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雲学園 [목차] == 개요 == [[이나즈마 일레븐 GO]]에 등장하는 [[학원(동음이의어)|학원]]. 국내판 명칭은 '''신운 중학교'''. 공격과 수비 모두 하이 레벨의 팀이라고 하며, 주장은 [[아메미야 타이요|10년에 한번 나올까말까 한 스트라이커]]라고 한다. [[홀리 로드]] 준결승에서 [[라이몬 중학교]]와 데저트 스타디움에서 시합하게된다.[* 데저트 스타디움의 특징 중 하나는 유사인데, 모래가 랜덤으로 움직임으로써 선수들의 움직임을 봉쇄한다.--흔한 한국 학교의 운동장-- 아메미야는 모래가 움직이는 것을 이용해 공을 킵했다.] 경기 초반부에 아메미야가 가볍게 라이몬의 선수들을 제치고 2점을 따냈다.[* 어느정도냐 하면, 아메미야의 화신 필살기인 선샤인 포스를 막으려고 카리야와 아마기가 각각 필살기를 '''동시에''' 쓰는데 뚫려버렸다.(…)] 하지만 라이몬에서도 곧바로 2점을 먹어 동점을 만든다. 후반부에서 스핀을 이용한 훼이크로 1점을 더 득점하지만 텐마의 진화한 화신 페가수스 아크에게 다시 1점을 먹히고, 마지막에는 [[원기옥|화신 드로잉]]을 발동하여 라이몬의 화신 합체에 맞붙게 되나 결국 마제 그리폰에 대항하지 못하고 뚫려 1점 차이로 라이몬에게 패배하게 된다. [[피프스 섹터]] 소속이기는 하나, 다른 학교와는 달리 [[이시드 슈지|성제]]의 진의를 알고 있어서 딱히 치사하게 덤비거나 과격한 수를 쓰지는 않았다. 아무래도 좋은 이야기지만, 국내에 방영되어 홀리 로드 준결승전 분량이 진행되기 전까지 항목이 작성되지 못했다. 선수들 이름의 [[어원]]은 [[행성]]및 [[소행성]]들이다.[* 레귤러 멤버가 행성+태양, 달, 명왕성이고 벤치 멤버가 소행성.] 여담으로 크로노 스톤 22화에서 [[아메미야 타이요|타이요]]의 등장과 함께 교복이 나왔는데 한 마디로 멋지다. PASH! 인터뷰에서 언급되길 이 팀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 아니라 아메미야 타이요를 보호한다가 목적이라고. 주장이 없을 때는 피프스 섹터의 명령에 따르지만, 타이요가 돌아왔을 때는 자유로운 축구를 한다고 한다. == 선수 == 등번호는 애니메이션판을 기준으로 기록한다. [[아메미야 타이요]]/우태양/솔 데이스타: FW(11) - [[주장]] ★태양신 아폴로 사타 토사마루/지원우/링고 새턴: GK(1) ★철벽의 기가돈[* 거신 기간테스랑 묘하게 닮았다. 사실 --단역이나 엑스트라들에겐 없는-- 단독화신들을 제외하면 비슷한 디자인이 제법 많다(...)] 우라노 텐쇼/정호/오버론 우라노스: DF(2) 무쿠모 츠키야/무운/매닝 문: DF(3) 야스모리 치하루/수지/테란 가이아: DF(4) 마키사토 미즈키/수성/크라테리스 머큐리: DF(5) 후루토 메이지/닉스 플루토: MF(6) 히나노 킨스케/추금보/니스 비너스: MF(7) 키다 모쿠렌/연수/칼리스 조브: MF(8) 마즈미 히로시/진화랑/데이모스 마스: MF(9) 네부치 우미토모/곽해우/트리톤 넷튜노: FW(10) ★해제 넵튠[* 해왕 포세이돈과 많이 닮은데다 필살기 이름도 똑같다(...).][* 더빙판에선 "바다의 제왕 넵튠"으로 개명.] 세레이 카즈토요/지훈/아스트로 세레스: GK(12) 치하라 에이치/오해진/치론 베스탈: FW(13) 이리 코시치로/제노 에리스: MF(14) 히가 타케야스/나막 호메아: DF(15) 우에스다 시로/성진/맥 에마케: DF(16) 카리베 란코/해일리 코메티[* 몇 안되는 여감독.] - [[감독]] === 사용 필살기 === '''<슛 기술>''' 헤비 아쿠아랜스 - 네부치 (화신 필살기) 션샤인 포스 - 타이요 (화신 필살기) [[유성 블레이드]] - 마즈미 (TCG에서 사용) '''<캐치 기술>''' 기간틱 봄 - 사타 (화신 필실기) 스타 리플렉션 - 사타, 세레이[* 애니판에선 사용하지 않았으나, 게임 소개 등에서 아라쿠모의 기술으로 공인되고 있다.] [각주] [[분류: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