsavant.mlb.com/statcast_search?hfPT=&hfAB=&hfGT=R%7C&hfPR=&hfZ=&hfStadium=&hfBBL=&hfNewZones=&hfPull=&hfC=&hfSea=2023%7C2022%7C2021%7C2020%7C2019%7C2018%7C2017%7C2016%7C2015%7C2014%7C2013%7C2012%7C2011%7C2010%7C2009%7C2008%7C&hfSit=&player_type=pitcher&hfOuts=&hfOpponent=&pitcher_throws=&batter_stands=&hfSA=&game_date_gt=&game_date_lt=&hfMo=&hfTeam=&home_road=&hfRO=&position=&hfInfield=&hfOutfield=&hfInn=&hfBBT=&hfFlag=&metric_1=&metric_1_gt=&metric_1_lt=10&metric_2=api_p_release_speed&metric_2_gt=105&metric_2_lt=&group_by=name-event&min_pitches=0&min_results=0&min_pas=0&sort_col=pitches&player_event_sort=api_p_release_speed&sort_order=desc&chk_event_release_speed=on#results|#공식 기록]] [[https://youtu.be/3G3iNrrbxQ8?t=11099|#영상]]]을 던져 기네스북에 등재된 선수이다. 역사상 최초로 '''최고 구속 106마일[* 좌완 투수 최고 구속 기록이고, 이를 넘어서 '''인류 역사상 최고 기록'''이다. 이 기록은 2011년 당시 [[앤드류 맥커친]] 타석에서 세운 기록이지만 비공식 기록으로, 공식 기록은 2010년 9월 24일 [[토니 그윈 주니어]] 상대로 기록한 105.8mph이다. 참고로 이 두 기록 모두 10년도 더 넘은 현재까지 전혀 깨지지 않고 있다. 우완 투수 최고 구속 기록은 2022년 5월 22일 기록된 [[벤 조이스]]의 105.5마일이다.], 평균 구속 100마일'''이라는 기록을 달성했었던,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고의 파이어볼러 중 한 명이었다.[* 참고로 채프먼은 야구 역사상 최고의 파이어볼러 중 한 명으로는 알려져 있지만 의외로 구속에 비해선 좌완 파이어볼러의 상징성이 그리 큰 편이 아닌데, 왜냐하면 그의 구속이 '''동 시대 우완투수들도 전부 압도적으로 추월하는 정도'''였기 때문이다.] 현재는 나이가 들어 구속과 구위가 줄었지만[* 구속을 소폭 회복한 2024년 기준으로는 평속 97~98마일, 최고 101~2마일 정도다.] 마무리 역할을 하기에는 아직까지 무리가 없다.[* 실제로, 구속이 현재 많이 떨어진 건 사실이나 다른 웬만한 마무리 투수들보다도 앞서 있다. 다만 예전에는 리그 내에서 독보적 1위 수준이었으나 2020년대 들어 본인의 구속 하락과 리그의 구속 인플레이션이 겹치며 채프먼보다 앞선 인물들이 많아졌을 뿐.] 채프먼의 구위가 얼마나 대단하냐면, 일반적인 메이저 리그 투수의 포심 헛스윙 비율이 16%이고, 좀 잘 던진다 싶은 투수들도 30%를 가까스로 넘기지만 '''채프먼의 포심 헛스윙 비율은 40%가 넘는다.''' 메이저 리그가 운영하는 pitchfx에서 최고 구속을 검색하면 채프먼이 전부 상위를 차지하기 때문에 채프먼만 거르고 볼 수 있는 필터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5년 메이저리그 전체에서 기록된 100마일 공 571개 중 무려 '''335개'''를 '''혼자서''' 던졌다.] 변화구로는 80마일 중후반대의 낙차가 상당히 큰 슬라이더를 주로 던지며,[* 데뷔 당시 [[랜디 존슨]]과 비교되기도 했다.] '''90마일'''짜리 체인지업도 간간히 구사하긴 하지만 패스트볼에 비하면 그닥 좋게 평가 받는 구종은 아니다. 이유는 원래 체인지업은 느린 구속으로 타이밍을 뺏는 구종인데 무려 90마일으로 웬만한 투수들 패스트볼 이상의 구속을 보유한 지라...[* 물론 [[제이콥 디그롬]]처럼 체인지업 구속 증가로 인해 더 좋은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긴 하다. 허나 이건 정말 소수의 경우. [[스티븐 스트라스버그]]도 비슷한 이유로 체인지업의 평가가 데뷔초에 좋지 않았었다.] 데뷔 때부터 패스트볼의 구위 하나 만큼은 아무도 따라올 자가 없을 정도로 막강했기에[* 유망주 시절부터 [[20-80 스케일]]에서 '''당연히''' 만점 '''80'''을 기록했는데, 실제 채프먼의 구위를 생각하면 사실상 [[지안카를로 스탠튼]]의 파워처럼 '''80+'''이다.] 선발 투수로 전환시킨다는 말도 많았다. 허나 애초에 던질 수 있는 구종이 그리 많지 않아 선발 투수로서의 완성도에는 의문이 있었으며 제구도 그리 좋다고 보긴 힘들었는 데다가 무엇보다도 압도적으로 강력한 구위가 마무리 투수로 뛰기에 그야말로 완벽했기에 2012년을 기점으로는 마무리 투수로 완전히 정착했다. 과거 채프먼의 문제점은 커맨드가 불안정하고 슬라이더가 긁히는 날과 긁히지 않는 날의 차이가 극과 극으로 갈린다는 점이었으나 이는 2012 시즌에 상당히 개선되었다. 그리고 1루 베이스 커버와 주자를 1루에 묶기 등, 수비에서도 약점을 보이고 있지만 향후 시즌을 겪으면서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받는다. 속구의 구속 외에 채프먼의 또 다른 장점은 바로 '''압도적인 내구성'''이다. 잔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오른 적이 없지는 않고 혹사 논란으로 폼이 떨어졌던 적도 있긴 하지만, 쿠바 시절부터 10년도 훨씬 넘는 기간 동안 과격하기 짝이 없는 투구폼으로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패스트볼을 던졌으면서도 '''팔꿈치 인대나 어깨에 심각한 부상이 온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현 시점 구속으로 전성기의 채프먼과 비견이 되는 유일한 투수 [[조던 힉스]][* 포심, 싱커 모두 최고 105마일을 던진다는 점에서 이전의 파이어볼러였던 [[조엘 주마야]]보다는 확연히 빠르고 채프먼에 비견될 정도로 빠른 게 맞으며 채프먼이 좌완이므로 자연스럽게 힉스는 우완 최고 구속 기록을 경신했다.]가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며[* 게다가 구속이 수술 전보다 확연히 줄었다.] 채프먼의 내구력이 재조명됐다. 30대에 슬슬 접어들기 시작한 2017년 이후부터는 구속이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16->17년 1.1마일, 17->18년 1.3마일, 18->19년 0.5마일, 19->20년 0.4마일.] 어느덧 100마일이 최고 구속 수준이 되었고[* 가끔씩 103마일을 던지긴 하지만 예전에 비하면 매우 적은 빈도다.] 이러면서 채프먼은 슬라이더 비율을 대폭 늘리기 시작했고 동시에 싱커를[* 2018년 (7.9%), 2019년 (10%), 2023년 (16.2%)] 추가해서 던지고 있다. ||<-2>
'''{{{#000000,#e5e5e5 아롤디스 채프먼의 포심 평균 구속 변화}}}''' || || '''2014''' || '''100.9마일''' || || '''2015''' || '''100.3마일''' || || '''2016''' || '''101.2마일''' || || '''2017''' || '''100.1마일''' || || '''2018''' || '''98.9마일''' || || '''2019''' || '''98.1마일''' || || '''2020''' || '''98마일''' || || '''2021''' || '''98.4마일''' || || '''2022''' || '''97.5마일''' || || '''2023''' || '''99마일''' || ||<-2>
'''{{{#000000,#e5e5e5 아롤디스 채프먼의 슬라이더 비중 변화}}}''' || || '''2015''' || '''16.4%''' || || '''2016''' || '''15.1%''' || || '''2017''' || '''19.4%''' || || '''2018''' || '''25.5%''' || || '''2019''' || '''30.5%''' || || '''2020''' || '''21.6%''' || || '''2021''' || '''26.8%''' || || '''2022''' || '''24.6%''' || || '''2023''' || '''28.9%''' || 2016년 슬라이더 비중이 15.7%였던 채프먼의 슬라이더는 2019년 기준으로 31.1%로, 약 두 배가 됐다. 단순히 비중만 높인 것이 아니다. 채프먼이 던지는 슬라이더의 분당 회전수는 2015년 평균 1798회에서 2019년 평균 2490회로 월등히 증가했다. 이에 슬라이더의 낙폭은 2015년 평균 36.9인치로 10인치가 늘었다. 따라서 과거 채프먼의 슬라이더가 역대 최고라고 평가 받는 패스트볼에 도움을 받는 공이었다면 이제는 스스로의 힘으로 헛스윙을 만들어내고 있다.[* 슬라이더 구종가치 2017년 (0.6), 2018년 (6.5), 2019년 (8.1)] 포심보다 구속이 더 잘나오는 채프먼의 싱커는[* 2018년 (100.9마일, 2019년 100.1마일)] 우타자의 바깥쪽으로 달아나는 역회전의 움직임을 통해 포심, 슬라이더와 다른 제3의 궤적을 만들어내고 있다. 노쇠화가 많이 진행된 현재는 평속 97~98마일의 패스트볼을 던지지만, 여전히 리그 최상위권 구속이다.[* 현재 KBO 최고의 파이어볼러로 언급되는 [[안우진]]보다도 평속이 빠르다. 다만 안우진은 선발 투수인 데다가 '''100구에 160km/h'''를 던지는, 무슨 [[게릿 콜]]이나 [[워커 뷸러]]를 연상시키는 퍼포먼스를 보이는 중이므로 마무리 투수인 채프먼과는 사정이 다르다.] 다만 노쇠화로 인한 구위의 하락과 제구 불안정으로 인해 양키스 말년엔 [[클레이 홈즈]]에게 마무리 투수 보직을 내주게 되었고[* 클레이 홈즈는 90마일대 후반의 '''싱커'''를 던지므로 실질적인 구위는 현재의 채프먼보다 위라고 평가받는다. 물론 전성기 채프먼의 그것에 비할 바는 전혀 못 되지만.] 2022년 후반기에 보여준 팀과의 마찰로 [[캔자스시티 로열스]]로 쫓겨나다시피하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채프먼103.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탕프먼부활.png|width=100%]]}}} || 그러니 캔자스시티에서 폼을 손봤는데 평균 99~100마일, 최고 103~104마일로 구속이 전성기 시절 수준으로 반등하였다. 하지만 제구력에 문제를 보이는 중.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채프먼싱커.gif|width=100%]]}}} || 피츠버그 이적 후 싱커의 구속을 끌어올리며[* 2024시즌 현재 채프먼의 싱커 평균 구속은 '''99.5마일'''로, 패스트볼 평균 구속인 97.5마일을 2마일이나 상회하고 있다!] 위력적인 투구를 하고 있지만 제구력의 기복이 다시 심해진 모습을 보어주고 있다. == 수상 내역 == || '''{{{#fdb827 수상 내역}}}''' || ||[[파일:2016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width=20]] [[파일:2023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width=20]] '''[[월드 시리즈]] 우승 2회 ([[2016년 월드 시리즈|2016]], [[2023년 월드 시리즈|2023]])'''[br][[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7회 (2012~2015, 2018, 20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2021]])'''[br][[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마리아노 리베라 상 (2019)'''[br][[파일:MLB 로고.svg|width=20]] '''[[All-MLB 팀|All-MLB]] 세컨드 팀 (2019)''' ||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 [[켄리 잰슨]], [[크레이그 킴브럴]]에 이어 현역 마무리 투수 세이브 3위를 기록하고 있는 채프먼은 어린 나이부터 세이브를 차곡차곡 잘 쌓아놓아 현재 리그에서 가장 훌륭한 누적 성적을 기록하고 있는 마무리 투수 중 한 명이다. 성적도 성적이지만 기네스북 공인 인류 역사상 최고 구속 기록을 보유한 파이어볼러의 상징성도 있어[* 채프먼은 상식을 초월한 파괴적인 구속으로 2010년대 초중반 메이저리그의 구속 인플레이션을 주도한 인물 중 한 명이다.] 잰슨, 킴브럴과 함께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이 높은 현역 마무리 투수 중 1명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채프먼에게는 앞선 둘과 달리 세이브 개수가 부족하다는 점이 흠이다. WAR은 이 둘과 비슷하지만 2023시즌 종료 기준 세이브 개수가 321세이브로 이 둘에 비해서는 한참 모자란다. 기자단의 투표 성향이 아무리 마무리 투수에게 호의적으로 바뀌었다고 해도 [[빌리 와그너]],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의 사례를 볼 때 400세이브를 넘겨도 쉽게 명전에 입성하는 것이 어려운데 321세이브로는 입성 가능성을 논해보기에는 다소 아쉽다. 게다가 40세이브를 기록한 시즌도 없고 2020년대부터는 노쇠화로 인해 구속, 제구에서 기량이 하락하며[* 2023년에 구속은 전성기 수준이 되었지만 제구력은 이전 수준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세이브를 많이 추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아쉽다. 따라서 은퇴할 때 까지 400세이브를 기록할지의 여부가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를 가릴 것으로 예측된다. == 여담 == * 몸에 문신이 많다. * 2015년 말에 여자친구와 크게 다툰 사건이 있었는데,[* [[https://bleacherreport.com/articles/2596824-aroldis-chapman-allegedly-fired-gunshots-choked-girlfriend-after-argument|출처]] 기사에 의하면 여자친구가 그의 스마트폰에 '무언가'를 본 것을 계기로 다퉜다고 한다. 여자친구의 증언에 의하면 손가락으로 왼쪽 어깨를 찌르고 목까지 졸랐다고 한다. 벽을 향해 총알 8발을 쏜 것은 채프먼 본인이 인정했다고 서술되어 있다.]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권총 발포 자체는 인정되어 30경기 출장징계를 받았다. 그 후 2016년에 소속팀이 [[시카고 컵스]]가 되었는데, 그곳 구단 DJ가 채프먼의 등장 음악을 [[https://www.youtube.com/watch?v=gJ4bW4KNffo|〈Smack My Bitch Up〉]]으로 보내는 엄청난 기행을 저지른 끝에 해고당한 황당한 사건이 있었다.[[https://www.theguardian.com/sport/2016/aug/15/aroldis-chapman-smack-by-bitch-up-chicago-cubs-mlb|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61170217126.gif|width=100%]]}}} || * 경기 승리를 결정짓는 마지막 아웃 카운트를 삼진으로 잡으면 투구 후 가만히 선 채 노려보는 시그니쳐 무브를 밀고 있다. * 유니폼을 입었을 땐 티가 안 나지만 빠른 구속을 지닌 투수답게 팔 근육 역시 남다르다.[[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529/0000041606|#]] 본래는 키에 비해 비교적 마른 체구가 맞았으나 트레이닝을 통해 몸을 불린 것이다. 다만 서른이 넘은 지금은 유니폼을 입어도 몸이 상당히 두꺼움을 알 수 있을 정도로 몸이 급격히 불었다. 물론 구속은 그동안의 워크로드와 노쇠화로 인해 오히려 줄었지만. * 망명할 때, 조국에 아버지와 어머니, 두자매와 여자친구, 그리고 갓 태어난 아기를 남기고 왔다고 한다. 가족들이 위험에 빠질까봐 망명 계획을 가족들한테 말하지 않았다고 한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allfour&logNo=20086519475&proxyReferer=&proxyReferer=|채프먼의 망명일지 번역 글]] * 별명은 [[쿠바 미사일 위기|쿠바 미사일 (Cuban Missile).]][* [[알렉세이 라미레즈]]의 별명이기도 하다.] 본인도 쿠바 미사일이라는 별명을 잘 알고 있으며 마음에 들었는지 [[인스타그램]] 아이디를 아예 thecubanmissile로 설정했다. * 2020년 7월 12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으나 8월 18일, 완치 판정을 받고 다시 복귀했다. * 영어를 전혀 안 쓰는 것 같아 보이지만, 원어민 수준급으로 구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기자들과의 인터뷰 시 오해를 방지하고자 통역을 쓰는 것일 뿐이라고 했으며[* 이는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게리 산체스]]등 대부분의 비영어권 국가 출신 선수들이 이에 해당된다.], "미국 국적을 취득했으니 이 정도는 해야 하지 않느냐"고 반문하였다. 그만큼 자신감이 있다는 뜻. * 후원사는 [[아디다스]]이다.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영국 야구 국가대표팀|영국 대표팀]]의 50인 예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https://www.milb.com/shared/wbc/2013/components/about/sub_rules.jsp#eligibility|WBC 규정상]]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으면 그 나라 대표팀에 합류할 수 있는데, 채프먼의 친조부모와 아버지가 자메이카가 영국 식민지였을 때 쿠바로 온 이민자 출신이라 [[https://www.sportskeeda.com/baseball/news-mlb-fans-react-aroldis-chapman-great-britain-s-preliminary-world-baseball-classic-roster-taking-royal-little-literally|채프먼에게도 영국 시민권 획득 자격이 있기에]] 영국 대표팀 합류 자격을 충족시킨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종적으로 본선에서 뛸지는 미지수인 듯.[[https://clutchpoints.com/mlb-news-aroldis-chapman-great-britain-world-baseball-classic|#]]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기타 리그)]] [각주] [[분류:쿠바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88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올긴 주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신시내티 레즈/은퇴, 이적]][[분류:시카고 컵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캔자스시티 로열스/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피츠버그 파이리츠/현역]][[분류:쿠바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