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라카와 나루히사]] [[파일:t640_701188.jpg]] {{{+1 荒川稔久 }}} 1964.3.14 ~ ([age(1964-03-14)]세) [목차] == 개요 == 일본의 [[각본가]]. 주로 애니메이션과 특촬쪽의 각본 및 시리즈 구성을 담당한다. [[아이치현]] [[나고야시]] 출생. [[가면라이더 쿠우가]]와 [[슈퍼전대 시리즈]]의 명 각본가로서 유명하다. 아이치현립대학 재학중인 1986년에 [[코야마 타카오]]가 주권하는 시나리오학교 "애니메시나리오하우스"의 1기생으로 같은 해, 도테라맨으로 각본가 데뷔. 이어서 1987년에 카와사키 히로유키, 카게야마 유미들과 함께 코야마가 설립한 기획집단 "브라더 아놋포"의 창립멤버가 되며 동 집단엔 후일 [[아카호리 사토루]]도 들어왔다. [[울트라 시리즈]]의 팬이며 특히 [[돌아온 울트라맨]]을 좋아한다고 한다. 각본가를 지향한 것도 울트라맨을 쓰고 싶어서지만 정작 [[토에이]] 특촬, 특히 [[슈퍼전대 시리즈]]를 쓰게 되었다. [[조인전대 제트맨]]에서 [[이노우에 토시키]]의 추천으로 참가한 걸 계기로 이후 전대의 서브 시나리오 작가로서 후술하는 아이돌 관련 에피나, 적에게 한번 졌다가 재기하는 류의 에피소드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V시네마 시리즈는 메인 시나리오 작가를 제치고 4번이나 집필했으며 총합 각본집필횟수는 [[소다 히로히사]]와 [[우에하라 쇼조]] 다음가는 3위. '''어떤 의미로 자신을 이쪽 길로 이끌었던 이노우에를 능가하는 납땜의 제왕.''' ~~이 때문에 그가 집필한 V시네마 시리즈에선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공룡카레]]가 거론된다.~~ == 작풍 == '''스승 [[코야마 타카오]]의 작풍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았다.''' 끊임없는 개그로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다가도 나중에 반전이 나오며 어두워지는 전개가 특징적이다. 여성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를 가진 작품이나 에피소드에 정평이 있어서 "히로인물의 명수"라고 일컬어진다. 자신이 손을 댔던 [[강철천사 쿠루미]]나 [[리젤마인]]등의 애니메이션에선 주제가 가사도 자신이 짠다.(!!!) 이것들 말고도 카렌쟈의 삽입곡 폭주전대 조크렌쟈라든가 동 작품의 꿈꾸는 러브러브 라지엣타 등 '''전파쏭 작사의 본좌.''' 또한 전투씬에서 별에 별 세계를 왔다갔다하는 특징이 있다. 그가 손을 댄 작품 내에선 예능/아이돌 관련 소재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한번쯤은 들어가는데 가수 데뷔, 히로인의 코스튬 플레이, 아이돌적인 행동을 도입하는 화가 있기로 유명. 대표작인 [[가면라이더 쿠우가]]나 [[폭룡전대 아바레인저]]를 보면 알겠지만 인간의 어두운 면과 그것을 극복해내가는 시나리오를 잘 써내는데, 해당 작품에선 이 기믹이 일관적인 테마중 하나가 되어있으며, 자칫 지루해지기 쉬운 전대 시리즈에서 한번쯤은 있어야 할 진지한 시나리오를 누구보다도 잘 쓴다는 이야기가 된다. 특히 쿠우가의 경우는 전적으로 그의 각본으로 인해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시리즈 중 명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여담으로 아라카와가 담당한 애피소드를 보면 조인전대 제트맨의 차원수 드라이어지겐,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의 야츠덴와니가 다른 괴인과 달리 상냥한 마음이 있고 갱생해서 인간들과 어울려 지내는 결말로 맞이한다. 그가 메인으로 담당한 전대 작품들은 이전 전대나 타 특촬물들과 관련된 요소들이 많이 녹아들어 있다. 과거 전대와 연결점들이 종종 있던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메탈 히어로 시리즈]]의 원조 [[우주형사 시리즈]]를 오마주한 [[데카 마스터]]가 있는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대놓고 팬서비스가 주였고 선배들이 게스트로 등장한 [[해적전대 고카이저]], 매 에피소드마다 이전 전대작품들의 이스터에그와 오마주를 찾는 재미가 있는 [[마진전대 키라메이저]]가 바로 그것들이다. 또한 슈퍼전대에 매우 큰 영향을 준 각본가라고 평을 받는다. 도쿄국제영화제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슈퍼전대다움이란 무엇인가"란 질문에 대해 [[시라쿠라 신이치로]]가 '''"아라카와 선생님이 쓴 작품이 슈퍼전대이죠."'''라고 말할 정도로 그의 작풍이 슈퍼전대에 끼친 영향은 긍정적인 의미든 부정적인 의미든 매우 크다. 실제로도 현재의 슈퍼전대에 특징이 정립된 [[공룡전대 쥬레인저]]부터 보면 그가 참여 안 한 작품들을 세는 게 빠를 정도로 많은 작품들을 썼다. 요약하면 '''[[슈퍼전대 시리즈]]에선 거의 구세주라고 할 수준의 개념 각본가라 할 수 있지만''' 예능/아이돌계 빠돌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고 보면 된다.손 댄 작품에 괜히 네기마 특촬판이 있는게 아니며 그가 맡은 예능계 에피소드들은 보는 이들을 [[손발이 오그라든다|손발이 오그라들다 못해]] 어른들이 전대를 멀리하게 하는 효과를 주고 있다. 그리고 2010년, 그가 [[요스가노소라|어떤 미연시]]의 애니판의 시리즈 구성 및 시나리오 대부분을 맡았는데 그 애니가 워낙 [[충공깽]] 수준인지라 인지도만 높았다면 사람들에게 [[용자]] 소리를 듣고도 남았을 것이다…[* 웃기는 건 이 물건이 막장이라 그렇지 스토리 구성은 평범하고 지루하기 짝이 없는 원작을 뛰어넘는 잘 된 구성이란 점이다. 참고로 '''문제의 11화'''가 포함된 [[카스가노 소라]] 루트 '''시나리오 전부'''를 그가 담당했다.] 그리고 2012년,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의 각본을 맡으면서 진정한 용자로 발돋움했다. 다 그런건 아니지만, 필요한 경우 미장센의 사용에 굉장히 능하다. 마왕용사나 늑대와 향신료, 요스가노소라에서 그 능력이 유감없이 발휘된다. 하지만 이런 것은 각본가가 이렇게 해달라고 각본에 넣기도 하지만 보통 연출가가 하므로 아라카와 나루히사가 그걸 짜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타카테라 시게노리]] 말로는 아라카와가 좋아하는 작품은 [[돌아온 울트라맨]]이며 작품의 스토리나 캐릭터의 네이밍에 돌아온 울트라맨 오마주가 수시로 들어간다고 한다. 데뷔 초에는 돌아온 울트라맨의 각본가 [[우에하라 쇼조]]와 각본 쓰는 법이 너무 비슷해서 [[가면라이더 BLACK]] 때 [[요시카와 스스무]] 프로듀서가 "너는 우에하라 쇼조 2냐? 너무 똑같잖아." 라고 혼을 냈고 우에하라의 색을 빼는 수행을 했었다고 한다. == 담당 작품 == 시리즈 구성, 혹은 메인각본이었던 작품엔 볼드. === 애니메이션[* 대부분이 시리즈 구성 담당이지만, 시나리오를 맡은 작품도 존재한다.] === * '''[[강철천사 쿠루미]]'''(1기 한정) * '''[[BLUE SEED]]''' * [[기동전함 나데시코]] * [[다!다!다!/애니메이션|다!다!다!]] * [[레이디 쥬얼펫]] * '''[[D.N.ANGEL/애니메이션|D.N.ANGEL]]''' * '''[[리젤마인]]''' * '''[[진키 시리즈|진키 익스텐드]]''' * '''[[늑대와 향신료(2008년 애니메이션)|늑대와 향신료]]''' * '''[[늑대와 향신료 Ⅱ]]''' * [[아이돌 전설 에리코]] * '''[[엘리먼트 헌터]]''' * '''[[엘르멘탈 제라드/애니메이션|엘르멘탈 제라드]]''' * '''[[요스가노소라/애니메이션|요스가노소라]]''' * '''[[킹덤(애니메이션 1기)|킹덤]]''' * '''[[킹덤(애니메이션 2기)|킹덤 2]]''' * '''[[마오유우 마왕용사/애니메이션|마오유우 마왕용사]]''' * '''[[인생(라이트 노벨)|인생 [인생상담 TV애니메이션\]]]''' * '''[[아웃브레이크 컴퍼니(애니메이션)|아웃브레이크 컴퍼니]]''' * '''[[아빠 말 좀 들어라!/애니메이션|아빠 말 좀 들어라!]]''' * '''[[저, 트윈 테일이 됩니다/애니메이션|저, 트윈 테일이 됩니다]]''' * '''[[쌍성의 음양사/애니메이션|쌍성의 음양사]]''' * '''[[액티브 레이드 -기동강습실 제8계-]]''' * '''[[이 미술부에는 문제가 있다!/애니메이션|이 미술부에는 문제가 있다!]]''' * '''[[테라포마스|테라포마스 리벤지]]''' * '''[[액션 히로인 치어 후르츠]]''' * '''[[ISLAND(게임)/애니메이션|ISLAND]]''' * '''[[구울 거면 머그컵도(애니메이션 1기)|구울 거면 머그컵도]]''' * '''[[구울 거면 머그컵도 두 번째 가마]]''' * [[IRIA ZEIRAM THE ANIMATION]] * '''[[세라핌 콜]]''' * '''[[센티멘탈 져니]]''' * '''[[러브겟CHU: 미라클 성우백서]]'''[* 14화부터 참여.] * '''[[부부 이상, 연인 미만./애니메이션|부부 이상, 연인 미만.]]''' === 특촬 === ==== 가면라이더 시리즈 ==== [include(틀: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BLACK]] (28화만) * '''[[가면라이더 쿠우가]]''' (시리즈 구성, 전 49화중 39화분 집필, 그 중 1화는 [[이노우에 토시키]]와 공동 집필) * [[가면라이더 W]] (7, 8화만) ==== 슈퍼전대 시리즈 ==== * [[조인전대 제트맨]] (전 51화중 6화분 집필) * [[공룡전대 쥬레인저]] (전 50화중 7화분 집필)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전 50화중 11화분 집필) * [[닌자전대 카쿠레인저]] (전 53화중 2화분 집필) * [[격주전대 카레인저]] (전 48화중 13화분 집필) *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전 51화중 최종화를 포함하여 12화분 집필.) * [[성수전대 긴가맨]] (전 50화중 4화분 집필)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전 50화중 8화분 집필)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전 50화중 26화분 집필)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전 50화중 27화분 집필)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전 49화중 13화분 집필) * [[굉굉전대 보우켄저]] (전 49화중 5화분 집필) *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전 49화중 13화분 집필) * [[염신전대 고온저]] (전 50화중 3화분 집필) * [[천장전대 고세이저]] (전 50화중 10화분 집필) * '''[[해적전대 고카이저]]''' (전 51화 중 25화분 집필) * [[동물전대 쥬오우저]] (전 48화 중 5화분 집필) * [[우주전대 큐레인저]] (전 48화 중 2화분 집필)[* 집필한 두 개의 에피소드 중 18화는 [[스페이스 스쿼드 : 우주형사 갸반 VS 특수전대 데카레인저]]와의 콜라보 에피소드이며, 역시 이 작품의 각본을 담당했다.] *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전 51화 중 5화분 집필) * [[4주 연속 스페셜 슈퍼전대 최강 배틀!!]] *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전 48화 중 6화분 집필) *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전 45화 중 20화분 집필)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오성전대]]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아키바레인저]]''' (전 13화)--[*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항목 참조.] ==== 기타 ==== *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전 13화중 7화분 집필) * [[초광전사 샹제리온]] (30화만) * '''[[마법선생 네기마]] 특촬판''' * '''[[강철천사 쿠루미]] pure''' * [[스페이스 스쿼드 : 우주형사 갸반 VS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걸즈 인 트러블 스페이스 스쿼드 EPISODE ZERO]] ==== 극장판 ====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극장판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극장판 *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극장판 * [[염신전대 고온저 VS 게키레인저]] ([[코무라 쥰코]]와 공동 작업) * [[고카이저 고세이저 슈퍼전대 199히어로 대결전]] * [[해적전대 고카이저 THE MOVIE - 하늘을 나는 유령선]] * [[해적전대 고카이저 VS 우주형사 갸반]] *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VS 루팡레인저 VS 패트레인저]] ([[코무라 쥰코]]와 공동 작업) *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에피소드 ZERO]] (시모 아유미와 공동 작업) *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THE MOVIE 비밥 드림]] ==== 슈퍼전대 V시네마/V시넥스트 ==== *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VS 카레인저]] * [[성수전대 긴가맨 VS 메가레인저]]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VS 아바레인저]]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VS 데카레인저]] *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VS 보우켄저]]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10 YEARS AFTER]] * [[텐 고카이저]]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20th 용서받지 못한 아바레]]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20TH 파이어볼 부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