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아누팜 트리파티}}}[br]अनुपम त्रिपाठी[* [[펀자브어]] 구르무키 표기는 ਅਨੁਪਮ ਤ੍ਰਿਪਾਠੀ.] | Anupam Tripath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누팜트리파티.jpg|width=100%]]}}} || ||<|2> '''출생''' ||[[1988년]] [[11월 2일]] ([age(1988-11-02)]세)|| ||[[뉴델리]][* [[https://mb.com.ph/2021/09/27/squid-game-player-no-199-anupam-tripathi-talks-about-role-pursuing-career-in-korea/|#]]]||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 '''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학부#연극원|연극원]] {{{-2 (연기과 / 예술사)}}}[br][[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학부#연극원|연극원]] {{{-2 (연기과 / 예술전문사과정 재학)}}} || || '''데뷔''' ||[[2014년]] 영화《[[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 연기 자체는 [[2006년]]부터 모국인 [[인도]]에서 연극으로 시작했다고 한다.][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4-12-17)]일, [age(2014-12-17)]주년''')}}} || || '''종교''' ||[[힌두교]]|| || '''별명''' ||안우범[* 배우의 '우', [[호랑이]]의 '범'을 뜻하는 이름이다. 빠르게 발음하면 '아누범'이 되어 자신의 원래 이름인 '아누팜'과 비슷한 발음이 된다.]|| || '''링크''' ||[[https://instagram.com/sangipaiy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오징어 게임]] 공개 전에는 약 3,000명이었지만 공개 후 상승세를 타 270만명을 돌파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인도]] 출신의 [[배우]]다. 처음에는 인도에서 [[연극]] 배우로서 연기 생활을 시작했지만 2014년부터 [[대한민국]]에서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최초 데뷔작인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부터 천만 관객을 돌파하더니 그 이후 출연한 [[오징어 게임]]의 초대박으로 엄청난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남아시아권 출신 배우들 중엔 가장 크게 성공한 사람이라 볼 수 있다. == 생애 == [[인도]] [[뉴델리]]가 고향으로, 2006년 처음 [[음악]]과 [[연기]]를 배우기 시작했다. 인도의 성씨는 그 성씨로 [[카스트]]를 알 수 있는데, '트리파티'는 [[브라만#s-1]] 성씨이다. [[https://en.m.wikipedia.org/wiki/Tripathi|#]] 즉 그는 인도의 최상류층 계급인 [[브라만]]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에도 몇몇 연예인이 알려진 '싱'씨는 [[시크교]]도 이다.] 2010년, 인도에서 친구와 함께 [[한국예술종합학교]] 국가 장학생 제도에 합격해 한국에 오게 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923059700371|#출처]]). 이후 연극원 연기과 [[학사]] 학위를 취득했고, 현재는 [[석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처음에는 [[한국어]]를 전혀 하지 못했다고 한다. [[경희대학교]] 어학당에서 기본적인 언어를 배우고, 그 다음부터는 그냥 일상 생활을 하며 서바이벌 한국어로 이겨냈다고 한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14년 ||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 || 스리랑카 노동자[* [[https://m.youtube.com/shorts/JZKTDlMb3ss|등장 씬]]] || 데뷔작 || || 2015년 || [[더 폰]] || 찰스 ||<|4> 단역 || ||<|2> 2016년 || [[아수라(영화)|아수라]] || 인도 노동자 || || '''[[럭키(영화)|럭키]]''' || 인도 남자 || ||<|2> 2017년 || [[침묵(영화)|침묵]] || 태국공장 소장 || || 심장박동조작극 || 네팔 주방장 || 조연 || || 2019년 || [[걸캅스]] || 아랍노동자3 ||<|2> 단역 || ||<|2> 2020년 || '''[[승리호]]''' || 설리반 비서 || || 제씨 이야기 || 제임슨 || 단편영화 || || 2021년 || [[제8일의 밤]] || 오프닝 설법자 목소리 ||<:> 단역 || || 2022년 || [[배니싱: 미제사건]] || 인도네시아인 전달책 ||<:> 조연 || === 드라마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 2016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태양의 후예]]''' || 우르크 발전소 인부[* 6화 샌들을 신고 재난 현장을 다니느라 발에 상처를 입은 [[강모연]]([[송혜교]] 분)에게 자신의 안전화를 양보하는 역할이었다. 짧지만 꽤 인상 깊은 장면이다. 7화에서 어느 정도 상황이 정리된 후 메디큐브에서 신발을 다시 돌려받는 모습으로 한 번 더 등장한다.] ||<|6> 단역 || || 2017년 ||<|2>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그냥 사랑하는 사이]] || 수키의원 외국인 || || 2018년 || [[미스 함무라비]] || 외국인 노동자 || || 2018년 ||<|2>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아스달 연대기]] || 아스달의 상인연합 일원 || || 2020년 || '''[[슬기로운 의사생활]]''' || 외국인 노동자 환자 보호자[* 시즌1 4화 초반에 아주 잠깐 나온다. 10분 15초에 등장한다.] || ||<|2> 2021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모범택시(드라마)|모범택시]]''' || 보이스피싱 돈 전달해 주는 외국인 || ||<|2>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오징어 게임]]''' || '''[[알리 압둘]]''' || 주조연[* 스토리를 이끌어 가는 주요 등장인물들 중 하나이다.][* 드라마로는 첫 주조연 역이다.] || || 2022년 || [[수리남(드라마)|수리남]] || 수리남 인도계 중위 ||<|1> 단역 || || 2023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킹더랜드]] || 사미르 ||<|1> 특별출연 || === 예능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3> 2021년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나 혼자 산다]] || 게스트 || 418회 || || [[MBC every1|[[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width=40]]]] ||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 게스트 || 216회 ||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 게스트 || 748회 || === 광고 === || '''연도''' || '''기업''' || '''브랜드''' || '''링크''' || '''비고''' || || 2017년 || [[동아오츠카]] || [[오로나민C]] || [[https://youtu.be/PQ3WSpX5Em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2021년 || [[Google Play|[[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0]]]] || [[리니지W]] || [[https://youtu.be/6H2hFa0vMG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스노우(기업)|[[파일:snowcorp.png|width=35]]]] || [[스노우(기업)#소다|SODA]] || [[https://youtu.be/7aXg2fdaVt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신승호]], [[강혜원]] 등 || || 머스트잇 || [[머스트잇]] || [[https://www.youtube.com/watch?v=QrsCnk4cjy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이정재]]를 제외하면 [[오징어 게임]] 출연자들 중 첫 지상파 진출광고이다.] || || 2022년 || 여기어때컴퍼니 || [[여기어때]] || [[https://www.youtube.com/watch?v=P92gJB61UU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with [[윤종신]], [[이미주]], [[노홍철]] 등 || === 뮤직비디오 === || '''연도''' || '''가수''' || '''노래''' || '''링크''' || '''비고''' || || 2022년 || [[이종범(만화가)|이종범]] || DANCING POLICEMAN || [[https://www.youtube.com/watch?v=PFKymNxHdk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시상식 == || '''날짜'''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4> '''{{{#FFFFFF 2021년}}}''' || || 12월 29일 || [[MBC 방송연예대상]] || PD상 || 나 혼자 산다 || == 여담 == * [[오징어 게임]]의 [[황동혁]] 감독이 밝히길, 감정 표현도 되면서 한국어 연기가 되는 외국인 배우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가 혜성처럼 그가 나타났다고 [[https://www.youtube.com/watch?v=QjuB2eC7Mmc&t=75s|회고]]했다. * 오징어 게임이 방영되기 전까지만 해도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없었으나, 오징어 게임이 흥행하고 크게 인지도를 얻으면서 [[오영수]]와 같이 2021년 9월 25일 개별 문서가 생성되었다. 이전에 출연했던 작품들에서는 단역으로 주로 나왔지만 오징어 게임에서는 비중이 확실히 있게 나와서 오징어 게임의 큰 성공이 좋은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이 전 세계적인 대박을 치면서 모국에서도 매우 유명해졌다고 한다. 오징어 게임은 겨우 몇 초~몇십 초 나오는 엑스트라를 맡은 배우들도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수천 배로 폭등할 만큼 대박이 났다. * 정작 극 중 알리의 국적은 인도와 [[인도-파키스탄 관계|앙숙관계]]인[* [[남북관계]]와 비슷하다.] [[파키스탄]]으로 나오는데, 인도는 [[고용허가제]] 미지정국가라서 인도 국적의 단순 임노동자는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2021년 재한 외국인 통계에서 인도인 인구는 1만명을 조금 넘기는 수준이며, 단순 임노동자는 찾아보기 힘들다.[* 재한 인도인 대부분은 화이트칼라 직종에 종사한다.~~연구실 포닥이 많다~~][* 인도인 외국인 단순 노동자들은 영어 능력을 살려 영국, 싱가포르, 홍콩 등 영어권 지역에서 많이 일한다. 다른 남아시아 국가들처럼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사우디 등 중동 부국에서 일하기도 한다.] * 그러나 아누팜의 출신 지역인 [[펀자브]] 주는 파키스탄과 인도 사이에 걸쳐 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고증을 보여줬다. [[펀자브인]]은 파키스탄 인구에서 많은 수를 차지하며, [[펀자브어]]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화자 수가 많은 언어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도의 공용어인 [[힌디어]]는 파키스탄의 공용어인 [[우르두어]]와 문자만 다르지[* 힌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를 쓰고, 우르두어는 아랍 문자의 개량 형태인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해 표기한다.] 거의 같은 언어라 고증 면에서 흠잡을 것은 없다. 다만 펀자브어와 우르두어는 확실히 다른 언어다. [[파키스탄인]]들조차 검색하고 나서야 [[알리 압둘]] 역을 맡은 배우가 인도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 수준이다. 다만, 옥의 티가 있다. [[넷플릭스]] 한국어 자막 상에는 알리가 사용하는 자국어를 힌디어로 표기하는데, 틀린 표현은 아니지만 알리의 국적을 생각하면 우르두어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다. * 아누팜을 한국식으로 안우범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알고 있다. [[https://youtu.be/cPmf6W7pqHY?t=501|#]] 자신은 [[석관동]]에 오래 살았으니 석관 안씨, 배우 우(優), 호랑이 범 해서 안우범이라는 이름이 마음에 든다고 한다.[* 그런데 호랑이 범자라는 한자는 없고, 반대로 범 호([[虎]])자가 있다. 범이 우리말이고, 호랑이(虎[[狼]]이)가 한자어다.] [[https://youtu.be/mdsYL3D7Kas?t=57|#]] * 추후 목표는 [[한국 사극|대한민국 사극]]에 출연하는 것이라고 한다.[* 한국인이 아니라서 어렵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역사서에 기록될 정도로 저명한 귀화 외국인이 여럿 있기 때문에 못할 것도 없다. 기록에 외국 출신이라는 내용이 없어도 정황상 외국계 한국인일 거라고 추측되는 인물은 더 많고.] 한국에서 연기를 전공한 만큼 여타 한국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가장 정제된 연기를 볼 수 있는 것이 [[사도(영화)|사도]]나 [[남한산성(영화)|남한산성]] 같은 정통 사극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좋아하는 영화를 물어보면 꼭 [[남한산성(영화)|남한산성]]을 언급할 정도다. 그도 그럴 것이 남한산성은 오징어 게임을 연출한 황동혁 감독의 작품이다. * [[나 혼자 산다]]에서 말하길, [[BLACKPINK]]의 [[BLINK(BLACKPINK)|팬]]이라고 한다. BLACKPINK의 이야기가 나오자 해맑게 웃으며 엄청나게 좋아했다. 또한 나 혼자 산다에서 같은 한예종 출신인 [[박주현(배우)|박주현]]과의 긴밀한 친분 관계가 방송에 공개되기도 하였다. 주한외국인 중에는 [[비정상회담]]에 출연했던 [[자히드 후세인]]과도 안면이 있는 모습이 나왔다. * 2021년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두산 베어스 199번 유니폼을 입고 시구를 하게 되었다. * 리버풀FC 소속의 축구 선수 [[모하메드 살라]]와 상당히 닮았다. * 한국에서 활동 중인 인도 출신 방송인 [[아비셰크 굽타|럭키]]는 원래 한국에서 제일 유명한 인도 사람은 자신이었는데 아누팜 때문에 2등으로 밀렸다면서 몇 년 전 그의 메시지를 씹은 게 후회된다고 하였다. * "티파니와 아침을"에서 나온 자신이 생각하는 명대사를 꼽았다. >'''평범한 사람이라도 각자의 이야기는 특별한 이야기가 된다.''' >---- >'''내 자신을 있는 그대로 진실하게 보여줘야 한다.''' * 한국에서 처음에는 종교의 영향으로 인해 고기를 먹지 않았다.[* 인도의 국교인 [[힌두교]]는 소를 신성시하기 때문에 [[소고기]]를 먹지 않으며, [[돼지고기]]도 종교의 교리를 거스르는 부정한 식품으로 간주되어 먹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 생활 3년 반 만에 처음으로 쌈밥을 먹었는데 너무 맛있었고 그 일을 계기로 고기를 잘 먹게 되었다고 한다. * 아누팜 트리파티가 미국 오디오 드라마 스캐머스(Scammers)의 주역을 맡는다고 소속사가 밝혔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13013943|#]] * 영화 [[걸캅스]]에서 아랍인 단역을 맡은 적이 있었다. 그러나 [[아랍인/오해와 편견#s-1.3|이는 아랍인에 대한 서양, 동아시아의 고정관념]]이 반영된 것이다. 인도인들은 대개 [[오스트랄로이드]] 형질이 있는 경우가 중수인데, 아랍인은 [[니그로이드]] 형질이 있는 사람이 소수라도 있지만 오스탈로이드 형질이 있는 아랍인은 극소수 중의 극소수로, [[오만인]] 이외에는 거의 없다. 저런 극소수의 예외를 제외한 아랍인들은 거의 코카소이드 인종.[* 그리고 다른 영화에서 [[태국인]], [[인도네시아인]] 역을 맡았는데 이는 한국에서 [[동남아시아인]]이라고 하면 갈색 피부에 콧대가 낮은 인종이라는 고정관념이 대중화되었기 때문이다.] *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2015년 한국 [[기상청]] 영상 공모전 입상작에 배우로 출연하여, [[https://youtu.be/V4kYrvtUsPk|기상청 유튜브]]에 올라갔던 적이 있다. 당시 기상청 유튜브가 활성화됐던 시절은 아니라 조회수는 100회 남짓이다. 영상 설정은 인터뷰인데, 인터뷰하는 사람이 인도사람이라 추위를 많이 타서 여름에 가죽옷을 입고 다닌다는 설정. * 반지하 자취방 모습을 공개한 적이 있다. [[https://www.news1.kr/articles/?4469838|#]] [[분류:한국 남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1988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분류:재한 인도인]][[분류:뉴델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