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태양신의 지하제단 보스몬스터 35대 아그니, rd1=라테일/던전, paragraph1=3.3.3.2)] [include(틀:라테일/직업)] [목차] == 개요 == ||[[파일:NOTICE_A.png]]|| [[2017년]] [[7월 19일]] 추가된 물리 직업이다. --어지간히 인기가 없었는지 출시 후 반 년이 지나도 문서 자체가 없었다(...)-- 상태 창을 보면 SP 게이지가 있어야 할 자리에 ARP 게이지가 있는데 전직에 따라 그 수치가 달라진다. ARP가 남아있는 상태면 아그니 쉴드와 아그니 버서커가 발동된다. ||[[파일:NOTICE_ARPTIP.png]]|| [[방어력]]의 배수로 정해지며 ARP가 있는 동안에는 HP를 대신해서 ARP를 소모한다. 당연하지만 남아있는 ARP의 양이 대미지보다 적으면 나머지 [[대미지]]만큼 HP가 감소한다. ARP가 존재하는 동안 발동되는 아그니 쉴드 상태에서는 물리 경직또한 이뮨된다.[* 마법 경직은 그대로 적용되며, 상태 이상을 주는 공격은 상태 이상도 적용된다. 대표적으로 [[오딘(라테일)|주신의 환영]]의 스턴 상태 이상이 있다.] 또한 아그니 버서커의 효과로 '''방어력과 저항력이 전부 0'''이 되어 피격 대미지가 눈에 띄게 증가한다. ARP가 0이 되면 아그니 쉴드와 아그니 버서커가 해제되며 90초 이후 다시 충전된다. '''버서커가 해제되면 최종 대미지 10%에 관통력 20%가 날아가기 때문에 최대한 ARP를 유지시키며 플레이하는게 컨트롤 요소'''다. 참고로 아그니 쉴드로 생성되는 방패 그래픽은 ARP가 0이 되지 않는 한 없어지지 않는다. 거슬려 하는 유저들이 은근히 있는 편. 그리고 ARP가 얼핏 보면 굉장히 많아보이는데 [[라테일/던전|인던]] [[잡몹]]들을 상대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1분 버티면 잘한거지-- 보스전에서 딜링을 보조한다는 개념으로 보는 쪽이 마음 편하다. '''거꾸로 말하면 방어력, 저항력이 0인 상태에서 잡몹한테 몇 번 맞으면 대미지 100만은 우습게 들어온다는 얘기'''이기도하다. 사용하는 무기는 기간트폴. [[둔기]] 비슷하게 생겼는데, 무기가 어마어마하게 크다. 펫이나 망토 등을 대부분 가리니 코디에 신경쓰는 유저라면 신중하게 결정하자. 무기가 큰 덕인지 공격 범위는 전방 X축 기준으로 꽤나 긴 편. --그리고 그 덕분인지 공격속도도 속 터지게 느리다--[* 이 부분은 2차 전직 이후 배우는 플레임 스킬부터 조금 해소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각성 1,2 레전드 1,2가 없다면 쿨타임 감소가 40%가까이 돼도 속터지게 느린 기간틱 스킬들을 같이 운용해야하는게 문제라면 문제.] 정령석은 [[수도사(라테일)|데미갓]]과 같이 최초 지급 받은 정령석을 강화시켜 나가는 방식이다. 최상급 파편과 특수 파편, 엘리로 강화가 가능하되 성공 확률은 20%. 이거 강화할 때 돈이 상당히 많이 깨진다. 인챈트 실패시에도 파괴되지 않지만, 강화당 인챈트 등급이 함께 상승하며 인챈트 확률이 떨어진다. 7강 기준으로 인챈트 확률은 20%이며 인챈트 시도 비용은 1000만 엘리. HP, 고정대미지, 올스텟, 대미지감소, 방어력을 인챈트 할 수 있다. == 1차 : 용병 == ||[[파일:ARG_1st.png|width=100%]]|| >전장을 휩쓰는 뜨거운 불꽃. >그 누구보다 화려하게 빛나고 강하게 타오른다. > >거인을 상대하기 위해 특수 제작된 거병, >기간트 폴을 폭풍처럼 휘두르며 >두려움과 경외의 대상으로 >수백만 용병 위에 군림한다. 아그니 캐릭터 생성시 최초로 갖는 직업. [[카드마스터]]나 [[수도사(라테일)|데미갓]]과 같이 별도의 튜토리얼을 진행한다. 1차 스킬이 전부 기간틱 스킬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공격 속도가 어마어마하게 느리다. 그나마 기간틱 러시나 기간틱 버스터가 속도가 좀 빠른 편. 보통 1~50레벨 기준으로 ARP를 전부 소모할만한 일이 없기 때문에 전직 전까지 포션을 아예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 2차 : 플레임 로드 == ||[[파일:ARG_2nd.png|width=100%]]|| >세상의 모든 뜨거운 기운을 지배한다. >혼돈만이 가득했던 아득한 옛날. > >세상을 잠식하는 강렬한 어둠속에서. >위대한 고신, 아그니로부터 비롯된 거대한 불꽃은 >세상을 밝히고 생명을 불어 넣는다. >오늘, 불의 근원이 되어 모든 것을 불사른다. 기간틱 스킬과 더불어 플레임 스킬들을 사용한다. 타 직업만큼 빠르지는 않지만 기간틱 스킬들에 비하면 속도가 빠르고 타격 수도 많은 편. 마찬가지로 ARP를 모두 소진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100레벨에 전직하기 전까지 포션을 아예 사용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 == 3차 : 마그마 포스 == ||[[파일:ARG_3rd.png|width=100%]]|| >행성의 근원. >그 뜨거운 피를 다스릴 수 있는 존재만이 >위대한 불의 신, 아그니의 힘을 이어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보아라! >이 피야말로 생명의 근원이오. >모든 것을 최후, 그 너머로 인도할 종말의 증표이다. 이 때부터 마그마 스킬을 다루게 되며 특수 포인트 AP가 개방된다. 또한 이동기와 기간틱 러시가 AP를 소모하는 스킬로 변한다. 여담으로 [[용암]]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용암은 사실 철도 녹일 수가 없다(...) --아그니가 약해 빠진 이유-- == 4차 : 아그니 == ||[[파일:ARG_4th.png|width=100%]]|| >아주 먼 옛날. >고신 아그니는 태양을 창조했고 >메마르고 어두운 행성에 빛의 세례를 허락했다. > >신은 떠났지만, 그 힘과 축복은 자손들에게 남겨졌다. >스스로 희망이 되기를 원하는 자에게 >태양의 축복이 함께 하기를. === 공격 스킬 === ||[[파일:ARG_SKILL_AT.png|width=100%]]|| [* 현재 패치로 중급, 상급, 최상급 마스터리의 마스터 레벨이 15로 변경되었다.] ==== 초급 스킬 ==== 기간트폴 마스터리 (초급)[* 레벨 당 명중률 +1%p]은 기간트폴 마스터리 (중급)의 선행으로 5레벨 전부 찍는게 보통이다. 초급 스킬의 테마는 [[자이겐틱|기간틱]]. 기간틱 스윙과 기간틱 슬래시, 기간틱 스트라이크는 타격 수 3~4회에 비해 시전 시간이 1.5초 가량 되어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다. 기간틱 버스터는 성장 마스터 시 2회 사용이 가능하며[*A 단, 쿨타임이 50% 증가한다.] '''기간틱 러시는 5회 연속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이동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 중급 스킬 ==== 기간트폴 마스터리 (중급)[* 레벨 당 최소/최대 대미지 +1%p]은 마스터리 상급을 위해 10만 찍거나 사람에 따라 15 전부 다 찍기도 한다. 실제로 보조 스킬에 있는 분노의 일격, 파괴의 일격과 비교하면 같은 스킬포인트를 투자하는데 비해 이쪽이 더 효율이 좋다. 중급 스킬의 테마는 [[플레임]]. 플레임 스트라이크는 성장 마스터 시 2회 사용이 가능하며[*A] 선 딜레이가 0.1초 가량으로 매우 짧다. 그 외의 플레임 샷이나 플레임 버스터도 타격 횟수가 6회, 4회로 나쁘지 않은 편. ==== 상급 스킬 ==== 기간트폴 마스터리 (상급)[* 레벨 당 최대 대미지 +2%p]역시 취향에 따라 10만 찍기도, 마스터하기도 한다. 다만 이 쪽도 보조 스킬에 있는 파괴의 일격보다 스킬 포인트 투자대비 효율이 더 좋은 편. 상급 스킬의 테마는 [[마그마]]. 아그니 특수 스킬을 사용하면 지속 시간 동안 상급 공격 스킬을 사용하면 라바 하운드가 소환된다. 따라서 상급 스킬을 포기하면 사실상 딜링을 포기하는 셈. ==== 5차 스킬 ==== 멜트 다운은 양손검의 5차 스킬과 흡사한데, 인피니티 스킬로 성장하면 모션이 딴 판으로 변한다. 인피니티로 성장하면 50%확률로 라바 더스트도 발동되어 주변 몬스터를 추가로 타격한다. [[기사(라테일)|세이버]]처럼 5차 스킬을 선행으로 하는 쇼크 웨이브 스킬이 있는데, 단순한 속박기이다. AP를 소모하며, 성장하지 않은 경우 50% 확률로 2초, 성장한 경우 100%확률로 4초간 적을 속박한다. 현실적으로 선 딜레이가 너무 길고 딜링 능력이 떨어져서 잘 안 쓰지만 ARP에 신경쓰는 유저는 간간히 활용하는 편. ==== 최상급 스킬 ==== 최상급 스킬이 1개 밖에 없는데, 성장 마스터하면 1초간 이뮨 효과가 추가 된다. 마석 연구소의 물바다 패턴이나 게미누스의 폭탄 패턴 등이 발동될 때 타이밍을 잘 맞춰 사용하면 피격 대미지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 1,5초 정도 모션에 타격 횟수도 9회이고 특수 사용 시에 라바 하운드까지 소환되니 --쿨타임 빼고-- 나름 효자스킬. 최상급 마스터리의 효과는 타 직업과 마찬가지로 레벨 당 무기 공격력 +1%p이다. 대미지의 베이스가 되는 스텟인만큼 마스터가 권장되는 편. === 보조 스킬 === ||[[파일:ARG_SKILL_AS.png|width=100%]]|| 보조스킬이 타 직업에 비하면 매우 적은 편이다. 참고로 근력 컨트롤을 제외하고 대부분 신경조차 안 쓰는 제일 윗줄 스킬은 각각 투쟁심III[* 레벨 당 고정 대미지 1%p 증가. 마스터 레벨은 5], 정확성III[* 레벨 당 명중률 3%p 증가. 마스터 레벨은 9], 강인한 신체III[* 레벨 당 최대 HP 1%p 증가. 마스터 레벨은 10], 신속함III[* 레벨 당 이동속도 7%p 증가. 마스터 레벨은 9]이다. 두 번째 줄 스킬은 각각 스탯 강화III[* 레벨 당 모든 스텟 2%p증가. 마스터 레벨은 5], 화염의 가호III[* 레벨 당 방어력 1%p 증가. 마스터 레벨은 5], 기간틱 아머III[* 레벨 당 방어력 100 증가. 마스터 레벨은 5이며, 스킬 포인트가 소모되지 않음]이다. 스탯 강화 아래의 왼쪽 스킬은 크리티컬에 관련된 효과를 가진다. 각각 크리티컬 대미지[* 레벨당 3%p], 크리티컬 확률[* 레벨당 1%p], 릴리즈[* 레벨당 크리티컬 대미지 6%p증가, 60초 지속]. 오른쪽 스킬은 각각 최소, 최대, 스킬 대미지[* 각각 레벨 당 1%p] 를 올려주는데 스킬 대미지야 그렇다쳐도 최소, 최대 대미지는 같은 스킬포인트 투자 기준 마스터리 중급, 마스터리 상급이 훨씬 효율이 좋다. 화염의 가호 아래의 왼쪽 스킬은 각각 관통력[* 레벨 당 관통력 '''1%'''], 무기 공격력[* 레벨 당 최소/최대 무기 공격력 1%p 증가. 마스터리 최상급과 효과가 같다.], 초감각[* 레벨 당 쿨타임 감소 1%p, 사용 시 스킬 레벨 당 30의 AP 즉시 회복]이다. 무기 공격력이야 두 말할 필요 없이 좋은 스텟이며 '''쿨타임 감소가 절실한''' 아그니에게 초감각은 거의 필수이다. 오른쪽 스킬은 보스 몬스터 딜링과 관련된 옵션으로 거인 추격자III[* 레벨 당 500의 보스 추가 대미지. 추가 대미지는 고정 대미지와 달리 최종 대미지에 합산되는 옵션으로,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와 거인 학살자III[* 레벨 당 0.2%의 보스 추가 대미지. 즉, 최종 대미지를 올려주는 옵션으로, 마스터 시 3%이다.]가 있으며, 추가 대미지를 부여하는 죽음의 징표 III[* 5%확률로 발동. 스킬 레벨은 대미지에만 관여]가 있다. === 레전드 스킬 === ==== 레전드 1 ==== ||[[파일:ARG_SKILL_L1.png|width=100%]]|| ||[youtube(sruyY0JSZiU,width=640,height=360)]|| || 아그니 레전드 스킬 || 순서대로 피지컬 파워[* 근력 1000, 방어력 5%p 증가], 배틀 마스터[* 최소/최대 대미지 15%p 증가], 인챈트 웨폰[* 무기 공격력 15%p 증가], 각성, 기간틱 마스터[* 스킬 대미지 10%p, 방어력 10%p 증가], 기간트 헌터[* 크리티컬 대미지 30%p, 방어력 5%p], 레전드이다. 옵션을 보면 알겠지만 각 옵션 하나하나가 어지간한 장비 하나보다 효율이 좋다. 타 직업도 마찬가지겠지만 레전드 퀘스트가 생기면 꼬박꼬박 깨주자. ==== 레전드 2 ==== ||[[파일:ARG_SKILL_L2.png|width=100%]]|| || [youtube(91O0E8-yksk)] || || 아그니 각성 2 스킬 || || [youtube(KrLUt3VR_v4, start = 1)] || || 아그니 레전드 2 스킬 || 순서대로 히든 스텟[* 올스텟 1000 증가], 맥시멈 파워[* 최대 대미지 5'''%''' 증가. 이 게임에 몇 없는 '''최종 최대 대미지''' 증가 옵션이다.], 모탈 어택[* 크리티컬 대미지 5'''%'''증가. 마찬가지로 이 게임에 몇 없는 '''최종 크리티컬 대미지''' 증가 옵션이다.], 각성II, 타락한 힘[* 멜트 다운 5레벨 증가], 생존 본능[* '''무기 공격력 100% 증가'''. 지속 시간 5분, 쿨타임 20분][* 17년 12월 20일 패치 이후 스타시커를 제외한 전 직업의 생존 본능 쿨타임이 30분에서 20분으로 감소하였다. [[http://latale.happyoz.com/news/notice/read.asp?61V6D0PC5lk36jXan4tpWyW1LvLwg1b8ILU0PIlXm0pKsi717nRBb0YqGD420RLKi4GxdN22L79T51JdAry2|해당 패치 내역(공식 홈페이지)]]], 레전드II다. == 기타 == === 밸런스 === 신규 직업임에도 [[수도사(라테일)|데미갓]]과 다르게 [[밸런스]] 부분에 관해서 논란이 없다. 아그니 쉴드 상태에서는 방어력, 저항력이 모두 0이기 때문에 몇대 맞으면 ARP가 없어져 버서커가 풀리기 때문인 탓도 있어보이고, 초중반부에 공격 속도가 [[답이 없다|답이 안 나오는 수준]]이라 오래 키우지 못한 유저가 많은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탱커 콘셉트임에도 탱커라고 보기가 어려운데, 파픈스타나 세이버처럼 이뮨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있긴 있다 스킬 시전이 끝나고 발동되는 1초짜리 이뮨기--, 윈드스토커처럼 회복기가 있는 것도, 검호나 테러나이트처럼 흡혈 요소가 있는 것도 아니다. 몬스터가 몰리는 순간 ARP가 순삭당하는 게 다반사라 90초--사실상 계속-- 동안은 안 그래도 답답한 공격 속도를 가지고 거의 무방비 수준으로 버텨야 하는 직업이다. --실수로 네판두스한테 피라도 빨리면 머리 끝까지 화가 치솟는다.-- --컨트롤 꼬이면 보스전 처음부터 끝까지 무방비-- 결국 출시 5개월 1일만에 진행된 밸런스 패치에서 상향되었다.[* 생존 본능 쿨타임 패치 날과 같은 날에 밸런스 패치가 진행됐다.] 2021년 현재는 세이버의 하위호환 정도 되는 적당한 밸런스를 가진 직업이다. 일단 ARP 시스템이 출시 초기와 달리 이제는 활성화된 시간이 훨씬 길고, 추가타를 그야말로 우겨넣을 수 있어 딜링도 꽤 괜찮은데 생각보다 인식은 여전히 그렇게 좋지 않은 편. 7월 각성 패치까지 아그니에게 웃어주면서 숨어있던 최강의 직업 자리까지 올라왔다. === 여담 === 유저들의 관심이 별로 없는 듯 하다. 공식 홈페이지의 [[http://latale.happyoz.com/wiki/|La Wiki]]를 봐도 운영진이 등록해둔 글이 끝이며, 나무위키에도 캐릭터가 나오고 반년이 지났는데도 [[토막글]] 하나 작성되지 않았다. [[http://cafe.naver.com/latalesia|라테일 시아]] 등 라테일 관련 커뮤니티를 찾아봐도 아그니 정보는 1페이지를 넘어가지 못한다. 게임 내에서도 발키리 기간트폴은 구현되지 않은건지 발키리 무기 교환권 교환 목록에서 찾아볼 수가 없다. 이래저래 [[존재감]]이 [[투명|투명하다]](...) 3차 전직 후 대기 모션 중 노란 나비가 캐릭터가 기대고 있는 기간트폴 뒤에서 리본을 그리는 모습이 있다. [[분류:라테일/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