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오스 카락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2>
{{{#FCB501 '''{{{+2 아네트}}}''' (2021)[br]''Annett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네트 한국.jpg|width=100%]]}}} || || '''{{{#FCB501 장르}}}''' ||[[드라마]], [[뮤지컬]], [[로맨스]] || || '''{{{#FCB501 감독}}}''' ||[[레오스 카락스]] || || '''{{{#FCB501 각본}}}''' ||[[스파크스|러셀 마엘, 론 마엘]][* 1969년부터 '[[스파크스]](Sparks)'라는 이름의 밴드로 활동하는 미국의 형제 뮤지션.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낮지만 [[글램 록]]과 신스 팝, 디스코로 록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밴드다. [[에드거 라이트]]가 이 밴드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같은 해에 연출해 공개하기도 했다.], 레오스 카락스 || || '''{{{#FCB501 음악}}}''' ||[[스파크스|러셀 마엘, 론 마엘]] || || '''{{{#FCB501 제작}}}''' ||찰스 길버트, 폴도미니크 빈 바샤라, [[애덤 드라이버]] || || '''{{{#FCB501 출연}}}''' ||[[애덤 드라이버]], [[마리옹 코티야르]] ,,외,, || || '''{{{#FCB501 촬영}}}''' ||카롤린 샹페띠에 || || '''{{{#FCB501 편집}}}''' ||넬리 퀘티에 || || '''{{{#FCB501 미술}}}''' ||플로리앙 샹송 || || '''{{{#FCB501 촬영 기간}}}''' ||2019년 8월 2일 ~ 2019년 11월 || || '''{{{#FCB501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CG 시네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아르테 프랑스 시네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카날+]]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RTBF]] || || '''{{{#FCB501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왓챠]] || || '''{{{#FCB501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아마존 스튜디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UGC[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왓챠]], [[그린나래미디어]] || || '''{{{#FCB501 개봉일}}}''' ||[[2021년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21년 7월 6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21년 7월 6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8월 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0월 27일 || || '''{{{#FCB501 공개일}}}''' ||[[프라임 비디오|[[파일:프라임 비디오 로고.svg|width=40]]]] 2021년 8월 20일[br][[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40]]]] [[2021년]] [[12월 23일]] || || '''[[화면비율|{{{#FCB501 화면비}}}]]''' ||1.85 : 1 || || '''{{{#FCB501 상영 시간}}}''' ||139분 || || '''{{{#FCB501 제작비}}}''' ||약 1,550만 달러 || || '''{{{#FCB501 월드 박스오피스}}}''' ||약 369만 달러 || || '''{{{#FCB501 대한민국 관객수}}}''' ||35,526명 || || '''[[영상물 등급 제도|{{{#FCB501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https://www.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32&site_code=&category_code=ORS&category_code2=MV&category_code3=&grade_name=15%EC%84%B8%EC%9D%B4%EC%83%81%EA%B4%80%EB%9E%8C%EA%B0%80&rcv_no=2280073&return_url=&searchKeyword=%EC%95%84%EB%84%A4%ED%8A%B8|등급분류 결정내용]]: 몇 차례의 성행위 장면이 있으나 빈번하지는 않으며 짧고 간결하게 묘사되어 선정성의 표현 수위는 다소 높은 수준이다. 또한 저속하고 거친 대사의 수위도 다소 높으므로 15세이상관람가.[br](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선정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대사_2021.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오스 카락스]] 연출, [[스파크스]] 공동 각본 및 음악, [[애덤 드라이버]], [[마리옹 코티야르]] 주연의 성스루(sung-through) 뮤지컬[* [[레치타티보|대사가 없이 전부 음악으로 진행되는]] 뮤지컬 형태를 말하며, [[쉘부르의 우산]] 같은 영화에서 시도된 바 있다.] 드라마 영화. [[2021년 칸 영화제]] 개막작이자 [[칸 영화제/감독상|감독상]] 수상작. 잘 나가는 [[스탠드업 코미디언]] 남편과 세계적인 [[소프라노]] 아내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음악적 재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싱글 대디의 이야기를 그린다. 미국에서는 [[프라임 비디오]] 오리지널 영화로 선정되어 극장 2주 상영 후 VOD로 공개된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uJyXvZBUT8)]}}}|| || {{{#FCB501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7N0q51feFk)]}}}|| || {{{#FCB501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 [[애덤 드라이버]] - 헨리 맥헨리 역 * [[마리옹 코티야르]] - 앤 델그레코 역 * 사이먼 헬버그[* [[빅뱅 이론(시트콤)|빅뱅 이론]]에서의 [[하워드 왈로위츠]] 역으로 유명한 미국의 배우.] - 지휘자 역 * [[앙젤]], [[미즈하라 키코]] - 여섯 명의 여자들 역 * 후루타치 칸지 - 의사 역 * 후쿠시마 리라[* [[더 울버린]]의 유키오를 연기한 배우.] - 간호사 역 * [[스파크스]], [[레오스 카락스]], 나스티야 골루볘바 카락스[* [[레오스 카락스]]의 딸] - 본인 역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O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XHBsXxazS4)]}}}|| || {{{#FCB501 '''So May We Star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21u1vrsE2g)]}}}|| || {{{#FCB501 '''Orchestra scen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B8YXcGM3G8)]}}}|| || {{{#FCB501 '''We Love Each Other So Much(아담 드라이버, 마리옹 꼬띠아르)'''}}}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nnette, critic=67, user=6.9)]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nnette, tomato=71, popcorn=76)] [include(틀:평가/IMDb, code=tt6217926, user=6.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nnette, user=3.4)]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35632, presse=3.9, spectateurs=3.6)]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032894, user=7.174)]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73019, user=2.9)]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37510,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856202, user=7.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9p248,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5862, light=85.71)]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06657, expert=7.44, audience=7.67, user=7.2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49842, expert=<전문가 평점>, user=7.8)] [include(틀:평가/CGV, code=85047, egg=78)] > A dreamy, delicate dance between farce and fantasia, Annette is a magnificently ludicrous rock opera whose experimental approach to its emotional extremes is an ambitious, if not peculiar, return for director Leos Carax. >---- > '''익살극과 환상곡 사이의 경계에 서있는 공상적이면서도 섬세한 춤, <아네트>는 감정의 극단을 향해 실험적으로 접근하는 엄청나게 터무니없는 락 오페라로서, 레오스 카락스 감독의 야심찬 복귀작이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영화를 만드는 게 죽지 않고 진실을 밝히는 유일한 방법인지도 모를 카락스의 심연.''' >---- > - [[이동진]] '''(★★★★☆)'''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6217926/|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1년]] [[6월 30일]] || '''$2,576,020''' || [[2021년]] [[8월 16일]] ||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프랑스]] || [[2021년]] [[6월 30일]] || $2,254,700 || [[2021년]] [[8월 9일]] || ||<:> [[포르투갈]] || [[2021년]] [[7월 8일]] || $23,511 || [[2021년]] [[8월 16일]] || ||<:> [[체코]] || [[2021년]] [[7월 8일]] || $21,589 || [[2021년]] [[7월 19일]] || ||<:> [[아랍 에미리트]] || [[2021년]] [[8월 12일]] || $192,753 || [[2021년]] [[8월 16일]] || ||<:> [[슬로베니아]] || [[2021년]] [[8월 12일]] || $4,880 || [[2021년]] [[8월 16일]] || ||<:> [[러시아]] || [[2021년]] [[8월 12일]] || $78,587 || [[2021년]] [[8월 16일]]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ffffff 1주차}}} ||2021-10-27. 1일차(수) ||<:> 5,627명 ||<:><|7> -명 ||<:> 4위 ||<:> -원 ||<:><|7> -원 || ||2021-10-28. 2일차(목) ||<:> 4,038명 ||<:> 4위 ||<:> -원 || ||2021-10-29. 3일차(금) ||<:> 2,879명 ||<:> 4위 ||<:> -원 || ||2021-10-30. 4일차(토) ||<:> -명 ||<:> 7위 ||<:> -원 || ||2021-10-31. 5일차(일) ||<:> -명 ||<:> 8위 ||<:> -원 || ||2021-11-01. 6일차(월) ||<:> -명 ||<:> 6위 ||<:> -원 || ||2021-11-02. 7일차(화) ||<:> -명 ||<:> 5위 ||<:> -원 || ||<|7> {{{#ffffff 2주차}}} ||2021-11-03. 8일차(수) ||<:> 1,003명 ||<:><|7> -명 ||<:> 6위 ||<:> -원 ||<:><|7> -원 || ||2021-11-04. 9일차(목) ||<:> -명 ||<:> 10위 ||<:> -원 || ||2021-11-05. 10일차(금) ||<:>-명 ||<:> 8위 ||<:> -원 || ||2021-11-06. 11일차(토) ||<:> -명 ||<:> 6위 ||<:> -원 || ||2021-11-07. 12일차(일) ||<:> -명 ||<:> 6위 ||<:> -원 || ||2021-11-08. 13일차(월) ||<:> -명 ||<:> 4위 ||<:> -원 || ||2021-11-09. 14일차(화) ||<:> -명 ||<:> 10위 ||<:> -원 || ||<|7> {{{#ffffff 3주차}}} ||2021-11-10. 15일차(수) ||<:> -명 ||<:><|7> -명 ||<:> 11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25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6> '''누적 관객수 -명, 누적 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74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감독상|감독상]] '''수상''' *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뮤지컬/코미디 여우주연상(마리옹 코티야르) 후보 * 제47회 [[세자르상]] 감독, 편집, 음악, 음향, 시각효과상 '''수상''', 작품, 남우주연(애덤 드라이버), 각본, 촬영, 의상, 프로덕션 디자인상 후보 * 제27회 뤼미에르상 감독, 촬영, 음악상 '''수상''', 작품상 후보 [[애덤 드라이버]]는 [[크리스틴 스튜어트]], [[에이드리언 브로디]]에 이어 세자르상 후보에 오른 역대 세번째 미국인 배우가 되었다. == 기타 == * [[레오스 카락스]]의 첫 영어 영화이자, 그의 [[페르소나]]인 [[드니 라방]]과 함께 작업하지 않은 두 번째 영화이다. *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왜 뮤지컬에서는 섹스를 안 하는 거지?'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영화이며, 처음에는 남자 주인공으로 [[호아킨 피닉스]]를 캐스팅하고 싶었으나 그가 부끄러워해서 성사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 후 드라마 걸스를 통해 [[애덤 드라이버]]를 캐스팅했으며 애덤 드라이버는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깨어난 포스]]의 흥행 개런티로 제작비를 조달했다고 한다. 때문에 성적 수위가 상당히 높다는 평이 많다. * [[황석희]]가 번역했다. * [[정성일]]이 뽑은 2021년 최고작 중 하나이다. [[https://www.kmdb.or.kr/db/list/detail/186/1008?menuIndex=6|#]] * [[이동진]] 평론 [[https://youtu.be/2Y5yJ7sICa8|#]] * 사이먼 헬버그는 이 영화 제작비 지원에 도움이 되기 위해[* 유럽 연합에서 영화 제작 지원을 받으려면 유럽 연합 국가 시민이 캐스팅되어야 한다.] 아내를 통해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했으나 영화 완성 3개월 전 프랑스인 [[마리옹 코티야르]]가 캐스팅되면서 반쯤 헛수고가 되었다고 한다. == 외부 링크 == * [[https://www.imdb.com/title/tt6217926/?ref_=ttfc_fc_tt|IMDb]] - [[IMDb]] 링크 [[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프랑스의 뮤지컬 영화]][[분류:프랑스의 로맨스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뮤지컬 영화]][[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2021년 영화]][[분류:록 오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