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F72A 20%, #FFF72A 80%, #FFE927);" {{{#00753a '''아데마르 피멘타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
<-4><:> {{{#333333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 '''대표팀'''}}} || ||<:> [[틀: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72A; font-size: 0.9em;" [[틀: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00753a '''브라질'''}}}]]}}}[br]{{{-2 13대, 17대}}} || }}} || ||<-2> [[파일:Ademar Pimenta.jpg|width=100%]] || || 이름[* 현재 브라질식 [[포르투갈어|포어]]의 표기는 Ademar이다.] ||아데마르 피멘타[br](Adhemar Pimenta) || || 생년월일 ||[[1896년]] [[4월 12일]] || || 사망년월일 ||[[1970년]] [[8월 26일]] (향년 74세) || || 국적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width=28]] [[브라질 군사정권|브라질 연방공화국]] || || 출신지 ||[[브라질 제1공화국|브라질 합중 공화국]] [[리우데자네이루|히우지자네이루]] || || 신체조건 ||불명 || || 감독 ||방구 AC (1934-1936)[br]마두레이라 AC (1936-1937)[br]상크리스토방 AC (1936-1937)[br][[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대표팀]] (1936-1938)[br]마두레이라 AC (1939)[br][[보타포구 FR]] (1940-1942)[br][[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대표팀]] (1942)[br][[산투스 FC]] (1943)[br]봉수체수 FC (1943)[br]봉수체수 FC (1945)[br]상크리스토방 AC (1947)[br]아메리카 FC (1948)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의 전 축구 감독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감독 생활 === ==== 클럽 ==== 아데마르는 축구 선수로는 군소 클럽에서 뛰었고 체육 스포츠 협회의 기술 이사였다. 그러다 1934년 [[캄페오나투 카리오카]] 소속의 방구 AC에서 감독 커리어의 스타트를 끊었다. 아데마르는 1936년 마두레이라의 캄페오나투 카리오카 준우승을 이끌며 명성을 얻었고 이는 지금까지도 마두레이라의 클럽 역사상 최고의 성적이다. 그는 1948년까지 여러 클럽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는데 [[산투스 FC]]에서는 선수들과의 마찰로 인해 팀에 오래 있지 못하기도 했다.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1936년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대표팀]]의 감독이 된 아데마르는 [[193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아르헨티나|1937년 남아메리카 챔피언십]]에서 브라질의 준우승을 이끌었다. 하지만 브라질에게 이 대회는 여러모로 아쉬운 대회였는데 단일 리그 최종전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전에서 비겨도 우승이었지만 [[엔리케 가르시아]]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는 바람에 0대1로 패해 최종전까지 치러야 했다.[* 현재의 방식대로 골득실까지 따졌다면 아르헨티나가 우승하기 위해서는 2점차 이상의 승리가 필요했다.] 그리고 아르헨티나와의 최종전 겸 리매치에서 연장전에 [[비센테 데라마타]]에게 두 골을 얻어맞고 패했다.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년 월드컵]]에서 브라질은 당시만 해도 역대 최고의 성적인 3위를 기록했지만 아데마르는 무수한 욕을 얻어먹어야 했다.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2.2|역대급 난투극]]에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2.5|재경기]]까지 치르고 올라간 혈전의 승리 이후 치러진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3.1|4강]]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전. 아데마르는 부상 회복 겸 체력 안배를 이유로 브라질의 에이스이자 공격의 핵 [[레오니다스 다시우바|레오니다스]]를 뺐다가 이탈리아에 1대2로 패했기 때문이었다. 레오니다스가 다시 출전한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4.1|3, 4위전]]에서 레오니다스가 2골을 넣어 브라질이 3, 4위전을 승리하자 4강전에서 레오니다스를 굳이 뺐어야했는지에 대한 논란이 브라질 내에서 뜨겁게 지펴졌다. 레오니다스가 없어도 이탈리아를 이길 수 있었다는 아데마르의 오만이 브라질의 결승 진출을 막았다는 논란의 결과는 지금까지도 나지 않고 있지만 어쨌든 아데마르는 월드컵이 끝난 후 브라질 대표팀 감독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후 아데마르는 [[1942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우루과이|1942년 남아메리카 챔피언십]]에서 다시 브라질 대표팀을 이끌었고 브라질은 3위의 성적을 거뒀다. === 이후 === 아데마르는 축구 감독 생활을 끝내고 라디오 축구 중계 해설자로 일했다. 그의 해설자 생활은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년 월드컵]]까지 진행되었다.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8강 이후#s-4.1|결승전]] 중계 도중에 건강에 이상을 느낀 아데마르는 병원 치료를 받아야 했고 그렇게 해설도 그만두었다. 아데마르는 1970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 뒷이야기 == * 아데마르는 클럽팀 감독직을 수행하며 주 대표팀 감독직도 겸임했는데 당시 [[인종차별]]이 꽤 심했던 브라질 축구계에 대해 비판하는 목소리를 낸 적이 있다. 뛰어난 실력을 가진 흑인 선수들이 주 대표팀에 더 많이 참가해야된다고 주장했다. == 수상 == === 국가대표 === * [[FIFA 월드컵]] 3위 1회: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준우승 1회: [[193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아르헨티나|1937]] [[분류:1896년 출생]][[분류:1970년 사망]][[분류:리우데자네이루 출신 인물]][[분류:브라질의 축구감독]][[분류:방구 AC/역대 감독]][[분류:보타포구 FR/역대 감독]][[분류:산투스 FC/역대 감독]][[분류: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감독]][[분류:브라질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감독]][[분류:1937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