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설)] [목차] == 개요 == {{{+1 landfill}}} 각종 [[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설. 생활쓰레기, 산업폐기물, 기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것들을 모아서 처리하는 곳이다. [[님비현상]]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시설이지만 없으면 안되는 곳. 한때 대표적으로 유명했던 곳은 서울특별시의 [[난지도]]. 게다가 개발도상국의 매립지는 말이 매립지지, 도심에서 적당히 떨어진 곳에 막 쏟아부어서 쓰레기 산으로 만들어 버리는 수준이라 침출수가 사방으로 흐르고 쓰레기가 부패하며 생겨난 메탄의 자연발화는 물론, 쓰레기가 밑으로 굴러서 사람을 덮치거나 개울로 쏟아져 물 반, 쓰레기 반 등 이런저런 문제가 발생되기에 정부예산이 충분한 선진국들은 어지간한 것들은 최대한 소각해 부피를 줄이고, 매립하기 전 침출수가 최대한 새어나오지 않게 두꺼운 비닐을 깔고, 메탄도 쌓이지 않게 통풍구나 가스관을 설치하는데, 이와 같은 처리시설을 갖춘 쓰레기 매립장을 "위생매립장"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들을 채굴해서 재활용하는 [[http://sgsg.hankyung.com/apps.frm/news.view?nkey=5228&c1=01&c2=02|산업]](이를 영어로 urban mining)도 생기고 있다. 다만 이것저것 섞여있기에 100% 재활용은 불가능하고 미생물에 의해 충분히 바스라져야 가능하다. 간혹 동네 쓰레기장에 쓸 만한 물건이 버려져 있는 경우 [[재활용|집에 가져와서 쓰는 경우도 있다.]] == 대한민국의 쓰레기 매립지 목록 == === 수도권 === ==== 운용중 ==== * [[수도권 매립지]] * [[남양주도시공사]] 에코-랜드: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로8번길 39 * [[용인시]] 생활폐기물 위생매립장: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 237-1 * [[파주시]]환경관리센터 매립장: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방촌로 1213-52 * [[동두천시]]위생매립장: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2862번길 87 * --[[인천에코랜드]]-- ==== 폐쇄 ==== * [[난지도]]: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478, 481, 482 * 서울 관할 소규모 매립지: 장안동, 상계동, 구의동[* 현재 [[테크노마트 강변점]].], 방배동, 압구정동, 대치동 * 구리시 왕숙매립지: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37-2 (현 왕숙체육공원) * 안산시 시화매립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665-55 * 안양시 석수매립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51 (현 석수체육공원) * 안양시 비산매립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156-6 (현 비산체육공원) * 안양시 평촌매립지 * 성남시 상대원매립지[* 현재는 소각장으로 운영 중이다.]: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420 * 성남시 금곡동매립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383 * 인천시 옥련매립지 === 비수도권 === ==== 운용중 ==== * 대구환경자원사업소(1991~):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364 * 생곡매립장(1996~):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산61-1 * 광주광역위생매립장 & 광주환경공단 항등사업소(2005~):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26 * 광주환경시설공단 위생매립장(2007~):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627 * 대전도시공사 금고동위생매립장(1996~): 대전광역시 유성구 불무로 186(금고동 21) * 전주권광역쓰레기매립장(1997~):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이성리 163-1 * 장성군위생쓰레기매립장(1998~):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월평리 산 34-8 * 해남군위생매립장(2002~):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 891 * 장흥쓰레기위생매립장(1997~):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부춘리 90 * 회진쓰레기위생매립장(2000~):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회진리 산 30-1 * 만흥위생매립장(1997~): 전라남도 여수시 만흥동 848-1 * 나주시위생매립사업소(2003~): 전라남도 나주시 공산면 백사리 산 2 * 창원생활폐기물매립장(1993~):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 52-1 * 내동일반쓰레기매립장(1994~):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883 * 춘천혈동리매립지(1998~):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한치로 681 * 서귀포시쓰레기위생매립장(199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 산 8-2 *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매립장(201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56-34 ==== 폐쇄 ==== * 평리매립지(1981~1983): 대구광역시 서구 이현동~평리6동[* 일명 '''새동네'''라고 알려진 지역] * 율하매립지(1984~1986): 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 * 대곡매립지[* 포화 이후 대구시가 매입하여 수목원 조성 사업을 거친 뒤 [[대구수목원]]으로 개장하였다.](1986~1990):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43(대곡동 284) * 대암매립지(1984.4~12)[* 현재 민간에 매각되어 농경지로 쓰이고 있다. 침출수나 유독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연탄재를 매립한 곳이라 비교적 안전하다는 판단 하에 매각된 듯 하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 * 담양매립지: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 현재의 '아트센터 대담'미술관 자리]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522|죽림매립지: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죽림리]] * 용정매립장(1985~1993)[* 이후 2008년, 호미골 체육공원으로 개장]: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476 * 문암매립장(1994~2000)[* 안정화후, 2010년 문암생태공원으로 개장][* 공원 중간즈음에 있는 생태관찰데크는 매립으로 인한 침출수를 감시하기 위한 곳이다.]: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문암동 122-2 * 초전생활쓰레기매립장(1978~1995)[* 매립종료 후 2005년 4월까지 매립쓰레기 이전사업, 이후 2009년 종합실내체육관과 수영장 등을 갖춘 시민체육공원으로 개장]: 경상남도 진주시 초전동 1583-14 *두창산업폐기물매립장(1980~1990)[* 산업폐기물매립장으로서 사용된 것은 1983년부터][* 매립종료 후 안정화, 이후 2007년 시민생활체육공간으로 개장]: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원평리 917-159 * 봉개매립장(1992~201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회천동 == 기타 == * 중남미나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의 경우, 거대한 쓰레기장에서 쓸 만한 것을 찾아다니며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이 있다. 버려진 물건 중 조금만 수리하면 고칠 수 있는 것을 고쳐서 새 제품을 사기 부담될 정도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팔기도 하고, 스펀지를 깨끗이 빨아서 침대 매트리스로 재활용하는 등 여러 종류의 물건들이 재활용된다. 어떤 경우는 국민 평균 소득의 두 배를 벌기도 한단다. * 쓰레기 [[분리수거]]와 [[재활용]]이 필요한 이유는 자원 순환을 통해 낭비를 줄이는 목적도 있지만 이 쓰레기 매립지의 신설과 확장을 억제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 [[패총]]은 고대인들의 쓰레기장인데 물론 그 당시 사람들에게 쓰레기였지 지금은 당시의 온갖 생활물품이 쌓여있어 [[고고학]]적으로 큰 가치가 있다. * 흔히 '쓰레기'로 비하되는 [[양아치]]들이 모이는 장소, 또는 게으른 사람이 방을 어지럽힌 것을 경멸의 의미로 '쓰레기장'이라 부른다. == 관련 문서 == * [[유메노시마]] * [[소각장]] [[분류:폐기물]][[분류:건축물]]