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아가씨와 충견군)] ||<-2>
{{{#ec6ca5,#ec6ca5 '''{{{+1 아가씨{{{#ffffff 와}}} 충견{{{#ffffff 군}}}}}}''' (2023)[br]お嬢{{{#ffffff と}}}番犬{{{#ffffff くん}}}}}}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가씨와충견군_애니키비주얼2.webp|width=100%]]}}} || ||<-2> {{{#ec6ca5,#ec6ca5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ec6ca5,#ec6ca5 장르}}}''' ||[[러브 코미디]], [[순정]] || || '''{{{#ec6ca5,#ec6ca5 원작}}}''' ||하츠하루(はつはる) || || '''{{{#ec6ca5,#ec6ca5 감독}}}''' ||[[타카모토 요시히로]] || || '''{{{#ec6ca5,#ec6ca5 시리즈 구성}}}''' ||사츠키 아야(皐月 彩) || || '''{{{#ec6ca5,#ec6ca5 각본}}}''' ||히라미 미하루(平見 瞠)[br]토미타 요리코(冨田頼子) || || '''{{{#ec6ca5,#ec6ca5 캐릭터 디자인}}}''' ||반 유키코(番 由紀子) || || '''{{{#ec6ca5,#ec6ca5 프롭 디자인}}}''' ||미야가와 하루오(宮川治雄) || || '''{{{#ec6ca5,#ec6ca5 미술 설정}}}''' ||타카하시 마호(高橋麻穂) || || '''{{{#ec6ca5,#ec6ca5 미술 감독}}}''' ||쿠즈린(葛 琳) || || '''{{{#ec6ca5,#ec6ca5 색채 설계}}}''' ||키바타 미유키(木幡美雪) || || '''{{{#ec6ca5,#ec6ca5 CG 라인 디렉터}}}''' ||하마무라 토시로(濱村敏郎) || || '''{{{#ec6ca5,#ec6ca5 촬영 감독}}}''' ||아사카와 시게키(浅川茂輝) || || '''{{{#ec6ca5,#ec6ca5 편집}}}''' ||타키가와 미치(瀧川三智) || || '''{{{#ec6ca5,#ec6ca5 음향 감독}}}''' ||고우 후미유키(郷 文裕貴) || || '''{{{#ec6ca5,#ec6ca5 음향 효과}}}''' ||안도 유이(安藤由衣) || || '''{{{#ec6ca5,#ec6ca5 녹음 조정}}}''' ||후지타 나오미(藤田直美) || || '''{{{#ec6ca5,#ec6ca5 음향 제작}}}''' ||비트 그루브 프로모션 || || '''{{{#ec6ca5,#ec6ca5 음악}}}''' ||이토 츠바사(伊藤 翼) || || '''{{{#ec6ca5,#ec6ca5 음악 제작}}}''' ||[[포니캐년]] || || '''{{{#ec6ca5,#ec6ca5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키쿠치 사다카즈(菊池貞和)[br]후루카와 신(古川 慎) || || '''{{{#ec6ca5,#ec6ca5 프로듀서}}}''' ||이토 히로시(伊藤裕史)[br]와타나베 유키(渡部祐樹)[br]야마토 마사에(大和雅恵)[br]쿠로스 노부히코(黒須信彦)[br]나카타 히로야(中田博也)[br]마츠이 유코(松井優子)[br]스가야 타다시(菅谷忠史) || || '''{{{#ec6ca5,#ec6ca5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무라사키 타카유키(村崎孝行)[br]코타니 사토시(糀谷智司) || || '''{{{#ec6ca5,#ec6ca5 애니메이션 제작}}}''' ||[[project No.9]] || || '''{{{#ec6ca5,#ec6ca5 제작}}}''' ||아가씨와 충견군 [[제작위원회]] || || '''{{{#ec6ca5,#ec6ca5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 09. 29.]] ~ 방영 중 || || '''{{{#ec6ca5,#ec6ca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금) 00:30[* 1화는 (금) 01:05에 방영.][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수) 02:00[* 1화는 금(0200)에 방영.] || || '''{{{#ec6ca5,#ec6ca5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www.aniplustv.com/items/3012|▶]][br][[Laftel]] [[https://laftel.net/item/41665|▶]][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593003|▶]] || || '''{{{#ec6ca5,#ec6ca5 편당 러닝타임}}}''' ||24분 || || '''{{{#ec6ca5,#ec6ca5 화수}}}''' ||13화 (예정) || || '''{{{#ec6ca5,#ec6ca5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모방위험)}}}}}} || || '''{{{#ec6ca5,#ec6ca5 관련 사이트}}}''' ||[[https://ojoutobankenku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jou_info)]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 [[아가씨와 충견군]]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타카모토 요시히로]].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년 9월 29일]]. == 공개 정보 ==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kC5XvAG3EU,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8JaJVL_2ZTQ, width=100%)]}}} || || '''티저 PV (15초 ver.)''' || '''티저 PV (30초 v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1icAWu5p3g,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s9Y4frk9_c, width=100%)]}}} || || '''티저 PV''' || '''본 PV''' || ||<-2>{{{#!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dww9aT24dhc, width=100%)]}}} || ||<-2> '''방영 직전 PV''' || ||<-2>{{{#!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wo_tqnel9M, width=100%)]}}} || ||<-2> '''애니플러스 PV'''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아가씨와충견군_키비주얼1.jpg|width=100%]]}}} || || '''{{{#ec6ca5,#ec6ca5 키 비주얼 1탄}}}''' || == 줄거리 == >부모님을 어렸을 때 교통사고로 여읜 세나가키 이사쿠는, >야쿠자 조직의 두목인 할아버지의 집에 거두어져 지내게 되었다. > >어린 이사쿠의 보호자로서 그녀를 돌보게 된 사람은, >할아버지네 야쿠자 조직의 부두목이기도 한 우토 케이야였다. > >그는 어린 이사쿠의 부모이자 오빠로서 그녀를 성심성의껏 돌봤고... > >그렇게 시간이 흘러, 이사쿠는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다. >야쿠자 집안의 손녀라는 배경에서 벗어나고자 일부러 먼 곳에 있는 학교를 골랐지만, >어찌 된 일인지 우토 케이야 또한 이사쿠가 다니게 된 고등학교에 부정 입학하게 되었는데. >---- >[[https://www.aniplustv.com/items/3012|애니플러스]] == [[아가씨와 충견군#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가씨와 충견군, 앵커=등장인물)] == 주제가 == === OP === ||<-2>
'''{{{#ec6ca5,#ec6ca5 OP[br]好きになっちゃダメな人[br]좋아해선 안 되는 사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pSAgX8JtHs, width=100%)]}}} || ||<-2> '''{{{#ec6ca5,#ec6ca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c1h3ne_sb0, width=100%)]}}} || ||<-2> '''{{{#ec6ca5,#ec6ca5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E8J1X0tEvg, width=100%)]}}} || ||<-2> '''{{{#ec6ca5,#ec6ca5 Full ver.}}}''' || || '''노래''' ||<|4> [[오오이시 마사요시]]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OP 디렉터''' ||<|3> 세타 미츠에(瀬田光恵) || || '''콘티''' || || '''아트 애니메이션''' || || '''작화감독''' || 반 유키코(番 由紀子) || || '''원화''' || 우치다 모모카(内田百香)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ec6ca5,#ec6ca5 ED[br]Magie×Magi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RNM8meYK60, width=100%)]}}} || ||<-2> '''{{{#ec6ca5,#ec6ca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h1bCtneq54, width=100%)]}}} || ||<-2> '''{{{#ec6ca5,#ec6ca5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eIeYGcV4xQ, width=100%)]}}} || ||<-2> '''{{{#ec6ca5,#ec6ca5 Full ver.}}}''' || || '''노래''' || [[키토 아카리]][* 본작의 여주] || || '''작사''' || 타카세 아이코(高瀬愛虹) || || '''작곡''' ||<|2> 와키 마사토미(脇 眞富) || || '''편곡''' || || '''발매일''' || 선행 공개: 2023.09.29.[br]2023.10.11.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디렉터''' ||<|5> 타케우치 마사토(竹内雅人) || || '''콘티''' || || '''제작진행''' || || '''연출''' || || '''편집''' || || '''캐릭터 디자인''' ||<|2> 우나바라 카이리(うなばら海里) || || '''작화감독'''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include(틀:애니플러스 신작)]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시나리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제1화}}} || {{{-3 春とはじまり[br]봄과 시작}}} ||<|6> {{{-3 사츠키 아야[br](皐月 彩)}}} ||<-2> {{{-3 [[타카모토 요시히로]]}}} || {{{-3 후지사와 토시유키[br](藤澤俊幸)[br]세토 요시카네[br](瀬戸良兼)[br][[오오노 츠토무]]}}} || {{{-3 반 유키코[br](番 由紀子)}}} || {{{-3 日: 2023.09.29.[br]韓: 2023.10.06.[br][[https://youtu.be/aADOqW9_QE4|하이라이트]]}}} || || {{{-3 제2화}}} || {{{-3 乙女心と親心[br]소녀 마음과 부모 마음}}} ||<|4> {{{-3 사이토 노리아키[br](齋藤徳明)}}} || {{{-3 카와니시 타이지[br](川西泰二)}}} || {{{-3 시게쿠니 히로코[br](重國浩子)[br]세토 요시카네}}} ||<|3> {{{-3 반 유키코[br]센시바 쿠온[br](千支羽久遠)}}} || {{{-3 日: 2023.10.06.[br]韓: 2023.10.11.[br][[https://youtu.be/XdmnpWUjQ-s|하이라이트]]}}} || || {{{-3 제3화}}} || {{{-3 キスとスキ[br]키스와 사랑}}} || {{{-3 카토 아키라[br](加藤 顕)}}} || {{{-3 세토 요시카네[br]射佳佳[br]王世林[br]王振业[br]김원희[br](金垣希)[br]김종임[br](金鍾任)[br]김숙희[br](金淑禧)[br]이희주[br](李熙周)[br]RadPlus[br]Revival}}} || {{{-3 日: 2023.10.13.[br]韓: 2023.10.18.[br][[https://youtu.be/-6VQbZspTCM|하이라이트]]}}} || || {{{-3 제4화}}} || {{{-3 危険とトナリあわせ[br]위험과 옆자리}}} || {{{-3 야마우치 토미오[br](山内東生雄)}}} || {{{-3 王振业[br]李毅[br]射博杰[br]Revival[br]Studio EverGreen}}} || {{{-3 日: 2023.10.20.[br]韓: 2023.10.25.[br][[https://youtu.be/6vzxNiYm18I|하이라이트]]}}} || || {{{-3 제5화}}} || {{{-3 波乱と手打ち[br]파란과 해결}}} || {{{-3 타카모토 요시히로[br]타카하시 토모히로[br](高橋朋宏)}}} || {{{-3 세토 요시카네[br]김원희[br]김종임[br]김숙희[br]이희주}}} || {{{-3 반 유키코}}} || {{{-3 日: 2023.10.27.[br]韓: 2023.11.01.[br][[https://youtu.be/XyvLRePRA7M|하이라이트]]}}} || || {{{-3 제6화}}} || {{{-3 真夏と夜の夢[br]한여름과 밤의 꿈}}} || {{{-3 타케우치 히카루[br](竹内 光)[br]요시카와 코지[br](吉川浩司)}}} || {{{-3 카와니시 타이지}}} || {{{-3 시게쿠니 히로코[br]세토 요시카네[br]마츠모토 카츠지[br](松本勝次)[br]신야 마히루[br](新谷真昼)[br]김원희[br]김종임[br]김숙희[br]이희주[br]장상미[br]김진영[br]sun jian qing}}} || {{{-3 반 유키코[br]센시바 쿠온}}} || {{{-3 日: 2023.11.03.[br]韓: 2023.11.08.[br][[https://youtu.be/nQwSJbgKNVA|하이라이트]]}}} || || {{{-3 제7화}}} || {{{-3 狸と番犬[br]너구리와 충견}}} || {{{-3 히라미 미하루[br](平見 瞠)}}} ||<|5> {{{-3 사이토 노리아키}}} || {{{-3 타카모토 요시히로[br]타카하시 토모히로}}} || {{{-3 兰彦军[br]王振业[br]林炜[br]鳥尾[br]세토 요시카네}}} || {{{-3 반 유키코}}} || {{{-3 日: 2023.11.10.[br]韓: 2023.11.15.[br][[https://youtu.be/jPOENB-qTUg|하이라이트]]}}} || || {{{-3 제8화}}} || {{{-3 三文芝居とメロドラマ[br]삼류 연극과 멜로 드라마}}} || {{{-3 토미타 요리코[br](冨田頼子)}}} || {{{-3 야스에 나츠미[br](安江菜津美)}}} || {{{-3 후지사와 토시유키[br]시게쿠니 히로코[br]세토 요시카네[br]오오노 츠토무[br]王世林[br]射佳佳[br]RadPlus[br]Revival}}} ||<|2> {{{-3 반 유키코[br]센시바 쿠온}}} || {{{-3 日: 2023.11.17.[br]韓: 2023.11.22.[br][[https://youtu.be/uW05LSsL5SQ|하이라이트]]}}} || || {{{-3 제9화}}} || {{{-3 刃傷と沙汰[br]흉기 난동 사태}}} || {{{-3 사츠키 아야}}} || {{{-3 카토 아키라}}} || {{{-3 세토 요시카네[br]王世林[br]射佳佳[br]王振业[br]張金浩[br]吳曉偉[br]翁有威[br]金逸凡[br]徐晨寅[br]印傑[br]尤倩}}} || {{{-3 日: 2023.11.24.[br]韓: 2023.11.29.[br][[https://youtu.be/j-2pryqxr4U|하이라이트]]}}} || || {{{-3 제10화}}} || {{{-3 移り香と囁き[br]잔향과 속삭임}}} || {{{-3 히라미 미하루}}} || {{{-3 紫雄}}} || {{{-3 鳥尾[br]劉華睿[br]王振业}}} ||<|2> {{{-3 반 유키코}}} || {{{-3 日: 2023.12.01.[br]韓: 2023.12.06.}}} || || {{{-3 제11화}}} || {{{-3 来し方と行く末[br]과거와 미래}}} || {{{-3 토미타 요리코}}} || {{{-3 야마우치 토미오}}} || {{{-3 세토 요시카네[br]마츠모토 카츠지[br]王振业[br]STUDIO MASSKET[br]Revival}}} || {{{-3 日: 2023.12.08.[br]韓: 2023.12.13.}}} || || {{{-3 제12화}}} || {{{-3 クズとハート[br]}}}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13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tomato=, popcorn=)]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tomato=, popcorn=)] [include(틀:평가/ANIPLUS, code=, user=)] [include(틀:평가/Filmarks(애니메이션), code=, user=)] [include(틀:평가/IGN 코리아, code=, user=)] [include(틀:평가/IMDb, code=, user=)] [include(틀:평가/Just Watch(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 user=)]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 user=)]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 user=)]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 code=, press=, spectateurs=)]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 user=)]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 user=)]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 [include(틀:평가/크런치롤, code=, user=)]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 user=)]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방송), code=, Heart=)] 성우들의 연기는 호평이지만, 2화부터 '''[[작화 붕괴]]'''가 심해져 '''원작 팬들은 아예 애니는 없다'''는 취급을 하고 있다. 아무래도 제작사가 동분기에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애니메이션|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 [[돼지의 간은 가열해라/애니메이션|돼지의 간은 가열해라]]와 다작을 하게 되면서 인력이 분산된 것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화 작화감독을 하청사에 무더기로 뿌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일부 정지컷만 공을 들였고, 움직임은 전체적으로 뚝뚝 끊기거나 자연스럽지 않으며 인체 비율이 이상한 작붕이 많다. 심지어 작화 붕괴를 넘어서, 6화 중후반에 이사쿠가 침대에서 무지 반팔 반바지 잠옷을 입고 있는데, 다음 컷에서 초반에 나온 하얀 치파오풍 옷을 입고 있다. 그리고 다음 컷에 다시 일반 반팔 잠옷이다. 7화는 아예 작붕이나 작화 오류를 넘어서 중간 컷이 어색할 정도로 생략되는 심각한 날림 연출을 선보였다. 아래가 예시. * || 상황 || 타누키가 사용인에게 잔소리를 들으며 길을 걸어감. || 타누키가 우연히 서점의 이사쿠를 발견함. || 사용인이 타누키가 사라진 걸 깨닫고 주위를 두리번거림. || 사용인이 타누키가 없어졌다고 소리 침. || || 애니에서 나오는 화면 || 길을 걸어가는 타누키와 사용인이 화면에 잡힘. || 서점 창문의 이사쿠가 화면에 잡힘. || '''화면 전환 없이 여전히 이사쿠 얼굴 정지 화면이 화면에 잡힘.''' 사용인이 길을 걸어가는 소리, '어어' 하는 소리만 나옴. || 드디어 화면이 전환되고 사용인의 모습이 화면에 잡힘. || 당연히 '사용인이 타누키가 사라진 걸 깨닫고 주위를 두리번거림.' 부분에서는 화면이 전환되어 사용인이 타누키가 사라진 걸 깨닫고 고개를 돌리는 장면, 타누키를 찾으려고 주위를 두리번거리는 장면 이 두 장면의 애니메이션이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마치 시간이 없어서 이런 기본적인 묘사조차 포기한 듯 애니 제작진은 화면 전환을 하지 않는 어색한 연출을 사용했다. 밑의 예시는 훨씬 더 심각하다. * || 상황 || 타누키가 이사쿠 뒤에서 나타나 이사쿠의 머리카락을 만짐. || 이사쿠가 타누키의 등장에 놀라 고개를 돌림. || 이사쿠가 타누키를 알아보고 타누키의 이름을 부름. || 타누키가 이사쿠에게 작업을 검. || 케이야가 다가옴. || 케이야가 타누키에게 벽쿵을 함. || || 애니에서 나오는 화면 || 이사쿠 뒤에 나타나 이사쿠 머리카라가을 만지는 타누키가 화면에 잡힘. || 이사쿠가 고개를 돌리는 장면이 화면에 잡힘. || 사람 1명 그려져 있지 않는 책장만 화면에 잡힘. || '''화면 전환 없음. 여전히 사람 1명 그려져 있지 않는 책장만 화면에 잡힘.''' 둘의 대화 소리만 흘러 나옴. || '''화면 전환 없음. 여전히 사람 1명 그려져 있지 않는 책장만 화면에 잡힘.''' 케이야의 발소리만 흘러 나옴. || 케이야와 타누키가 화면에 잡힘. || 위의 상황보다 상황이 더욱 다채롭게 변하는데도 '''그동안 화면이 단 한 번도 전환되지 않고, 사람 1명 그려져 있지 않는 책장 배경만 정지컷으로 내세웠다.''' 그래도 8화는 무난한 작화로 이전 화들보다 케이야 + 전체 등장인물 비율, 외모 등이 나아져 상황, 감정이 잘 전달됐다. 하지만 이건 애니메이터를 잘 만난 걸 수도 있다. 단, 잘 가다가 마지막 이사쿠, 케이야, 타누키가 함께 하교할 때 신발장 장면부터 마지막까지 인물 작붕이 꽤 있다. 여전히 심각한 작붕을 보여주는데, 9화에선 목소리가 캐릭터 입 움직임이랑 안 맞는다. 13분 34초 부근부터 이사쿠를 뒤로 숨기는 케이야의 팔과 손 묘사도 정말 최악이고 여기서부터 13분 50초 부근까지 타누키, 케이야의 싱크가 안 맞는다. 심지어 케이야의 목소리는 나 오는데 입도 뻥긋 안 하는 장면도 있어서 작붕에 작화 오류가 또 나왔다. 15분 40초 부분도 마찬가지로 작화와 싱크가 안 맞는다. 심지어 말이 안 되는 장면이 있는 게, 만화에는 묘사되지 않은 연극의 무도회 장면이 배경이 설정 오류다. [[로미오와 줄리엣]]을 연극하는데 무도회의 복장은 근현대에 입는 정장이자 드레스이다. 거기에 더해 여기서 이사쿠가 무대로 나오는 데 케이야의 놀라는 표정만 보여 준 장면이 전후와 어울리지 않게 뜬금없이 짧게 나왔다. 애초에 놀라는 것도 좋아하는 여자의 드레스 차림이 아니라 황당하고 당황스러워 놀란 표정이라 더 그렇다. 연극 도중 같은 장소 임에도 뒷배경 소품이 달라지기도 한다. 그 밖에도 전체적인 움직임, 표정, 싱크 안 맞음, 작화 오류 등의 작붕이 다른 캐릭터까지 포함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나온다. [[파일:Ojoutobankenkun 9화 중.png|width=600]] 9화에서는 이사쿠의 입에 물려 있던 천을 빠뜨린 장면도 하나 있다. 10화에서 이사쿠가 이 상황을 회상할 때에도 똑같이 나온다. 10화도 여전히 전체적인 작붕이 많고, 중간중간 입 뻥긋 안하고 말하기도 한다. 11화는 나름 무난한가 싶다가, 9분 32초~39초까지 멈췄다. 원래 이사쿠가 눈을 깜박여야 하는 데, 무려 7초간 눈 뜬 장면이었다. ~~~애초에 7초동안 눈 깜박이는 걸 보여주는 것도 이상함~~~실제론 가능해도 애니라는 영상에서는 멈춘 컷이 나오는 게 이상하다. 중간중간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도 있는 등 나름 봐줄만 한 선이지만, 그래도 연출 미스와 작붕은 계속된다. == 기타 == * [[키토 아카리]]와 [[에노키 준야]]가 2019년을 제외하고 2017년의 [[심심한 칠드런]]부터 매년 한작품씩 같이 들어가고 있으며 [[2.5차원의 유혹|2024년]]에도 이 기록이 유지된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202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