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荒牧伸志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메카 디자이너]]. 1960년 10월 2일 생. ([age(1960-10-02)]세) SF, 메카닉, [[강화복]] 외길 인생을 걷고 있는 감독이다. 단순히 필모그라피만 봐도 영화들이 기본적으로 SF에 강화복 설정 성애자라는게 느껴질 지경. 어린 시절부터 [[울트라 Q]], [[울트라맨(1966)|울트라맨]], [[울트라 세븐]], [[우주전함 야마토]], [[기동전사 건담]], [[전설거신 이데온]] 같은 SF 작품을 좋아했고 기계를 좋아해 기계를 직접 분해하거나 조립했다고 한다. 아라마키의 아버지도 아들이 기계를 좋아하는 걸 알아서 모터쇼에 데려가거나 기계를 구해주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대학 재학 중 졸업이 위험해지자 선배 연줄로 디자이너 활동을 시작하고 중퇴한다. 이때 그가 디자인한 [[카세트 테이프]] 로봇은 [[트랜스포머]]의 [[사운드웨이브]]로 재활용되기도 했다. 다만 자신은 트랜스포머 시리즈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는지 나중에 해외 이벤트에서 자신이 디자인한 메카중에 이런게 있다는 말을 했는데, 한 트랜스포머 팬이 "사운드웨이브네요." 라고 하자 무척 당황했다고 한다. [* 보통 메카, 완구 디자인은 회사에 제출하면 디자이너 개인의 저작권이 없기 때문에 회사가 무단으로 재활용해도 할 말이 없다.] 그리고 [[기갑창세기 모스피다]] 때 "오토바이가 강화복이 된다는 아이디어"를 내서 채용되어 유명세를 얻게 된다. 모스피다는 아라마키가 기획도 주도했다고 한다. 감독에게도 지시를 내릴 권한이 있었다고 한다. [[메가존 23]]의 [[가란드]]도 디자인했다. 실제로 변형할 수 있게 디자인했는데 당시 완구 제조 기술로는 재현 불가능했고 주변인들도 "이게 어떻게 변형이 됩니까." 라고 무시해 억울했다고 한다. 나중에 완구가 나왔을 때 "되잖아!" 라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버블검 크라이시스]]도 강화복 디자인 초안은 [[소노다 켄이치]]가 줬지만 하드보일드한 세계관과 세세한 디자인 변경은 아라마키가 디자인했다. 그 외에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의 [[오토메일]], 마법진 같은 것도 디자인했다. 1987년 [[메탈 스킨 패닉 MADOX01]]라는 OVA로 감독 데뷔를 하는데, 이것도 설정 자체가 주인공이 강화복을 주우며 일어나는 해프닝을 다룬다. 스토리는 그저 그렇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영상미와 강화복의 활용에 대해서는 신기원을 개척했다는 평을 받았다. 초기엔 연출에 대해 잘 몰라 감독 작품은 친구들에게 맡겼으나 서서히 직접하게 되었고 2000년대부터 연출력은 상당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일본의 CG 애니메이션 감독 중에서는 실력이 꽤 되는 감독이다. OVA를 만들다가 본격적으로 극장판 애니메이션 데뷔를 한 작품이 2004년 개봉한 [[애플시드]]이다. 3D 메카닉 애니메이션으로 거의 1세대라 부를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전세계 45만장의 판매고를 올렸다고 한다. 애플시드는 이후 아라마키 신지에게 있어서 일종의 라이프 워크가 되어서 2007년, 2014년에 후속작이 나오게 되었다. 이때 [[CG 애니메이션]]에 대한 노하우가 쌓여 이후로는 주로 CG 애니메이션을 감독하고 있다. [[카미야마 켄지]]와 공동 감독으로 만드는 작품이 늘었다. 자신의 디자인과 세계관, 연출은 [[작화]]로 표현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CG 이외의 애니메이션을 만들 생각은 없다고 한다. 카메라 워크를 돌리는 연출을 많이 하는데 이건 [[작화]]로 하면 굉장히 힘든 연출이다. 하물며 아라마키의 복잡한 메카닉 디자인으로 이걸 한다는 건 MADOX처럼 최고급 애니메이터만 불러오지 않는 이상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 [[헤일로 레전즈]]도 아라마키 신지를 언급할 때 빼 놓으면 안되는 작품이다. 헤일로 레전즈, 애플 시드, 버블검 크라이시스 등으로 일본보다 해외에서 더 인기가 높은 감독이자 디자이너로 그의 작품은 대부분 해외 스폰서로 제작되며 강화복의 원류인 [[스타쉽 트루퍼스]]의 후속 시리즈를 만들 기회도 얻게 되었다. 존경하는 크리에이터는 [[카와모리 쇼지]], [[시로 마사무네]]라고 한다. 출처: [[https://www.b-ch.com/contents/feat_creators_selection/backnumber/v19/p03.html|#]] [* PC로 봐야 보인다.] == 연출 작품 == === 감독 작품 === * [[메탈 스킨 패닉 MADOX01]] (1988, OVA) - 메카닉 디자인 * [[메가존 23]] PART 3 (1989, OVA) - 원안 * [[애플시드]] (2004, 극장판) * [[애플시드|애플시드 EX MACHINA]] (2007, 극장판) * VIPER'S CREED(2009, TVA) - 총감독 * [[헤일로 레전즈]] (2010, OVA) - [[오시이 마모루]]와 공동 총감독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명의. 각 화 연출은 다른 사람들이 했고 오시이 마모루와 아라마키 신지가 손봤다. * [[스타쉽 트루퍼스: 침공]] (2012, 극장판) * [[캡틴 하록]] (2013, 극장판) * [[애플시드|애플시드 알파]] (2014, WEB) * [[일본 애니(메이터) 견본시장|evangelion:Another Impact Confidential]] (2015, WEB) * [[스타쉽 트루퍼스: 화성의 배신자]] (2018) - 마츠모토 마사루(松本 勝)와 공동 감독 * [[ULTRAMAN(만화)/애니메이션|ULTRAMAN]] (2019, WEB) - [[카미야마 켄지]]와 공동 감독 / 콘티 / 카미야마 켄지보다 아라마키 신지 연출색이 강하다. * [[공각기동대 SAC 2045]] (2020, WEB) - [[카미야마 켄지]]와 공동 감독 / 콘티 * [[블레이드 러너 2049#s-5.1|블레이드 러너: 블랙 로터스]] (2021, WEB) - [[카미야마 켄지]]와 공동 감독 * [[ULTRAMAN(만화)/애니메이션|ULTRAMAN]] 시즌 2 (2022, WEB) - [[카미야마 켄지]]와 공동 감독 / 아라마키 신지 연출색이 강하다. * [[ULTRAMAN(만화)/애니메이션|ULTRAMAN]] 파이널 시즌 (2023, WEB) - [[카미야마 켄지]]와 공동 감독 === 기타 === * [[버블검 크라이시스|버블검 크래시!]] (1991) - 감수 ([[이시구로 노보루]]와 공동) * [[가사라키]] - 콘티 25 == 디자인 작품 == === 메카 디자인 === * [[트랜스포머]] - [[사운드웨이브]] 원형 디자인.[* 정확하게는 사운드웨이브의 원본이 되는 [[미크로맨]] 마이크로체인지 카세트맨 완구의 디자인을 맡았다.] * '''[[기갑창세기 모스피다]]''' (1983) * MASK (1985) * '''[[메가존 23]] PART 1, 2, 3''' (1985, 1986) * 워너비즈(ウォナビーズ) (1986) * [[싸워라! 이쿠사1]] 2, 3 (1986, 1987) * [[푸른 망아지 브링크]] (1989) * 전국무장열전 폭풍동자 히사츠맨(戦国武将列伝 爆風童子ヒッサツマン) (1990) * [[아이노 쿠사비]] 2화 (1994) * '''[[가사라키]]''' (1988) * [[격투! 크러시기어 TURBO]] (2001 ~ 2003) * [[울프스 레인]] (2003) * [[철완 아톰|아스트로 보이 아톰]] (2003) * [[대활극! 설희인법첩]] (2004) * [[기동전사 건담 MS IGLOO 시리즈]] (2004) * 프로젝트 블루 지구 SOS(Project BLUE 地球SOS) (2006) * [[REIDEEN]] (2007) * 오오에도 로켓(大江戸ロケット) (2007) * [[기신대전 기간틱 포뮬러]] (2007) * [[극장판 강철의 연금술사 미로스의 성스러운 별]] (2011) * [[사이보그 009|009 RE:CYBORG]] (2012) * [[캡틴 어스]] (2014) === 기타 디자인 === * '''[[버블검 크라이시스]]''' (1987~ 1991) - 프로덕션 디자인 / 메카닉, 세계관 디자인 * [[톱을 노려라!]] (1988) - 설정 * [[제노사이버 허계의 마수]] (1993) - 프로덕션 디자인 * [[스크라이드]] (2001) - 디자인 웍스 * [[디지몬 테이머즈]] (2001) - CG 디자인 * [[위치 헌터 로빈]] (2002) - 디자인 웍스 *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2003) - 프로덕션 디자인 / 오토메일, 마법진 디자인 * '''강철의 연슴술사 극장판 [[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2005) - 프로덕션 디자인 * [[슈가슈가룬/애니메이션|슈가슈가룬]] (2005) - 마계 아트 컨셉 디자인 * [[로보텍|Robotech: The Shadow Chronicles]] (2007) - 오리지널 디자인 / 기갑창세기 모스피더의 디자인이 사용되어 크레딧 되었고 새로한 것은 없다. * [[기동전사 건담 MS IGLOO 시리즈|기동전사 건담 MS IGLOO 2 중력전선]] (2008) - 디자인 웍스 * [[소울 이터(만화)/애니메이션|소울 이터]] (2008) - 컨셉 디자인 *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 (2009) - 마법진 디자인 * [[STAR DRIVER 빛의 타쿠토]] (2010) - 컨셉 디자인 * [[STAR DRIVER 빛의 타쿠토|STAR DRIVER 빛의 타쿠토 THE MOVIE]] (2013) - 컨셉 디자인 * [[갓챠맨]] (2013) - 과학닌자대 슈트 디자인 * [[텐카이나이트]] (2013) - 컨셉 디자인 * [[학살기관(2017)|학살기관]] (2017) - 디자인 웍스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분류:1960년 출생]][[분류:트랜스포머 시리즈/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