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동명이인]][[분류:이름/슬라브어권]][[분류:이름/영미권]][[분류:카우보이 비밥/등장인물]][[분류:미국 소설]][[분류:미국 영화]] [목차] == 인명 == [include(틀:아나스타시오스 명칭변형)] Anastasia(Ἀναστασία) [[고대 그리스어]]권의 남자 [[이름]] 아나스타시오스(Ἀναστάσιος, Anastasios)의 [[여자|여성]]형. '[[부활]]'을 뜻한다. [[게일어]]권, [[그리스어]]권, [[영어|영미]]권, [[러시아어]]권에서 주로 쓴다. 아래 4.항의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이 유명하여 '아나스타샤'라는 한글표기가 널리 퍼졌으나, 실제 [[러시아어]] 발음은 아나스타시야(Анастасия)에 가깝다(я가 합쳐지지 않는다). 그리스어 원어는 외국어의 한글 표기법상으로는 '아나스타시아'가 맞고, [[한국 천주교]]에서 성인명이나 세례명으로 표기할 때에도 '아나스타시아'라고 한다. [[영어]]권에서의 발음은 '애너스테이지어'에 가깝다.[* [[마취]]를 뜻하는 anesthesia와 발음이 비슷해 종종 말장난으로 쓰는 일도 있다. 마취는 약물 등으로 의식을 잃게 했지만 나중에 회복할 수 있는 상태, 즉 '인위적인 부활'이라고 볼 수도 있음을 생각하면 어원에 연관성이 있을지도.] 러시아식 애칭은 [[https://ru.wikipedia.org/wiki/%D0%90%D0%BD%D0%B0%D1%81%D1%82%D0%B0%D1%81%D0%B8%D1%8F|나스티아, 스타샤(Стася), 아샤(Ася), 나스타/나스탸(Наста/Настя) 등등 다양하다]]. 단 [[나타샤]](Наташа)나 [[아냐]](Аня)는 아나스타샤의 [[애칭]]이 아니다. [[나타샤]]는 [[나탈리아|나탈리야]](Наталья)의 애칭이며, [[아냐]]는 [[안나]](Анна), [[아니시아|아니시야]](Анисия/Анисья), 안토니나(Антонина) 등의 애칭이다. 이 외에도 영미권에서는 [[스테이시]](Stacy)라는 이름을 아나스타샤의 애칭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실존 인물 === * 아나슈타시아: [[바토리 에르제베트]]의 [[사생아]] * 아나스타시아 칠림비우: [[그리스]]의 배우. * [[아나스타샤 로마노브나]]: [[이반 뇌제]]의 첫번째 황후. *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러시아 제국|제정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의 마지막 차르 [[니콜라이 2세]]의 넷째 딸로 '''러시아의 마지막 황녀로 잘 알려져 있는 인물.''' 아래의 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주인공의 모티브가 되었다. * 아나스타시아 린 뉴커크: [[미국]]의 [[가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대회 주제가를 부른 것으로도 잘 알려진 인물이자 [[펠레의 저주]] 희생자라고도 알려졌다. 그 이유는 펠레와 아나스타샤가 같이 찍은 사진에서 펠레가 그녀의 가슴을 슬쩍 보는 사진이 찍혔는데 이후 아나스타샤가 유방암에 걸렸기 때문이다. 다행히, 대수술 끝에 기적적으로 살아났다. * 아나스타시아 살로스: 벨라루스의 리듬체조 선수 * [[아나스타샤 무뇨스]]: [[미국]]의 [[성우]] * [[아나스타샤 물미나]]: [[우크라이나]]의 리듬체조 선수 *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3세의 대공비. [[니콜라이 1세]]의 4남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의 장녀. * [[아나스타샤 블리즈뉴크]]: 러시아의 리듬체조 선수 * [[아나스타샤 베르틴스카야]]: 소련의 배우 * [[아나스타샤 체불스카]] : 벨라루스 출신 모델 *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멕시코 제4대 대통령 * 아나스타시오스 라고스: 그리스의 [[축구]]선수. [[파나티나이코스 FC]]에 소속해 있다. * 아나스타시오스 파풀라스: [[튀르키예 독립전쟁]]에 참여한 장군 * [[로마의 역대 황제#s-3|아나스타시우스 1세]]: [[동로마 제국]]의 황제 * 아나스타시우스 2세 * [[쾨셈 술탄|티노스섬의 아나스타시아]]: [[오스만 제국]]의 [[황후]]이자 [[태후]] * [[아나스타샤 소코로바]]: 대한민국에서 활동 중인 우크라이나의 배우 겸 모델 * 아나스타샤 아르히포바: [[우크라이나]]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 가상 인물 === * [[50가지 그림자 시리즈]] - 아나스타샤 스틸 * [[나 혼자 소드 마스터]] - [[아나스타샤(나 혼자 소드 마스터)|아나스타샤]] * [[누구를 위한 알케미스트]] - [[누구를 위한 알케미스트/어둠속성#s-1.2|아나스타샤]] * [[다크 소울]] - [[화방녀 아나스타샤]] * [[데스티니 시리즈]] - 아나스타시아 브레이(아나 브레이) * [[드리프터즈]] - [[아나스타샤(드리프터즈)|아나스타샤]] * [[마리얼레트리]] - 아나스타샤 최 * [[맹약의 리바이어던]] - [[아나스타샤 르바시빌리]] * [[무흐테솀 유즈이을: 쾨셈]] - [[쾨셈 술탄(무흐테솀 유즈이을: 쾨셈)|아나스타시아]] * [[배틀스타 갤럭티카]] - [[아나스타시아 듀알라]] * [[배틀테크]] - [[컴스타|아나스타시우스 포히트]] * [[밴쉬]] - 아나스타샤 래빗 * [[사생아 공주로 살아남기]] - [[아나스타샤 루미엘 엔티모스]] * [[소녀병]] - 성녀 아나스타시아[* 개명 후의 이름이다. 본명은 프란체스카. [[성해 멜로포비아]]와 [[창상 크로스라인]]에서 등장한다.] * [[신데렐라(애니메이션)|신데렐라]] - [[신데렐라(애니메이션)#s-2|아나스타샤]] *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아나스타샤]] -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s-3|아나스타샤]]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아나스타샤(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아나스타샤]] * [[에우슈리]]의 자매 브랜드 아나스타시아 - 메이드 견습 아나스타시아[* 마스코트 캐릭터이다.] * [[오르페우스의 창]] - [[아나스타샤 크리코프스키]] * [[오빠지만 사랑만 있으면 상관없잖아?]] - 나스하라 C. 아나스타샤 미사키 * [[와일드 암즈 세컨드 이그니션]] - [[아나스타시아 룬 발레리아]] * [[좀더! 임신! 불꽃의 가슴 이세계 젖가슴 메이드 학원!]] - 아나스타샤 미스테란테 * [[워머신]] - [[아나스타샤 디 브레이]] * [[창세기전 외전 템페스트]] - [[아나스타샤 버킹엄]] * [[커피우유신화]] - [[아냐스타샤(커피우유신화)|아냐스타샤]] * [[클레이모어(만화)|클레이모어]] - [[아나스타샤(클레이모어)|아나스타샤]] * [[하렘생존기]] - 아나스타샤[* 이 작품의 여성 주인공 2명은 모두 본명이 아나스타샤이기 때문에 애칭으로 구분한다. 한 명은 [[나스챠]], 다른 한 명은 [[아샤(하렘생존기)|아샤]].] * [[BLOOD+]] - 아나스타샤 * [[Fate/Grand Order]] - [[아나스타샤(Fate 시리즈)|아나스타샤]] * Hallo, Welt! - [[아나스타샤 파지트노프스카야]] * [[Lobotomy Corporation]] - 아나스타샤 * [[MazM: 페치카]] - 아나스타시야 바실리예브나 코르네바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 [[아나스타시아 호신]] ==== [[카우보이 비밥]]의 등장인물 ==== [include(틀:카우보이 비밥/등장인물)] ---- 성우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이치조 미유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성선녀]], [[정유정(성우)|정유정]](실사판). 5화, 26화에 등장. 화성에서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는 여성. 덩치 좋고 인상 좋은 아주머니. 과거에 레드 드래곤에 연관되어 있었던 것으로 묘사된다. [[마오 옌라이]]와는 각별한 사이였던 것 같다. [[스파이크 스피겔]]이나 [[줄리아(카우보이 비밥)|줄리아]]와는 꽤 사이가 좋았던 것 같고 [[비셔스]]와도 알고 지낸 듯하다. 현재는 조직과 연을 끊고 조용히 살아가고 있다. 마오의 죽음에 의심을 품은 스파이크가 찾아왔을 때는 상당히 놀란 모습을 보인다. 스파이크를 죽은 사람 취급하지만 실은 꽤나 걱정하고 있었다. 본명으로 부르면 매우 싫어한다. 때문에 다들 애칭인 ''''애니'''' 라고만 부르고 있다. 자신의 본명을 부를 수 있는 사람은 두 사람밖에 없다나.[* 한 명은 죽은 남편, 또 한 명은 마오이다. 이 두 명은 5화 중 아나스타냐와 함께 찍은 [[http://www.rfblues.net/Omake/Notice/MysteryManlarge.jpg|액자 속 사진]]으로 잠깐 나온다.] 이후 장로파와 급진파 사이의 내분에 휩쓸리게 되며, 스파이크가 그녀를 찾아왔을 땐 이미 하복부에 치명상을 입은 상태였으며, 스파이크가 보는 앞에서 죽는다. 실사판에선 편의점 주인에서 상당한 규모의 회원제 술집을 운영하는 거물로 설정이 바뀌었다. == [[미국]]의 아동 소설 == 미국의 아동 문학 작가 로이스 로리가 쓴 작품이자 작품의 여주인공 이름. 영문학 교수 아버지와 화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12세 소녀의 엉뚱한 하루하루가 중심 내용이다. 한국에서는 [[지경사]]에서 '''나의 비밀노트''', 산하출판사에서 '''아나스타샤''' 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아나스타샤의 이름 유래는 당연히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로마노바]]다. 또한 내용 중에 주인공인 아나스타샤가 이 인물과 자신을 관련지어서 망상을 하는 부분이 있다. 처음에는 길고 어려운 자신의 이름을 싫어했으며 애칭도 따로 없는 이름이라 반에서 애칭으로 불리는 여자 아이들의 클럽에 들어가지 못해서 토라지기도 한다. ~~근데 아나스타샤는 스테이시라는 애칭으로 불릴 수 있지 않나?~~ 그러나 자신의 이름 유래를 알고 나면서 자기 이름에 애착을 갖게 된다. 그렇지만 이후 시리즈에서 썸남에게 이름으로 놀림받으면서 씁쓸해 한다. 이 에피소드는 지경사판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고, 산하출판사에서만 나온다. [[안경]] [[안경 캐릭터|착용자]]이며, 코 부근에 [[주근깨]]가 있다. 굉장히 [[여성향|소녀취향 테이스트]]가 강한 작품인데, 의외로 이 작품을 발간한 지경사에서는 소녀취향의 작품을 주로 다루는 C코드가 아닌 중성적인 명랑 소설을 주로 다룬 G코드로 분류되어 나온지라,[* 지경사 C 코드의 대표작이 [[세인트 클레어 시리즈]]이며, G 코드의 대표작이 [[꼬마 흡혈귀 시리즈]]이다.이것만 봐도 각 코드별 분류가 지향하는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다.]지경사 문고를 기억하는 올드팬들에게는 왜 이 시리즈가 C 코드로 출간되지 않았는지 미스터리이다. == 영화 == [[1956년]]작 영화. 아나톨 리트박 연출. [[잉그리드 버그먼]], [[율 브리너]]가 주연을 맡았으며, [[헬런 헤이즈]]가 출연했다. 좋은 평을 얻었다. 버그먼은 이 영화로 두 번째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20세기 폭스]]에서 배급했으며, 나중에 이 회사에서 애니메이션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아나스타샤]]가 만들어진다. 둘의 줄거리가 유사하다. 몇몇 차이점을 들자면 아나스타샤와 짜고 사기를 치는 남자 주인공이 군인이 아닌 민간인 청년인 점, 괴승 [[그리고리 라스푸틴]]이 악마와 거래를 한 마법사이며 [[로마노프 가문]]에 앙심을 품고 저주를 걸어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게 만든 악역으로 나온다는 점 등이 있겠다. 러시아 혁명기 백군 장교([[율 브리너]] 분)는 백군의 세력을 규합하기 위해 공산군에게 처형된 아나스타샤 공주와 닮은 여인([[잉그리드 버그먼]] 분)을 찾아 아나스타샤 공주가 살아있다고 소문을 퍼트리는데 진짜로 그 여인이 아나스타샤 공주였다. 결국 두 사람은 사랑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리고 떠난다는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astasia(1956)_Ingrid_Bergman.jpg|width=100%]]}}}|| [[토요명화]] 방영 당시 [[박상일]]이 장교를 연기했다. ==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 [[20세기 폭스]] 사에서 위 3항의 영화를 원작으로 삼아 만든 1997년작 [[애니메이션]]으로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로마노바]] [[공주]]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 [[파이널 판타지 XII 레버넌트 윙]]에 등장하는 전설의 [[성검]]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RW_Anastasia.jpg]] [[파이널 판타지 XII|원작]]의 [[페이크 주인공]]이었던 [[반(파이널 판타지 XII)|반]]이 후속작인 레버넌트 윙까지 가서야 겨우겨우 주인공 노릇을 제대로 하던 도중 획득하는 성검. 설정상 사용자를 직접 선택한다고 한다. 게임을 직접 해 보면 알겠지만 일단 생긴 게 [[간지]]나는 건 물론이고 성능도 쩔어준다. 주인공임에도 공기 같은 비중을 자랑하던 반을 불쌍히 여긴 제작진이 밀어주기 위해 일부러 만들었다는 느낌마저 받을 정도다. [include(틀:스포일러)] 그 정체는 나르비나 요새에서 쓰러졌던 윌리스가 반 일행에게 진실을 알려주고 변화한 검이다. == 동구권 여성 데이팅(?) 사이트 == anastasiadate.com, 유래는 가장 유명한 아나스탸샤 로마노프. Scam Free, 즉 절대 사기 당하지 않을 것을 내세우는 회사이다. 그러나 현실은 '''당연히''' 거짓. 일단 가입은 무료. 하지만 접속하면 셀 수도 없는 여성들이 채팅을 걸어온다. 이용하는 데에는 안드로메다급의 요금을 자랑하는 데, 1000 크레딧에 $400... 채팅하는 데에 분당 1크레딧, 편지를 쓰고 읽는 데 10크레딧 씩 등이 나간다. 영어로 된 사용후기나 불평을 보면 한달에 천달러 단위로 날린 사람이 수두룩하다. 접속하자 마자 아름다운 여성들이 채팅을 걸어오는 게 수상하지 않은가? 실제로 현지를 방문해 뒤를 알아본 용자들에 의하면, 채팅을 거는 여성은 본인이 아니라 관련 업체의 직원인 경우가 훨씬 많다고 한다. 미녀가 하루종일 컴퓨터 앞에서 채팅을 할 리가 없다. 게다가 프로필 설명도 일치하지 않고, 심지어 기혼이고 애까지 딸린 여성들이 미혼 또는 이혼이라 속이고 채팅을 시도하고 있다고 한다! 운영진 말으로는 이들은 돈 받고 채팅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데, 역시나 현지 조사를 한 용자들에게 거짓말임이 판명났다.[* 여기에 대해 운영진은 그런거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결론은 그냥 버려라. 환불 방침도 워런티도 없다. 어떠한 경우라도 약관은 언어가 된다면 읽어보는 것이 좋다. 이들이 돈을 버는 방법은 얻을 수도 없는 여성 사진을 이용해 연애에 연 자도 모르는 남성들을 노리는 것 일 뿐이다. 엔하, 리그베다 위키 시절에 해외 아이피 접속으로 들어오면 우단에 이 광고가 많이 들어왔다. 해외에서 접속했을 경우에도 서핑을 하다보면 군데군데 이 사이트의 광고가 많이 올라온다. 하지만 속지 말자. 혐오스러운 것은 중국판(asiandate.com), 라틴 아메리카(amolatina.com), 아프리카 판(africanbeauties), 아랍 판 (arabiandate.com)으로도 있다. 역시나 투자하지 말자. == 기타 == * [[X 시리즈/비공식 함선#s-3|아나스타시우스]] - [[X 시리즈]] * 성적 절정의 순간 등 지극한 쾌감을 표현하는 유행어. [[귀귀]]의 [[열혈 초등학교]] 만화에서 유래. * [[마법진 구루구루]]에서는 특이하게도 지역 이름으로 나온다. 작중 표기는 '아나스타시아'(アナスタシア). [[미그미그족]]이 "사랑하는 하트" 마법을 통해 이주했다는 천상의 공간이다. [[쿠쿠리]] 역시 마지막에 사랑하는 하트 마법을 써 [[니케(마법진 구루구루)|니케]]와 함께 아나스타시아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